|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0D9093><tablebgcolor=#0D9093,#0D9093> | VCT CK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2 Stage 1 | Stage 2 | 2023 Stage 1 | Stage 2 | 2024 Stage 1 | Stage 2 | Stage 3 | 2025 Split 1 | Split 2 | Split 3 | RTA | |||
| | ||||
| DRX | → | Dplus KIA | → | Dplus KIA |
|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 |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 ||
| | |||||
|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 | |||||
| 대회 기간 | 2023년 1월 26일 ~ 2023년 2월 25일 | ||||
| 주최 | | ||||
| 주관 | | ||||
| 개최지 | | ||||
| 참가팀 | 8개 팀 | ||||
| 패치 버전 | 5.12 | ||||
| 경 기 장 | |||||
| 예선,본선 | 온라인 | ||||
| 플레이오프 | LVUP 레드 스튜디오(무관중) | ||||
| 결승전 | 대전이스포츠경기장 | ||||
| 중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계 플랫폼 | TV | |||
| - | |||||
| 온라인 | |||||
| | |||||
| 중계진 | 캐스터 | ||||
| 오성균, 박한얼 | |||||
| 해설자 | |||||
| 빈본, 유정선, 박동진 | |||||
| 일정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정규 리그 | 1주차 | |||
| 1월 26일 ~ 1월 29일 | |||||
| 2주차 | |||||
| 1월 31일 ~ 2월 5일 | |||||
| 3주차 | |||||
| 2월 7일 ~ 2월 10일 | |||||
| 플레이오프 | 2월 16일 ~ 2월 23일 | ||||
| 결승 | 2월 25일 | ||||
| }}} |
| 결과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우승 | | |||
| 준우승 | | ||||
| MVP | 스테이지 | ||||
| 김동호 (MARU HANN) | |||||
| 파이널 | |||||
| 박근철 (DK exy) | |||||
| }}} |
1. 개요
Beyond The Challenge
2023년 1월 26일에 개막한 2023 WC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테이지 1에 대한 문서이다.2. 참가팀
| | |||
| | | | |
| Dplus KIA | NongShim REDFORCE | WGS X-IT | Maru Gaming |
| | | | |
| OP.GG SPORTS | Shadow Corporation | Rio Company | |
2.1. 로스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로스터#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참가 조건
2023년 WCG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테이지1 기준- 구성원 전원 만 16세 이상
- 한국 서버 본인 명의 계정 보유
- 한국 계정 에피소드 5 액트 2 또는 3 불멸1 티어 이상 달성
4. 대회 상금
| 총 상금 | ||
| ₩ 75,000,000 | ||
| 결과 | 상금 | |
| 우승 | ₩ 25,000,000 | |
| 준우승 | ₩ 15,000,000 | |
| 3위 | ₩ 10,000,000 | |
| 4위 | ₩ 7,000,000 | |
| 5위 | ₩ 5,000,000 | |
| 6위 | ||
| 7위 | ₩ 3,000,000 | |
| 8위 | ₩ 2,000,000 | |
| FINAL MVP | ₩ 2,000,000 | |
| STAGE MVP | ₩ 1,000,000 | |
5. 경기 진행
예선은 중계되지 않으며, 본선까지 온라인 경기로 진행한다. 이후 플레이오프와 결승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한다.5.1. 본선
| 본선 순위표 | ||||||||||
| <rowcolor=#ffffff> 순위 | 팀 | 승 | 패 | 맵 득실 | 득실차 | 라운드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 1 | | SDC | 6 | 1 | 13-5 | +8 | 213-166 | +47 | 2승 | |
| 2 | | DK | 5 | 2 | 10-5 | +5 | 167-124 | +43 | 1패 | 우승 |
| 3 | | RIO | 5 | 2 | 11-6 | +5 | 191-159 | +32 | 1승 | 준우승 |
| 4 | | MARU | 4 | 3 | 10-8 | +2 | 201-158 | +43 | 3승 | |
| 5 | | NS | 3 | 4 | 8-8 | 0 | 182-183 | -1 | 1승 | |
| 6 | | CNJ | 2 | 5 | 5-8 | -3 | 140-173 | -33 | 1패 | |
| 7 | | OPGG | 2 | 5 | 5-11 | -6 | 130-195 | -65 | 2패 | |
| 8 | | WGS | 1 | 6 | 4-13 | -9 | 146-212 | -66 | 1패 | |
| 파란색: 승자조 2R 진출 | 녹색: 승자조 1R 진출 | 빨간색: 승강전 | 볼드체: 순위 확정 | ||||||||||
| {{{#!wiki style="width: 550px; max-width: 550px; display: inline;" | <table bordercolor=#0DB397><table width=650px><tablebgcolor=#fff,#191919><table align=center> | ||||||
| 1주 (1/26~29) | 2주 (1/31~2/5) | 3주 (2/7~10) | 결산 | ||||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
5.2. 플레이오프
| | |||||||||||||||||||||||||||||||||||||||||||||||||||||||||||||||
| <rowcolor=#1a1515>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결승 | |||||||||||||||||||||||||||||||||||||||||||||||||||||||||||
| 승자조 대진표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 결승전 (2/25) |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 | 3 | }}} | ||||||||||||||||||||||||||||||||||||||||||||||||||||||||||||
| 패자조 대진표 | |||||||||||||||||||||||||||||||||||||||||||||||||||||||||||||||
| |||||||||||||||||||||||||||||||||||||||||||||||||||||||||||||||
| 초록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 |||||||||||||||||||||||||||||||||||||||||||||||||||||||||||||||
|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
| 승자조 | 패자조 | 결승전 |
| 플레이오프 결산 | ||
| 본선 경기 일람 | ||
5.3. 결승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결승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 WCG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1/결승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결승전 | |
| | |
6. 결과
| | ||||||||||
| <rowcolor=#ffffff> 최종 순위 | 본선 순위 | 팀 | 비고 | 상금 | 진출 | |||||
| 1위 | 2위 | | DK | 결승전 승리 | ₩ 25,000,000 | 스테이지 2 | ||||
| 2위 | 3위 | | RIO | 결승전 패배 | ₩ 15,000,000 | |||||
| 3위 | 4위 | | MARU | 패자조 결승 패배 | ₩ 10,000,000 | |||||
| 4위 | 1위 | | SDC | 패자조 2R 탈락 | ₩ 7,000,000 | |||||
| 5-6위 | 5위 | | NS | 패자조 1R 탈락 | ₩ 5,000,000 | |||||
| 6위 | | CNJ | ||||||||
| 7위 | | OP.GG | 플옵 진출 실패 | ₩ 3,000,000 | 승강전 | |||||
| 8위 | | WGS | ₩ 2,000,000 | |||||||
| 볼드체: 순위 확정| 빨간색: 승강전 , PO 진출 실패 | ||||||||||
6.1. MVP
| 스테이지 MVP | |
| | |
| 소속 팀 | Maru Gaming |
| 이름 | 김동호 |
| ID | HANN |
| 상금 | ₩ 1,000,000 |
| 파이널 MVP | |
| | |
| 소속 팀 | Dplus KIA |
| 이름 | 박근철 |
| ID | exy |
| 상금 | ₩ 2,000,000 |
6.2. 에이스 기록
| | |||||||
| 이름(ID) | 소속 팀 | 요원 | 주무기 | 상대 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 이도경 (pr0xy) | | | | | 2023.1.28 | 6경기 1세트 아이스박스 | [1] |
| 조현태 (Wolverine) | | | | | 2023.2.3 | 16경기 1세트 어센트 | [2] |
| 김지우 (margaret) | | | | | 2023.2.4 | 17경기 1세트 헤이븐 | [3] |
| 박근철 (exy) | | | | | 2023.2.5 | 19경기 1세트 펄 | [4] |
| 양지온 (Persia) | | | | | 2023.2.16 | P.O WB 1R 1경기 1세트 헤이븐 | [5] |
| 박준서 (Moves) | | | | | P.O WB 1R 1경기 2세트 펄 | [6] | |
| | |||
| 에이스를 가장 많이 한 팀 | 에이스를 가장 많이 한 선수 | 가장 많이 기용한 요원 | 가장 많이 기용한 주무기 |
| | pr0xy, Wolverine, margaret. exy. Persia. Moves (1회) | | |
7. 여담
- 작년 stage2 에이스 수와 에이스 수가 같다.
- 챌린저스 코리아 최초로 트로피가 없던 대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