撓 휠 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コウ, トウ, ドウ | ||||||
일본어 훈독 | いた-める, くじ-ける, しお-り, しな-う, しわ-る, た-める, たわ-む, たわ-める, みだ-れる | ||||||
挠 | |||||||
표준 중국어 | ná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撓는 '휠 뇨'라는 한자로, '휘다'를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堯(요임금 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649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手土土山(QGGU)으로 입력한다.
'뇨'뿐만 아니라 '요'도 음으로 허용된다. 다음은 한국어문회의 해설이다.
撓는 조선시대 자전에서부터 "요"와 "뇨"음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가요(可撓) 굴요(屈撓) 불요(不撓), 두뇨(逗撓) 등 지금도 두 가지 음이 다 쓰입니다. 사전에 등재되어 음가가 고정된 한자어가 아닌 경우에는 "뇨"를 원칙으로 하나 사실상 "요"음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어서 "요"음도 허용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937(撓에대하여), 2005-11-20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2937(撓에대하여), 2005-11-20
윈도우 한자 입력기에서는 '뇨'가 아닌 '요'로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러야 변환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