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0B23F, #f5d133 20%, #f5d133 80%, #E0B23F); color: #755f2b;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755f2b> 덕조 후 | 의조 후 | 희조 후 |
현황후 | 환황후 | 유황후 | |
<rowcolor=#755f2b> 인조 후 | 흥종 후 | ||
순황후 | 효강황후 | 황태후 여씨 | |
<rowcolor=#755f2b> 선종 후 | 영종 후 | 헌종 후 | |
효익황태후 | 효숙황후 | 효목황후 | |
<rowcolor=#755f2b> 헌종 후 | 예종 후 | 세종 후 | |
효혜황후 | 자효헌황후 | 효각황태후 | |
<rowcolor=#755f2b> 목종 후 | 신종 후 | ||
효의장황후 | 효정황후 | 효정황태후 | |
<rowcolor=#755f2b> 신종 후 | 광종 후 | ||
효령태황태후 | 효경태황태후 | 효원정황후 | |
<rowcolor=#755f2b> 광종 후 | |||
효화황태후 | 효순황태후 | ||
남명 南明 | |||
<rowcolor=#755f2b> 공종 후 | 안종 후 | ||
효성공황후 | 각정황태후 | 효철간황후 | |
<rowcolor=#755f2b> 안종 후 | 철종 후 | 순종 후 | |
효의황후 | 혜황후 | 순황후 | |
<rowcolor=#755f2b> 정종 후 | 유종 후 | 예종 후 | |
단황후 | 선황후 | 효흠단황후 | |
<rowcolor=#755f2b> 예종 후 | |||
효정황태후 | 소성황태후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f3e, #FBEC5D 20%, #FBEC5D 80%, #ffdf3e); color: #755f2b;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755f2b> 혜종조 | 선종조 | 영종조 |
황태후 여씨 | 황태후 장씨 | 상성황태후 | |
<rowcolor=#755f2b> 대종조 | 헌종조 | ||
효익황태후 | 자의황태후 | 성자황태후 | |
<rowcolor=#755f2b> 효종조 | 무종조 | 세종조 | |
황태후 왕씨 | 소성황태후 | ||
<rowcolor=#755f2b> 세종조 | 신종조 | ||
수안황태후 | 장성황태후 | 인성황태후 | |
<rowcolor=#755f2b> 신종조 | |||
자성황태후 | |||
남명 南明 | |||
<rowcolor=#755f2b> 안종조 | 소종조 | ||
인수황태후 | 영성황태후 | 소성황태후 | |
}}}}}}}}} |
<colbgcolor=#f5d133><colcolor=#755f2b> 명 목종의 서후 효정황후 | 孝定皇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0B23F, #f5d133 20%, #f5d133 80%, #E0B23F); color: #755f2b; min-height: 31px" {{{#!folding [ 존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 신종조 황태후 황태후 이씨 | 皇太后 李氏 |
| |||
출생 | 1546년 12월 21일 | ||
명 북경순천부(北京順天府) 통주(通州) 곽현(漷縣) | |||
사망 | 1614년 3월 18일 (향년 세) | ||
명 북경 순천부 자금성 (現 베이징시 둥청구 징산첸제4호) | |||
능묘 | 소릉(昭陵) | ||
재위기간 | 명 귀비 | ||
1567년 ~ 1672년 | |||
명 황태후 | |||
1572년 ~ 1614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d133><colcolor=#755f2b> 성씨 | 이(李) | |
부모 | 부친 무청백 이위(武淸伯 李偉, ? ~ ?) 모친 미상 | ||
형제자매 | 미상 | ||
배우자 | 목종 융경제 | ||
자녀 | 2남 3녀 | ||
작호 | 귀비(貴妃) → 황태후(皇太后) | ||
존호 | 자성황태후(慈聖皇太后) → 자성선문명숙황태후(慈聖宣文明肅皇太后) → 자성선문명숙정수단헌공희황태후(慈聖宣文明肅貞壽端獻恭熹皇太后) | ||
시호 | 효정정순흠인단숙필천조성황후 (孝定貞純欽仁端肅弼天祚聖皇后) |
1. 개요
명나라 제12대 황제 융경제 주재기의 후궁. 만력제의 생모이자 태창제의 조모이며 천계제, 숭정제, 홍광제의 증조모이다.2. 생애
이씨는 15세에 궁녀로 입궁을 하였다가, 유왕부(裕王府)의 궁녀로 일하면서 유왕(裕王) 주재후(朱載垕)의 첩실로 간택되었다. 융경 원년(1567년) 융경제가 즉위한 후에 귀비(貴妃)로 책봉을 받았고, 그 다음해에 아들인 주익균(朱翊鈞)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융경 6년(1572년) 융경제가 붕어하고 만력제가 즉위하면서 황태후가 되었으며, 거처를 자녕궁(慈寧宮)으로 옮겼다. 만력 42년 2월(1614년)에 붕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