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황남대총 皇南大塚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남분 추정 피장자 | <colbgcolor=#fff,#1f2023>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
북분 추정 피장자 |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 ||
북분 출토 유물 |
| ||
남분 출토 유물 |
|
국립경주박물관 홈페이지 : 황남대총 남분 은제반지
1. 개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한 황남대총의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순은제 반지 10여점.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내용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 경주 노서동 138호분 금반지와 함께 전시된 모습.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의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은반지들로, 제작 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서기 300~400년대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점에 이르는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당시 남분에서 황남대총 남분 금반지와 함께 발견되었는데, 보석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금반지와는 달리 대부분이 수수한 민무늬를 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 신라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은반지들로,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 황남대총 남분 금반지와 함께 황남대총 조성 당시 신라의 반지 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