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호남매일신문사 로고.png | 주식회사 호남매일신문사 株式會社 湖南每日新聞社 Honam Maeil Sinmun |
<colbgcolor=#16288a><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c1d1f> |
설립 | 1961년 2월 |
재창간 | 2023년 12월 4일 |
본사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23 (중흥동 355-6) |
대표이사 | 최후식 |
웹 사이트 | 파일:호남매일신문사 로고.png |
소셜 미디어 |
1. 개요
광주ㆍ전남ㆍ전북을 다루는 지방신문. |
| |
일간지 <호남매일신문> |
| |
종합시사 월간지 <호남매일신문> 창간호 |
2. 사훈
신속, 공정, 신뢰
3. 역사
● <호남매일신문>은 김병기선생이 1961년 2월 2일에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중앙동에 해당하는 전라북도 이리시 중앙동3가에서 창간하였던 석간신문이었다.
당시 김병기선생은 창간사에서 “진정한 민중의 대변자로서 독재정권에 항거한 정신을 가지고 민중과 더불어 민주 언론 창달에 선봉이 되겠다.”라고 하였다.
이때 <호남매일신문>은 익산의 지역신문으로서는 유일한 일간지였는데, 전북은 물론이고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언론기관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 전라북도의 전주시, 김제시, 진안군 등에 분사무소를 둘 정도로 사세를 확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5·16군사정변을 일으킨 군사정권의 언론 정비 시책으로 말미암아 1961년 6월 17일에 강제폐간당하고 말았다.
당시 전국의 지역지 51개중 27개가 폐간당했는데 그 중 한곳이 <호남매일신문>이었다.
이후, 오랫동안 재창간 논의가 거듭된 끝에 호남지역 여러 인사들의 뜻을 모아 2023년 12월 광주광역시를 연고로 하여 이 지역 헌법학자 최후식박사를 대표이사ㆍ발행인으로 하여 재창간하였다.
광주 5개구와 전남 22개 시ㆍ군에 각각 주재기자를 두고있고, 전북취재본부, 서울취재본부도 설치하여 취재기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 <호남매일신문>은 희대의 다단계 부동산 사기꾼으로 일컬어지는 김현재가 운영했던 <호남매일>과는 무관하다. # #
4. 기타
언론시장의 흐름을 보면 일정과 장소에 예속되어야 하는 기존의 지면, 활자신문은 한계가 있었고, 실시간으로 현장감있게 제공되는 모바일뉴스가 뉴스의 생생함을 전달하는 이 시대의 대세가 되었다.이에 따라 종합월간지 이외에도 국가비상사태나 핫 이슈가 있을때마다 비정기신문인 일명 '호외'를 발행하기도 하였고, SNS와 인터넷 등. 웹기반의 송출 방식을 채택한 인터넷방송, 유튜브,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신문과 방송이라는 복합미디어매체를 구축하여 신문은 [호남매일신문], 방송은 [호남매일TV]라는 제호로 운용되고 있다.
파일:호남매일신문사 로고.png
유튜브
5. 임원 및 간부
- 초대회장
- 김병기
- 제2대회장
- 강제천
- 제3대회장
- 구양술
- 대표이사
- 최후식
- 상임고문
- 부사장
- 임영수
- 윤경환
- 고문
- 윤영덕
- 오병석
- 황일봉
- 이승옥
- 김진숙
- 김경수
- 이강천
- 한재용
- 전무이사
- 상무이사
- 한주석
- 편집국장
- 김남진
- 편집논설위원
- 김승원
- 이병안
- 이영석
- 기세옥
- 취재본부장
- 김대원
- 전북 취재본부장
- 장태영
- 전남 동부권 취재본부장
- 이창민
- 전남 서부권 취재본부장
- 김상훈
- 전남 서남권 취재본부장
- 김용욱
- 보도국장
- 조일상
- 독자권익위원장
- 정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