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險談남의 흠을 들추어 헐뜯음. 또는 그런 말.
몰래 남을 헐뜯는 뒷담화, 대놓고 험담을 하는 앞담화가 있다.
중국어로는 闲话(xiánhuà), 坏话(huàihuà)라고 한다.
2. 성경에서
죄를 덮어 주는 사람은 사랑을 따라가지만, 그 일을 두고 거듭 말하는 사람은 벗을 갈라놓지.
잠언 17장 9절 (새한글)
잠언 17장 9절 (새한글)
오, 여호와여, 누가 주님의 천막에 머물 수 있겠습니까? 누가 주님의 거룩한 산에 살 수 있겠습니까?
흠 없이 살아가고 공의를 이루는 사람입니다. 자기 마음으로 참된 것을 말하는 사람입니다.
그는 혀로 헐뜯지 않습니다. 이웃한테 해코지하지 않고 가까운 사람에게 창피를 주지 않습니다.
그의 눈에는 하찮아 보입니다, 주님이 내치신 사람이.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그가 받듭니다. 맹세한 것은 자기에게 손해가 되더라도 바꾸지 않습니다.
그는 돈을 빌려주어도 이자를 노리지 않고, 잘못 없는 사람을 해치려고 뇌물을 받지 않습니다. 이렇게 처신하는 사람은 영원히 흔들리지 않습니다.
시편 15편 (새한글)
흠 없이 살아가고 공의를 이루는 사람입니다. 자기 마음으로 참된 것을 말하는 사람입니다.
그는 혀로 헐뜯지 않습니다. 이웃한테 해코지하지 않고 가까운 사람에게 창피를 주지 않습니다.
그의 눈에는 하찮아 보입니다, 주님이 내치신 사람이. 여호와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그가 받듭니다. 맹세한 것은 자기에게 손해가 되더라도 바꾸지 않습니다.
그는 돈을 빌려주어도 이자를 노리지 않고, 잘못 없는 사람을 해치려고 뇌물을 받지 않습니다. 이렇게 처신하는 사람은 영원히 흔들리지 않습니다.
시편 15편 (새한글)
서로 참아 주십시오. 여러분끼리 서로 용서의 은혜를 베풀어 주십시오. 누군가 누구에게 불평거리가 있더라도 그렇게 하십시오. 주님도 여러분에게 용서의 은혜를 베풀어 주셨듯이, 여러분 자신들도 그렇게 하십시오.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보태십시오. 사랑은 함께 묶어 완전하게 하는 띠입니다.
골로새서 3장 13-14절 (새한글)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보태십시오. 사랑은 함께 묶어 완전하게 하는 띠입니다.
골로새서 3장 13-14절 (새한글)
그대의 형제자매가 그대에게 죄를 지으면, 가서 그 사람하고만 만나서 그의 잘못을 바로잡아 주세요. 그 사람이 그대 말을 들으면 그대는 그대의 형제자매를 되찾는 겁니다.
듣지 않으면, 한두 사람을 더 데려가세요. ‘증인 두 명이나 세 명의 진술에 근거해서 모든 일이 확정되도록’ 하세요.
그들의 말도 흘려들으면, 교회에 얘기하세요. 교회의 말마저 흘려들으면, 다른 민족이나 세금업자처럼 대하시기 바랍니다.
마태복음 18장 15-17절 (새한글)
듣지 않으면, 한두 사람을 더 데려가세요. ‘증인 두 명이나 세 명의 진술에 근거해서 모든 일이 확정되도록’ 하세요.
그들의 말도 흘려들으면, 교회에 얘기하세요. 교회의 말마저 흘려들으면, 다른 민족이나 세금업자처럼 대하시기 바랍니다.
마태복음 18장 15-17절 (새한글)
예수님이 말씀하셨다. “나 자신도 자매님을 죄 있다고 판가름하지 않습니다. 가 보세요, 이제부터 더는 죄를 짓지 마세요!”
요한복음 8장 11절 (새한글)
요한복음 8장 11절 (새한글)
성경은 상대방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부끄러워할만한 상황에서는 다른 사람의 허물을 들춰내기보다는 허물을 사랑으로 덮어주고 용서해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사랑으로 권면해야 할 때도 되도록 조용히 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사람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다고 함부로 떠벌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다만, 다같이 죄에 대한 경각심을 갖자는 순수한 취지에서는 다른 사람을 정죄하지는 않는 마음으로 그 사람의 죄를 사람들 앞에서 드러내는 것이 허용된다.[1][2] 결국 좋게 끝났던 이야기 등을 할 때에 다른 사람의 허물이 악의 없이 언급되는 것 또한 문제는 없다.
[1] 죄짓는 사람들은 모든 사람 앞에서 질책하시게. 그래야 다른 사람들도 두려움을 가지게 될 걸세. (디모데전서 5장 20절, 새한글)[2] 게바가 안티오키아에 왔을 때, 내가 얼굴을 마주해서 그에게 맞섰습니다. 그가 비난받을 일을 했기 때문입니다. 야고보한테서 몇몇 사람들이 오기 전에는 게바가 다른 민족 사람들과 함께 음식을 먹곤 했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오자 뒤로 물러나서 따로 떨어져 나갔습니다. 할례받은 쪽 사람들을 두려워해서였습니다. 나머지 유대아 사람들도 게바와 함께 위선에 빠졌습니다. 그래서 바르나바마저도 그들의 위선에 딸려 갔습니다. (갈라디아서 2장 11-13절, 새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