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4a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4a4><colcolor=#fff> 투수 | 1 피플스 · 6 사라가 · 15 윌콕스 · 19 라이퍼트 · 23 I.시모어40인 · 26 락40인 · 27 메넨데즈 · 28 헌리 · 29 워크맨 · 34 거버40인 · 36 플린 · 38 휘틀리 · 39 보일40인 · 40 버논 · 60 잉글러트40인 · 66 액턴40인 · # 위틀리IL-60 · # 완츠IL-60 · # 에르난데스IL-60 · # 위튼IL-Full · # 스트레즐레키 | |
포수 | 13 파이퍼 · 16 키건 · 24 바레라DEV | ||
내야수 | 2 웨스트브룩 · 4 머리 · 5 몬테스 · 7 윌리엄스 · 9 배틀스 · 22 모건 · 41 B.시모어40인 | ||
외야수 | 3 심슨40인 · 6 피터스40인 · 44 존스 · # 험멜 | ||
''' | |||
| }}}}}}}}} |
<colbgcolor=#0054a4><colcolor=#ffffff> 더럼 불스 No. | |
피터 스트레즐레키 Peter Strzelecki | |
본명 | 피터 조셉 스트레즐레키 Peter Joseph Strzelecki[1] |
출생 | 1994년 10월 24일 ([age(1994-10-24)]세) |
뉴욕주 퀸스 | |
국적 |
|
학력 | 팜 비치 주립 칼리지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신체 | 188cm | 88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사우타 |
프로입단 | 2018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MIL) |
소속팀 | 밀워키 브루어스 (2022~2023)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3)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2024) |
계약 | Pre-Arb / $740,000 |
연봉 | 2024 / $740,000 |
1. 개요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2. 선수 경력
2.1. 밀워키 브루어스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 출신으로 언드래프티다. 쉽게 말해 MLB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다는 것.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는 못했지만 자유계약으로 밀워키에 입단해 마이너에서 경력을 쌓다가 2022년 6월 빅리그 데뷔에 성공했다.
2.1.1. 2022 시즌
6월 빅리그에 콜업되어 시즌 종료까지 로스터에 살아남았으며 35이닝 동안 2.83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2.1.2. 2023 시즌
전 시즌 가능성을 보여주었음에 따라 40인 로스터에 포함된 채 비시즌을 보냈고, 스프링캠프를 거쳐 개막엔트리 진입에도 성공했다.4월 28일 현재 11⅔이닝 동안 0.77의 평균자책점으로 매우 안정적인 투구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프시즌에 싱커를 추가했는데 사이드암 불펜에게는 체인지업과 함께 찰떡궁합으로 여겨지는 구종인 만큼 잘 써먹고 있다.
시즌 초반 맷 부시가 부진과 잔부상에 시달리면서 데빈 윌리엄스의 앞에서 8회를 책임지며 중용되었으나, 5월부터 서서히 커맨드 문제를 보이며 셋업맨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2.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3년 8월 1일, 앤드류 셰이핀을 상대로 트레이드되었다.2024년 3월 25일, 40인 로스터에 포함된 터커 반하트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2.3.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3월 28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로 현금트레이드되었다.11월 19일 룰5 드래프트 보호를 위해 덕 니카지, 피티 할핀, 프랑코 알레먼, 닉 엔라이트가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어 DFA되었다.
11월 22일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현금트레이드되었다.
2025년 3월 26일 콜업된 라이언 보루키의 40인 로스터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다. 이후 마이너로 관리가 이관되었다.
3.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2 | MIL | 30 | 2 | 1 | 1 | 4 | 35 | 2.83 | 28 | 2 | 15 | 1 | 40 | 1.229 | 143 | 0.4 | 0.6 |
<rowcolor=#e3d4ad>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3 | MIL/ARI | 37 | 3 | 5 | 0 | 14 | 37 | 4.38 | 33 | 3 | 12 | 8 | 37 | 1.216 | 100 | 0.3 | 0.0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4 | CLE | 10 | 0 | 0 | 0 | 1 | 11⅔ | 2.31 | 11 | 1 | 3 | 1 | 9 | 1.200 | 181 | 0.1 | 0.2 |
MLB 통산 (3시즌) | 77 | 5 | 6 | 1 | 19 | 83⅔ | 3.44 | 72 | 6 | 30 | 10 | 86 | 1.219 | 123 | 0.8 | 0.8 |
4. 둘러보기
피터 스트레즐레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32번 | ||||
호세 우레냐 (2022) | → | 피터 스트레즐레키 (2022~2023) | → | 앤드류 셰이핀 (2023)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3번 | |||||
J.B. 부카우스카스 (2021) | → | <colcolor=#fff> 피터 스트레즐레키 (2023) | → | A.J. 퍽 (2024~) |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등번호 34번 | |||||
노아 신더가드 (2023) | → | 피터 스트레즐레키 (2024) | → | 폴 시월드 (2025) |
[1] 이름 철자가 꽤나 고약한데, 현지에서는 '스트레즐레키(/strɛzˈlɛkiː/)'로 발음한다. 무성음 'strz'는 주로 폴란드계 인명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발음인데, 당장에 야구계만 해도 레드삭스의 전설 칼 야스트렘스키와 그의 손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있다. 이 둘과의 차이점이라면 야즈 가문은 중간의 z를 그냥 묵음 처리하는 반면 스트레즐레키는 z 발음을 살린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