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퓨전 듀플리케이션,
일어판명칭=<ruby><rb>融合複製</rb><rp>(</rp><rt>フュージョン・デュプリケーション</rt><rp>)</rp></ruby>,
영어판명칭=Fusion Duplic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융합" 일반 / 속공 마법 카드나 "퓨전" 일반 /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카드를 제외하고\, 그 마법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를 적용한다.)]
사이버스톰 액세스에 수록된 융합 견제 및 융합 서포트 카드. '융합 복제'라 쓰고 '퓨전 듀플리케이션'이라 읽는다.
함정 카드 특유의 발동 딜레이가 있긴 하지만, 융합 또는 퓨전 일반 / 속공 마법 카드의 효과를 복사해서 발동할 수 있게 하는 카드.
베르테 아나콘다가 덱에서 융합 카드들의 효과를 복사한다면, 이 쪽은 묘지에서 그 카드를 제외해 복사한다. 더군다나 베르테 아나콘다와 마찬가지로, 붉은 눈 융합과 같은 맹세 효과는 적용되지 않는다.# 12기에 접어들면서 세페르의 마도서같은 카드의 효과를 배끼는 카드들의 재정이 변경되었기 때문.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제거나 무효화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를 상대 턴에 꺼낼 수 있다면 견제 기능도 해낼 수 있다. 그 밖에 1턴에 1번 제한이 있는 카드를 2번 발동하거나, 초융합 등의 코스트를 씹고 효과만 써주는 용도로도 고려해볼 수 있으며,[1] 가령 제한 카드인 낙인융합 등을 이 카드 효과로 상대 턴에 복사하면 금제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상대턴에 유의미한 견제도 가능하다.[2]
상대 묘지의 카드도 제외해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융합축 덱끼리 듀얼할 경우 상대의 묘지를 견제하면서 전개까지 하는 극한의 어드밴티지를 뽑아먹을 수 있다. 상대가 초융합으로 자신의 몬스터를 소재로 꺼낸 융합 몬스터를 초융합을 복사해 잡아먹는다던지, 엑스트라 히어로 원더 드라이버의 효과로 세트하려는 묘지의 마법 카드를 제외하고 융합 하는 등. 물론 적잖은 융합 테마들이 테마 내 몬스터만 융합 소환할 수 있는 카드나 아예 "융합"이나 "퓨전"이라는 이름이 붙지 않은 카드를 사용하니 미러 매치가 아니면 활용할 기회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더군다나 제외가 코스트가 아니라 처리 도중에 제외되는 방식이라 체인하여 해당 융합 마법카드가 제외되면 불발된다는 점과 베르테 아나콘다와 마찬가지로, 복사할 수 있는 카드는 일반 / 속공 마법만 가능하고, 함정 카드의 효과까지 복사하지는 못 하는 점에 주의할 것.
일러스트는 마도 사이언티스트가 자신이 개발한 레토르트 퓨전의 제조 시설을 뽐내는 듯한 모습. 그 옆에는 깨알같이 인스턴트 퓨전이 하나 놓여있다. 이로 보아 인스턴트 퓨전을 만든 것도 그로 추정된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23-01-14 |
CYAC-JP077 | CYBERSTORM ACCESS |
2023-04-22 |
CYAC-KR077 | 사이버스톰 액세스 |
2023-01-14 |
CYAC-JP077 | CYBERSTORM ACC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