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1.1. 수록 팩 일람
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 부터 추가된 건랜스의 공격 방식3.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 풀 버스트4. 기동전사 건담 SEED의 등장하는 프리덤 건담의 기술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풀 버스트,
일어판명칭=<ruby>全弾発射<rp>(</rp><rt>フル・バースト</rt><rp>)</rp></ruby>,
영어판명칭=Full Salvo,
효과1=①: 자신의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내고\, 묘지로 보낸 카드의 수 × 2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내 그 수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정말 이론상 최강이라는 말에 부합하는 카드로, 최후의 도박으로서 마지막 순간에 피니시 용도로 쓰는 카드. 근데 리스크에 비해 데미지가 너무나도 쪼잔해서 쓰기가 힘들다.[1] 첫 손패인 4~5장을 전부 버려도 그냥 번 계열 마법카드를 써도 충분히 넘는다. 어드밴티지 차이가 몇 배나 나는 셈. 그렇다고 암흑계와 콤보로 쓰려니 효과 발동 조건이 "묘지로 보낸다"라서 되지 않는다.
그나마 매지컬 익스플로전이나 인페르니티의 조건을 채우기에는 쉽다는게 좀 위안이 되기는 한다.
유희왕 5D's 크래시 타운 편에서는 키류 쿄스케가 사용, 카드 파괴에 체인해 패를 전부 버리고 일리걸 키퍼의 콤보도 무효로 했다. 이후 인페르니티 미라지로 묘지로 보낸 인페르니티 데몬과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를 특수 소환했다.
참고로 이렇게 패를 먼저 버려버린 건 별 의미 없었다. 어차피 패가 전부 묘지로 가는 건 똑같았기 때문. 일리걸 키퍼의 효과는 상대가 드로우 페이즈 이외의 경우에 드로우를 할 경우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고 1000 데미지(1장당이 아니라 통째로)를 주는 것이긴 한데, 키류의 라이프가 1000 이하인 것도 아니었다. 풀 버스트를 쓴 덕에 상대에게 800 데미지를 주긴 했지만 어차피 그 다음 연계를 보면 풀 버스트가 없었어도 똑같았고 피해량이 800 이하 정도 모자란 것도 아니었다.[2]
여담으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서도 오리컬코스의 신과의 결전 중 카이바 세토가 가제트 솔저의 공격 시 "전탄발사!"를 외치기도 했다. "전속전진이다!" 만큼 자주는 아니지만 않으나 가끔 매드에서 튀어나온다.
1.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05-11-17 |
SOI-JP056 | シャドウ・オブ・インフィニティ [ SHADOW OF INFINITY ] |
2007-09-22 |
EE04-JP176 | EXPERT EDITION Volume 4 |
2006-02-18 |
SOI-EN056 | SHADOW OF INFINITY |
2007-11-14 |
DR04-EN176 | DARK REVELATION Volume 4 |
2007-07-03 |
SOI-KR056 | 무한의 그림자 |
2008-09-05 |
HGP04-KR176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
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 부터 추가된 건랜스의 공격 방식
공격 연계 중에만 사용 가능하며 장전된 포격수를 한 번에 소비하여 공격한다. 이하 건랜스 문서 참고.3.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의 카드 풀 버스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풀 버스트|풀 버스트]][[벚꽃 내리는 시대에 결투를/카드/히미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동전사 건담 SEED의 등장하는 프리덤 건담의 기술
전탄 발사를 하는 풀 버스트 모드와 하이멧 풀버스트 모드가 있다. 이하 프리덤 건담 문서 참고.[1] 보통 듀얼리스트들은 키 카드를 빨리 손에 넣기 위해 40장으로 덱을 구성하는데, 초기 라이프 8000을 한방에 까내리려면 40장을 손에 들 필요가 있다.[2] 다만 옹호해보자면 우선 이 덕에 키류는 단 1의 대미지도 입지 않고 깔끔하게 이겼고, 풀 버스트를 발동한 시점에서 상대는 거의 전의를 상실했다. 그리고 고작 1000 데미지 덜 받고 800 데미지 준 것 뿐이지만 속전속결을 원한다면 이것도 나쁘진 않은데다가 혹시 듀얼이 길어졌다면 이 차이가 결정적인 승패를 갈랐을지도 모르긴 하다. 또한 여기서 풀 버스트를 발동 안했다면 그 다음 발동할 타이밍이 애매하다. 어차피 카드 파괴+일리걸 키퍼의 연계로 패는 0이 되는데, 그러면 그 다음 패를 버려야 할 상황이 와도 풀 버스트를 써봤자 고작 200~400 대미지가 한계였을 것이다. 물론 데미지 수치보다 버리는 것 자체에 중점을 뒀다면 그래도 이렇게 쓰는 게 더 좋았겠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키류는 듀얼을 빠르게 끝낼 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