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7:47:26

포항제철고등학교/시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항제철고등학교
파일:포항제철고등학교 워드마크.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학교 특징 포스코교육재단 축구부 야구부 출신 인물 }}}
}}}
}}}
}}} ||


1. 개요2. 학교 시설
2.1. 본관2.2. 특별교실 I동2.3. 특별교실 II동2.4. 1학년동2.5. 2학년동2.6. 3학년동2.7. 연학관2.8. 청암 학사2.9. 포스코 교육재단 체육관

1. 개요

포항제철고등학교시설에 대한 문서.

2. 학교 시설

포항제철고 교내모습
파일:포철고11.jpg 파일:포철고33.jpg
파일:포항제철고_가을1.jpg 파일:포항제철고_정문.jpg
파일:포철고_2024교실배치.png
배치는 2024학년도 기준이다. 학교 건물은 기본적으로 田자 모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연학관, 예도관등은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왼쪽 건물에 2학년, 가운데 건물에 본관과 특별실, 오른쪽 건물에 1학년, 위쪽 건물에 2학년 문과 여학생들과 3학년들이 쓴다. 각 건물이 연결통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비오는 날에도 학교 끝에서 끝까지 우산없이 비 한방울 안 맞고 갈 수 있다. 또한 학년 건물 사이를 지나가는 길마다 전부 정원이 구성되어 있는데 봄에 꽃이 피면 상당히 아름답다. 날씨가 좋으면 벤치에서 이야기를 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언덕위에 지어서 포항제철중학교와 마찬가지로 입구에 있다고 다 1층이 아니고 딱히 기준도 없어서 층 수를 세기가 불편하다. 특히 1학년동과 2학년동의 층 수를 셀때는 헷갈리게 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건물은 1995년도에 지어진 건물이며 이전에는 현 포항제철중 2교사(여학교) 건물을 사용했다. 2015년에 거의 모든 화장실에 비데가 설치되었다.[1]

포항제철고 가상학교 투어를 통해 학교 내부를 볼 수 있다.

2.1. 본관

<nopad> 파일:포항제철고_정문.jpg
본관 정문

본교무실과 행정실, 교장실이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2층부터는 보건실, 학생회의실, 학생부실, 상담실이, 3층에는 소강당이 있다. 1층 로비에는 자랑스런 포철고인상 수상자들의 명단과 학교 홍보를 위한 TV 2개, 학교 전경과 글로벌 일류 시민을 양성하는 행복한 학교 글귀가 있다. 또한 본관 건물의 앞에 自主 創意 實踐 조형물이 달려있다.

2.2. 특별교실 I동

본관 바로 뒤쪽의 건물이다. 과학동이라고도 불린다. 1층은 구비실이므로 학생은 사용하지 않는다. 2층에는 방송실과 수학실, 프로그래밍실과 전산실이 나란히 있다. 중앙에는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트리가 설치되고, 평소에는 학교 활동 사진이나 미술 작품이 전시된다. 피아노도 있다. 3층에는 물리실과 화학실, 생물실 및 지학실(지구과학실)이 있다. 종합강의실과 AI실로 가는 길이 바로 연결되어 있고, 1학년 때는 미술실, 음악실을 가기 위해 항상 지나는 곳이다.

참고로 이 건물은 중앙 부분이 뚫려있고 지붕이 유리로 되어있어 일광이 그대로 들어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 건물에 2025년부터 세븐일레븐이 들어온다

2.3. 특별교실 II동

II동의 1층은 특별교실 I동의 3층과 바로 이어져 있다. 종합강의실과 AI실이 나란히 마주보고 있다. 3학년 교무실도 이곳에 있다. 3학년 교무실 앞에는 온갖 대학 정보지와 각종 학원 및 문제집 홍보지, 포스터 등이 붙어 있다.
2, 3층에는 6, 7 열람실이 있어 '신연학관'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2] 1, 2학년을 연학관에서 보내고 오면 3학년 때는 이곳에서 자습하게 된다. 2, 3층에는 3학년 열람실, 6과 2분의 1 열람실 이외에도 미술실과 음악실이 존재한다.

1학년만 음악과 미술을 하고, 2,3학년은 체육을 제외한 예체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미술실, 음악실은 쓸 일이 없게 된다. 처음 입학할 때 오케스트라 오디션같이 특별실을 찾아가야 할 일이 있을 때 엄청 헤메게 된다. 특별교실 I동과 겉으로는 이어져 보이기 때문에 가는 길이 여러 가지라고 생각하게 되는데 가는 계단이 한군데 뿐이어서 찾기 힘들다.

2.4. 1학년동

1학년 교무실과 1학년 반이 있다. 맨 아래층인 1층은 교무실이 차지한다. 1학년 교무실 옆에는 여학생 샤워실이 있다. 2층 전체와 3층의 중 한 반(6반)은 여자반으로 쓰고, 3층의 3개의 반과 4층은 남자반이 쓴다. 3층과 특별교실 I동, 4층과 3학년동을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있다. 1반과 2반은 혼자 4층에 있어 조금 고립된 구조이며, 3학년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층에는 여자반과 남자반이 같이 있기 때문인지 핫플레이스다.

2.5. 2학년동

2학년 교무실 및 2학년 반이 있다. 1학년동과 대칭되는 구조라고 보면 된다. 샤워실이나 비올 때 주로 이쪽 통로를 이용하기도 해서 유동인구는 많은 편. 참고로 남자 샤워실이여서 자주 사용 되는데다가 교무실 옆이여서 시끄럽게 떠들면 교무실에서 다 들린다. 남자 샤워실 문 앞에 제발 노래를 부르지 말라. 선생님들은 여러분들의 노래실력이 궁금하지 않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1층이 교무실과 샤워실, 상담실, 2층이 이과 여자반 3반과 문과 여자반 1반, 3층이 문과 여자반 1반과 이과 남자반 3반, 4층이 문과 남자반 1반, 이과 남자반 1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담으로 예전에는 3층 전반이 남학생 반이였던 터라 남자화장실 2개 밖에 없는데, 지금은 문과 여자반 중 한반이 3층으로 오며 화장실이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덕분에 현재 3층의 구조는 5반-4반-6반-3반으로 여자반인 6반은 과학동의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밑에 층으로 내려가야 한다.

2.6. 3학년동

특별교실 II동을 중심으로 좌, 우로 배치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이 여학생동, 오른쪽이 남학생동이다. 좌우 남녀로 나눈 뒤 그 안에서 또 문과 이과반이 나뉘다 보니 자주 안 가면 반 찾기가 매우 어렵다. 3학년동의 각 1층은 1학년들과 2학년들이 쓰고 있긴 하다.

2.7. 연학관

<nopad> 파일:포철고_연학관.jpg
연학관

도서관 및 열람실(자습실), 역사홍보관이 있는 곳. 도서관에는 고등학교 도서관 답게 학문 관련 책이 많다. 특히 과학관련 책들은 사전급 두께를 자랑한다. 컴퓨터와 복사기도 비치되어있어 자료를 찾을 일이 있으면 보통 책보다 인터넷에서 찾는다. 또 급한 메일이나 문서작성을 할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

그룹 스터디 룸(회의실)도 신설되어서 자습 중에 이곳에서 공부를 하거나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실질적인 이유는 대학에서 책읽는 학생들을 높게 쳐주며 도서관이 작아 학교 학생들이 여러 분야의 책을 못 읽게 되면 대학 입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1학년과 2학년은 이곳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하게 된다. 1학년은 5열람실을 사용하게 되고 2학년은 1열람실, 3열람실을 사용한다. 1열람실은 기수에 따라 바뀌지만 대부분 자습참여율과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역사홍보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곳에서 학교의 역사, 상징, 과거 학생이나 교사가 쓰던 일지나 물품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박태준전 포스코교육재단 이사장의 학교 개교 선언문도 존재한다.

2.8. 청암 학사

<nopad> 파일:1512017297935.jpg
청암 학사
도전하는 자가 꿈을 이룬다
기숙사. 전국단위 모집을 시작한 2012년 완공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총 4층까지 존재하며 각 층마다 화장실이 있다.

기숙사 앞에 기숙사 학생들을 위해서 철봉, 체조 도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기숙사 뒷 편에는 암벽 등반이 있으나 들어갈 수는 없다.
  1. 휴게실 : 모임의 장소. 기숙사 내에서 '유일'하게 남녀가 함께 있을 수 있는 공간. 학생들끼리 조 별 활동이나 과제를 할 수 있는 공간. 친구의 생일을 휴게실에서 모여서 파티를 해주는 문화가 있다. 전자레인지가 2개 존재하지만 데워 먹을 수 있는 음식은 한정되어있다. 여러 대의 업소용 냉장고가 비치 되어 있는데 개인 당 하나의 통을 준다. 거기에 본인이 먹을 음식을 채워 넣을 수 있다. 사용하다 보면 통이 상당히 작게 느껴진다.
  1. 공용 세탁실/화장실 :1, 2, 3, 4층엔 세탁기 4대와 건조기 2개가 비치 되어 있다.
  2. 보건실 : 1층에 방 하나를 보건실로 사용하고 있다. 사실 말이 보건실이지 아픈 학생들이 누워서 잘 수 있는 공간이다. 책상도 있어서 간단한 공부도 할 수 있는 공간. 코로나 이후 격리 학생을 수용하기도 한다. 문제는 보건실에 화장실은 있는데 변기가 없다.

2.9. 포스코 교육재단 체육관

파일:포철고체육관.jpg
정확히 포항제철고의 건물은 아니지만 사용 빈도가 높은 건물이다. 사용 빈도가 그냥 높은것이 아니라 체육시간만 되면 이 체육관으로 간다. 1학년동에서 나와 육교를 건너면 있는 곳이다.

포스코 교육재단 사무실과 붙어있는 체육관이라서 재단 내의 모든 학교가 공동으로 사용하지만 약 2013년부터 재단 내 타학교에서 졸업식 때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있다. 위치상 포항제철고에서 실내 체육관 및 강당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 강연회나 행사, 조회 등이 있을 경우 높은 확률로 이곳에서 진행된다. 만약 특히 중요한 행사(학부모 관련 행사, 입시 설명회 등)가 있을 경우, 평화로이 자습하던 학생들을 데리고 가서 의자 배치를 실시한다.

학교 수업이 아닌 동아리 활동을 위해서 체육관을 쓰기 위해서는 꼭 담당 선생이 연습 시작부터 끝까지 같이 있어야 한다.
[1] 모든 변기는 아니지만, 화장실마다 1~2개씩 있다. 6열람실과 7열람실 옆에 있는 화장실에는 비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2] 과거에는 특별교실 I동과 3학년동 사이가 그냥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 건물을 새로 지어서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