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02:55:22

포켓몬 태그스타

포켓몬 메자스터에서 넘어옴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포켓몬스터 외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CA04,#FBC600><colbgcolor=#3861AD,#3861ad> 기기 제목 (세대)
'''[[게임보이|
GB
]] [[Nintendo 64|
N64
]]
[[게임보이 컬러|
GBC
]] [[게임보이 어드밴스|
GBA
]]
[[닌텐도 게임큐브|
GC
]]'''
[[포켓몬 스타디움|
포켓몬 스타디움 (1)
]]
[[포켓몬 카드 GB|
포켓몬 카드 GB (1)
]]
[[포켓몬 스타디움 2|
포켓몬 스타디움 2 (1)
]]
[[포켓몬 스냅|
포켓몬 스냅 (1)
]]
[[포켓몬 핀볼|
포켓몬 핀볼 (1)
]]
[[포켓몬 퍼즐 리그|
포켓몬 퍼즐 리그 (2)
]]
[[포켓몬 스타디움 금은|
포켓몬 스타디움 금은 (2)
]]
[[포켓몬 카드 GB 2 - GR단 등장!|
포켓몬 카드 GB 2 (2)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
빨강 구조대 (3)
]]
[[포켓몬 핀볼 루비 & 사파이어|
포켓몬 핀볼

루비 & 사파이어 (3)
]]
[[포켓몬 콜로세움|
포켓몬

콜로세움 (3)
]]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3)
]]
'''[[닌텐도 DS|
NDS
]]
[[닌텐도 Wii|
Wii
]]'''
[[포켓몬 토로제|
포켓몬 토로제 (3)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
파랑 구조대 (3)
]]
[[포켓몬 레인저(게임)|
포켓몬 레인저 (3)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
시간·어둠의 탐험대 (4)
]]
[[포켓몬 레인저 바토나지|
포켓몬 레인저

바토나지 (4)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하늘의 탐험대 (4)
]]
[[포켓몬 레인저 빛의 궤적|
포켓몬 레인저

빛의 궤적 (4)
]]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4)
]]
[[포케파크 Wii ~피카츄의 대모험~|
포케파크 Wii (4)
]]
'''[[닌텐도 3DS|
3DS
]]
[[닌텐도 Wii U|
Wii U
]]'''
[[슈퍼 포켓몬 대격돌|
슈퍼 포켓몬

대격돌 (5)
]]
[[포켓몬 AR 서처|
포켓몬 AR 서처 (5)
]]
[[포켓몬 트레타#콘솔 이식판|
트렛타 DS (5)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마그나게이트와 무한대 미궁|
마그나게이트와

무한대 미궁 (5)
]]
[[포켓몬 배틀 토로제|
배틀 토로제 (6)
]]
[[포켓몬 아트 아카데미|
포켓몬 아트 아카데미 (6)
]]
[[명탐정 피카츄|
명탐정 피카츄 (6)
]]
[[포켓몬 초불가사의 던전|
초불가사의 던전 (6)
]]
[[포켓몬 피크로스|
포켓몬 피크로스 (6)
]]
[[폿권: POKKÉN TOURNAMENT|
POKKÉN

TOURNAMENT (6)
]]
'''[[Nintendo Switch|
NS
]]'''
[[폿권: POKKÉN TOURNAMENT DX|
POKKÉN

TOURNAMENT DX (7)
]]
[[포켓몬 퀘스트|
포켓몬 퀘스트 (7)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구조대 DX (8)
]]
[[Pokémon Café ReMix|
Pokémon

Café ReMix (8~)
]]
[[Pokémon UNITE|
Pokémon UNITE (8~)
]]
[[New 포켓몬 스냅|
New 포켓몬 스냅 (8)
]]
[[돌아온 명탐정 피카츄|
돌아온 명탐정 피카츄 (9)
]]
[[Pokémon Friends|
Pokémon Friends (9)
]]
[[Pokémon Champions|
Pokémon

Champions (9)
]]
'''[[Nintendo Switch 2|
NS2
]]'''
[[Pokémon Pokopia|
Pokémon Pokopia (9)
]]
'''[[아케이드 게임|
아케이드
]]'''
[[포켓몬 트레타|
포켓몬 트레타

(아케이드) (6)
]]
[[폿권: POKKÉN TOURNAMENT|
POKKÉN TOURNAMENT

(아케이드) (6)
]]
[[포켓몬 가오레|
포켓몬 가오레 (7)
]]
[[포켓몬 태그스타|
포켓몬 태그스타 (8)
]]
[[포켓몬 프렌다|
포켓몬 프렌다 (9)
]]
'''
모바일
'''
[[포켓몬 셔플|
포켓몬 셔플 (6~7)
]]
[[포켓몬 듀얼|
포켓몬 듀얼 (6)
]]
[[Pokémon GO|
Pokémon GO (6~)
]]
[[튀어올라라! 잉어킹|
튀어올라라!

잉어킹 (7)
]]
[[포켓몬 퀘스트|
포켓몬 퀘스트 (7)
]]
[[포켓몬 대격돌SP|
포켓몬 대격돌SP (7)
]]
[[포켓몬 마스터즈|
포켓몬 마스터즈 EX (7~)
]]
[[Pokémon Smile|
Pokémon Smile (8)
]]
[[Pokémon Smile|
Pokémon

Café ReMix (8~)
]]
[[Pokémon UNITE|
Pokémon UNITE (8~)
]]
[[Pokémon Sleep|
Pokémon Sleep (9~)
]]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9~)
]]
[[Pokémon Friends|
Pokémon Friends (9)
]]
[[Pokémon Champions|
Pokémon

Champions (9)
]]
취소선 표시는 서비스 종료, 밑줄 표시는 출시 예정작 ※
이 틀에 없는 작품의 경우 문서가 없는 외전이므로 포켓몬스터/외전 문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포켓몬스터 메인 시리즈
}}}}}}}}} ||


포켓몬 태그스타
ポケモンメザスタ
Pokémon MEZASTAR
파일:포켓몬태그스타로고.jpg
[ 일본어 로고 펼치기/접기 ]
파일:pokemon mezastar japan.jpg
[ 영어 로고 펼치기/접기 ]
파일:pokemon mezastar global.png
<colbgcolor=#004998><colcolor=#f5f4f5> 개발 타카라토미/마벨러스
유통 타카라토미 아츠
플랫폼 아케이드
장르 트레이딩 아케이드 게임
출시
[ 일본 ]
2020년 9월 17일 (제1탄)
2020년 11월 26일 (제2탄)
2021년 2월 10일 (제3탄)
2021년 4월 22일 (제4탄)
2021년 7월 8일 (슈퍼 태그 1탄)
2021년 9월 16일 (슈퍼 태그 2탄)
2021년 11월 25일 (슈퍼 태그 3탄)
2022년 2월 10일 (슈퍼 태그 4탄)
2022년 4월 21일 (슈퍼 태그 5탄)
2022년 7월 7일 (더블 체인 1탄)
2022년 9월 15일 (더블 체인 2탄)
2022년 11월 22일 (더블 체인 3탄)
2023년 2월 2일 (더블 체인 4탄)
2023년 7월 6일 (고저스스타 1탄)
2023년 9월 14일 (고저스스타 2탄)
2023년 11월 22일 (고저스스타 3탄)
2024년 2월 8일 (고저스스타 4탄)
2024년 4월 18일 (고저스스타 5탄)

[ 대만 ]
2025년 4월 2일 (스타더스트 1탄)
2025년 6월 5일 (스타더스트 2탄)
2025년 9월 25일 (스타더스트 3탄)

[ 대한민국 ]
출시 예정
서비스 종료일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4년 6월
한국어 지원 지원 예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세계 지도.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해외 서비스
2.1. 대한민국
2.1.1. 가동 전 정보
3. 게임 플레이
3.1. 메모리 태그/트레이너 ID3.2. 배틀로 겟! 모드3.3. 지금 바로 겟! 모드3.4. 찬스와 보너스
4. 포켓몬 태그5. 관련 상품 목록
5.1. 수납 케이스5.2. 연동 완구5.3. 패키지/세트
6. 비판 및 논란
6.1. 플레이 비용 인상
7. 기타

1. 개요

1탄 홍보 영상(일본판) 등장! 포켓몬 메자스타!!(테마곡)[1]
2020년 9월 17일부터 기동을 개시한 포켓몬스터의 아케이드 외전 게임. 포켓몬 가오레의 후속작이다.

메자스타(mezastar)는 노리다라는 뜻의 메자스(目指す)와 스타(star)를 합친 말이다. 일본어 발음스러워서 그런지 국내에선 '메자스터'라는 이름으로 정착했다.[2] 굳이 따지자면 STAR이므로 '메자스타'가 올바른 발음/표현이다. 한국은 태그와 스타를 합친 '태그스타'.

기기 두개가 연결되어 있는 듯한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간에 칸막이가 쳐져 있다.[3]

일본 본토에선 포켓몬 프렌다와의 세대교체로 인하여 2024년 6월 고져스스타 5탄을 끝으로 가동 종료되었으며, 이후 아시아 등지로 기체가 수출되어 2025년 4월부터 해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 해외 서비스

티저 영상(인도네시아)
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만/중국에서 각각 2025년 4월 1일/4월 2일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을 시작한다.

후술할 다이맥스밴드 완구처럼 기존 내수판에서 전개되었던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관련 요소들을 글로벌 버전에선 모두 배제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듯 했으나 중국에서 리코의 냐오하/로드의 뜨아거 스페셜 태그의 배포가 확정되면서 훗날 우리나라에서도 포애니 관련 스페셜 태그들을 볼 수 있을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생겼다.

또한 사이트에서 트레이너 ID가 언급된 것을 보아, 기존의 가오레 글로벌 버전에서 잘렸던 유저 개인의 저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스타더스트 1탄의 등장 태그들이 공개되었는데, 전작처럼 태그 구성을 일부 바꿔놓았다.[4] 스타더스트라는 부제를 붙인 이유도 일본판과 구별하기 위해서인 듯 하다.

2.1. 대한민국

본래 2025년 7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었어야 했으나 전작의 서비스 종료 발표 시점 이후 반년이 넘은 현재까지 그 어떤 공식 정보도 나오지 않은 상태다.[5]가오레 디스크 재고 소진과 게임 심의 통과에 난향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6]

본토의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혹은 최대한 많이 보존해 우리나라에 들여올 수 있는지가 주 관건이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하여도 일단은 계속 기다려봐야 할 것이다.

2.1.1. 가동 전 정보

2023년 6월 8일, 국내에 포켓몬 태그스타라는 이름으로 상표가 출원되었다.

이후 일본 내에서 포켓몬 프렌다로의 세대교체로 서비스 종료가 공지되자 곧장 한국에서 2024년 5월 24일, 28일에 각각 태그스타 박스와 태그가 KC 인증을 받았다.
2025년 2월 10일에는 또 태그가 Kc 인증을 받았는데, 이번에 인증받은 태그들은 제조국이 일본이다.
2025년 2월 12일에는 다이맥스밴드도 Kc 인증을 받았다.

2025년 3월 발표한 타카라토미 아츠 결산보고안에 대한민국은 2025년 7월부터 기동을 시작할 예정이라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2025년 3월 25일, '포켓몬 태그스타' 상표가 등록되었다.

2025년 6월 16일, 본체 기기가 Kc 인증을 받았다.

3. 게임 플레이

플레이 방법(일본판)

* 일본 내수판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추후 국내 가동 시 게임 방식/명칭 등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3.1. 메모리 태그/트레이너 ID

파일:mezastarmemorytag.png파일:mezastarID.png
메모리 태그 (일본판) 트레이너 ID (글로벌 버전)
아케이드 게임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회원증 시스템이다. 아바타 커스터마이징[7], 하이스코어 저장, 배지, 파트너 포켓몬 육성, 도감 등록, 출석체크와 미션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내장되어있다.

또한 일본판은 공식 홈페이지 외에도 메모리 태그의 데이터를 스마트폰에도 연동시켜 언제 어디서나 나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메자스타 클럽' 이란 별도의 사이트도 존재했는데[8], 글로벌 버전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동전을 넣고 게임을 시작하면 메모리 태그/트레이너 ID를 스캔해달라는 안내가 뜬다. 이때 메모리 태그가 없다면 200엔을 넣고 새로 발급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로벌 버전에서 사용하는 트레이너 ID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 가능하나, 대만의 경우는 세가 타이완 라인 공식계정을 통해, 중국의 경우에는 위챗을 통해 발급하는 등의 차이가 존재한다.

3.2. 배틀로 겟! 모드

  • 에리어 선택
    잡고 싶은 포켓몬을 선택하는 단계. 가오레랑 달리 에리어마다 등장하는 포켓몬이 교집합으로 묶여 있다.[9]
    그레이드 5 이상 포켓몬은 보스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보스 포켓몬은 빨간 아우라를 지니고 있다.
  • 배틀 스타트
    태그스타에서의 배틀은 3대3 턴제 방식이다. 소유하고 있는 태그가 없다면 렌탈 포켓몬을 빌리면 된다.
    배틀이 시작되면 먼저 공격할 포켓몬을 선택한다. 상대 측이 먼저 공격할 포켓몬을 선택하니 그에 맞춰서 공격할 포켓몬을 선택하면 된다. 양쪽이 고른 포켓몬 중 스피드가 빠른 포켓몬이 먼저 공격한다!
    한번 공격한 포켓몬은 다음 라운드에서 힘이 빠지니 그때는 나머지 두 포켓몬 중 하나를 선택하자.
  • 배틀 라운드
    라운드 개수는 총 3라운드+보너스 2라운드[일본]/3라운드[글로벌]로 이루어져 있다.
    라운드가 바뀔때 가끔 보스 포켓몬이 다른 포켓몬을 호출하기도 한다.
    보스 포켓몬을 잡는데 성공했거나 3라운드 까지 보스 포켓몬을 잡지 못했다면 일정 확률로 또 다른 보스 포켓몬이 출몰한다.
  • 겟 타임
    태그스타에선 세 마리중 한 마리만 겟 찬스 상태가 되어도 볼을 던질 수 있고, 한 마리가 반드시 잡힌다. 3라운드+보너스 2라운드니 한 판 당 최대 5번을 던질 수 있는 셈.
    단, 볼을 던지기 전에 미리 동전을 넣어야 한다. 그래서 보스 포켓몬이 겟 찬스 상태가 아닐 땐 볼을 던지는 걸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두 세 마리가 동시에 잡힌다 해도 그 중 한 마리만 가져갈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하자.
    아무도 겟 찬스 상태가 되지 않으면 겟 타임 없이 바로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 스페셜 태그 배틀
    옆 플레이어와 같이 슈퍼스타(그레이드 6)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깜짝 이벤트. 게임을 하다보면 가끔씩 기회가 찾아오는데, 이 때 반대쪽 플레이어까지 수락을 해야만 스페셜 태그 배틀로 진입한다.[12]
    볼을 던지기 전에 돈을 먼저 넣어야 하는 점은 일반 배틀과 동일하며, 양측에서 나온 포켓몬볼 중 더 좋은 쪽의 포켓몬볼이 던져진다. 잡히지 못해도 보너스 겟타임으로 만회할 기회를 주고, 보스 포켓몬이 잡히면 두 플레이어 모두 해당 포켓몬 태그를 획득한다!
  • 트레이너와 배틀
    태그스타에서도 NPC 트레이너와 배틀을 펼칠 수 있다. {배틀로 겟!} 모드를 선택할 때 NPC가 낮은 확률로 플레이어에게 승부를 걸어오는데, 이 때 수락하면 배틀이 성사되고, 거절하면 원래대로 {배틀로 겟!} 모드를 진행한다. 타이틀 화면에서 메모리 태그/트레이너 ID를 스캔하여 직접 NPC 트레이너와 배틀 할 수도 있다. 이벤트 기간엔 아바타에게 입힐 수 있는 코스튬을 승리 보상으로 주기도 한다.
  • 보너스 겟 타임
    배틀이 모두 끝나면 등장하는 코너. 나타나는 수풀은 5개에서 배틀에서 볼을 던진 횟수를 차감한 갯수다. 배틀 도중 볼을 5번 모두 던졌다면 보너스 겟 타임 없이 바로 결과 발표로 넘어간다. 수풀이 풍성하거나 느낌표가 붙어있다면 해당 수풀에서 높은 그레이드의 태그를 겟할 확률이 높으며 가끔 울음소리로 힌트를 주기도 한다. 겟 타임과 마찬가지로 먼저 동전을 넣어야 하며, 타이밍을 잘 맞춰야 내가 원하는 수풀을 고를 수 있다. 스페셜 태그 배틀에서 포켓몬을 잡지 못한 체 여기 왔다면 1회 무료로 퀵볼을 던질 수 있다!

3.3. 지금 바로 겟! 모드

3.4. 찬스와 보너스

전작에서는 찬스가 강제로 발동되어서 Z기술/더블러시를 사용하지 않을려면 룰렛을 x에 맞춰야하는 수고를 해야 했으나, 태그스타는 '사용하지 않는다' 라는 선택지가 따로 추가되어 한 층 편리해졌다.
  • 찬스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13]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다른 찬스들과 다르게 취소할 수 없다. 두 메가진화 심볼이 완전히 겹쳐지는 타이밍에 맞춰 버튼을 누르면 성공이다.
  • Z기술 찬스
    Z기술을 사용 가능한 포켓몬[14] 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화면에 지시하는대로 버튼을 입력하며 Z에너지를 모은다. 빨리 누를수록 Z에너지가 많이 쌓인다.
  • 다이맥스/거다이맥스 찬스
    다이맥스/거다이맥스가 가능한 포켓몬[15]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버튼을 연타해 다이맥스 파워를 모은 후 다이맥스 심볼에 맞춰 룰렛을 멈추면 성공이다. 다이맥스 심볼은 총 3종류가 존재하는데, 그라데이션이 짙은 심볼(레벨 5,레벨 10)일수록 공격 룰렛의 숫자값 상승량이 더 높아진다.
  • 태그어택 찬스
    슈퍼 태그 1탄(일본)/스타더스트 3탄(글로벌)부터 추가된 슈퍼 태그 포켓몬[16]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슈퍼 태그마다 등장하는 태그 어택 포켓몬이 다르다.[17]
  • 더블와자[임시] 찬스
    '더블 체인 1탄'부터 추가된 더블와자를 가진 포켓몬[19]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 체인어택 찬스
    '더블 체인 1탄'부터 추가된 체인어택을 가진 포켓몬[20]들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 테라스탈 찬스
    '고져스스타 1탄'부터 추가된 테라스탈이 가능한 포켓몬[21]이 공격할 때 나타나는 찬스. 버튼을 연타해 테라스탈 파워를 모은 후 룰렛을 총 3번 돌리는데, 3번 중 1번만 테라스탈 심볼에 맞춰도 성공이다. 2번 맞추면 대성공, 3번 맞추면 대대성공이다. 많이 맞출수록 공격 룰렛의 숫자값 상승량이 더 높아진다.
  • 선제공격 찬스
    공격할 포켓몬을 선택했을 때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발동에 성공하면 스피드와 상관없이 무조건 자신의 포켓몬이 먼저 공격한다. 두 개의 버튼을 일정 시간동안 빠르게 연타하면 성공이다.
  • 교환 찬스
    겟 타임에서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볼을 던지기 전에 찬스 문구가 뜨니 참고할 것.[22]
  • 메모리 태그 보너스
    게임 시작 전 메모리 태그를 스캔했다면 볼을 던질때 룰렛에 마스터볼이 하나 더 추가된다.

4. 포켓몬 태그

태그스타 내 수집 대상이자 필수 요소. 커다란 알약 형태를 띄고 있으며, 뒷면의 QR코드를 통해 인식한다.[23]전작 가오레와 다르게 그레이드 1이 삭제되고 최고 등급이 그레이드 6로 상향되었다. 그레이드 5는 스타, 그레이드 6는 슈퍼스타라는 칭호가 붙는다. 그레이드 6 태그는 클리어 블랙에 글리터가 들어있다. 또한 보라색의 스페셜 태그도 존재하며, 지난 시즌의 레어 태그를 복각해주는 태그다.

4.1. 등장 포켓몬 태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 태그스타/태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켓몬 태그스타/태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켓몬 태그스타/태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상품 목록

  • 일본에서 발매된 제품들이며, 일부 제품은 국내에 정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5.1. 수납 케이스

  • 태그스타 박스

    • 가격은 1,000엔.
      태그를 24개까지 수납할 수 있다. 박스 하단엔 메모리 태그를 끼워넣을 수 있다.
  • 태그스타 트렁크

    • 가격은 2,728엔.
      태그를 96개까지 수납할 수 있다. 다이맥스밴드와 메모리 태그도 같이 수납 가능.

        파일:mezastar trunk.jpg파일:mezastar trunk master.webp

        태그스타 트렁크 태그스타 트렁크 마스터 클리어 ver.

        파일:mezastar trunk black.jpg 파일:mezastar trunk pikachu.jpg

        태그스타 트렁크 블랙 스페셜 ver. 태그스타 트렁크 피카츄 ver.
  • 태그 홀더

    • 고리 형식의 휴대용 케이스. '태그 홀더 세트 DX'에 들어있다.

        파일:tag holder set dx.jpg 파일:tag holder set ex pikachu.jpg

        태그 홀더[24] 태그 홀더 피카츄 ver.[25]

  • 태그스타 파일

    • 앨범 형식의 보관함. 태그를 48개까지 수납할 수 있다.

        파일:mezastarfile.jpg

5.2. 연동 완구

  • 포켓몬 다이맥스 밴드 / 포켓몬 태그스타 다이맥스 밴드
    파일:다이맥스밴드완구.jpg

    파일:dynamaxicon.png

다이맥스/거다이맥스 포켓몬들을 확정적으로 다이맥스/거다이맥스 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건이다. 원래 이 완구는 ' 포켓몬 태그스타와도 연동 가능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완구 ' 인데, 수출판 다이맥스밴드는 ' 포켓몬 태그스타 완구 ' 로 강제 편입시키면서 완구에 내장된 캐릭터 보이스(지우,고우,단델)도 삭제되고, 같이 동봉된 단델의 리자몽(거다이맥스) 스페설 태그도 다이맥스 피카츄 스페셜 태그[26]으로 대체하면서 애니메이션 관련 요소들을 모조리 없애버렸다.[27]

사용법은 간단하다. 다이맥스 찬스가 오면 다이맥스 밴드를 가지고 있냐는 안내가 먼저 뜨는데, O 버튼 눌러주고 밴드를 기기에 스캔해주면 된다.

  • 포켓몬 다이맥스 밴드 +
    파일:다이맥스밴드플러스.jpg

    파일:dynamaxicon.png

    전작의 개선판. 지우피카츄(거다이맥스) 스페셜 태그, 지우의 루카리오/고우의 에이스번(체인어택) 스페셜 태그가 같이 동봉되어 있다.
  • 포켓몬 테라스탈 오브
    파일:테라스탈오브완구2.jpg

    파일:테라스탈 아이콘.png
고져스스타 1탄부터 등장하는 테라스탈 포켓몬들을 확정적으로 테라스탈 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건이다. 불빛과 사운드, 캐릭터 보이스(리코,로드,프리드박사)도 내장되어있다.

사용방법은 다이맥스밴드와 비슷하다. 테라스탈 찬스가 오면 테라스탈 오브를 가지고 있냐는 안내가 먼저 뜨는데, O 버튼 눌러주고 오브를 기기에 스캔해주면 된다.

프리드의 리자몽(테라스탈) 스페셜 태그가 같이 동봉되어 있다.

5.3. 패키지/세트

  • 태그스타 고져스 폴더 세트 DX
    태그를 72개까지 수납할 수 있는 폴더와 마스카나(테라스탈), 라우드본(테라스탈), 웨이니발(테라스탈) 스페셜 태그가 포함된 세트다.
    파일:mezastar gorgeous folder set dx.jpg

6. 비판 및 논란

6.1. 플레이 비용 인상[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선 전작 가오레까진 플레이 비용이 4링깃(약 1,300원)이었으나, 태그스타로 세대교체하면서 비용을 5링깃(약 1,600원)으로 올려버렸다. 이에 적잖은 인원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7. 기타

  • 메가진화, Z기술, 다이맥스, 테라스탈이 모두 등장한다. 태그스타가 일본에 서비스를 개시했을 당시엔 소드•실드가 최신작이었기에 다이맥스를 중심으로 탄이 전개되었다. 테라스탈은 스칼렛•바이올렛이 시판된 이후인 고져스스타 시즌부터 등장.

[1] 슈퍼태그, 더블체인, 고져스스타로 시즌이 바뀌어갈때마다 가사도 조금씩 개사되었다.[2]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메자스타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많아졌다.[3] 실제론 하나의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는거라서 전원이 꺼지면 화면 중간의 몬스터볼 모양의 베젤이 사라지는걸 볼수있다.[4] 일본판 1탄과 비교해봤을때 슈퍼스타 포켓몬(그레이드 6)은 자시안/자마젠타/메가리자몽/메가이상해꽃/메가거북왕은 그대로지만 그란돈/가이오가/레쿠쟈/알로라나인테일/피카츄가 뮤츠/뮤/다이맥스 메타그로스/다이맥스 마기라스/미라이돈으로 변경되었다.[5] 같은 회사가 운영하는 프리채널/아이프리와 대조적인 상태라 볼 수 있는데, 이쪽은 가오레보다 1달 반 늦게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으면서도 가오레보다 빠르게 세대교체가 진행되었다. 일부 점포에선 선행 플레이까지 가능했다.[6] 아이프리는 프리채널의 서비스 종료 발표 전인 2025년 5월에 심의가 통과된 반면 포켓몬 태그스타는 2025년 11월 2일 기준으로도 게관위 심의 내역에 조회되지 않는다.[7] 이 때 아바타를 여성으로 설정하면 게임 나레이터도 여성으로 변경되는데, 글로벌 버전은 여성 나레이터의 존재를 삭제해버려 아바타를 여성으로 설정해도 여성 나레이터가 등장하지 않는다.[8] 후속작 포켓몬 프렌다에서 '프렌다 써클'로 계승되었다.[9] 리자몽/이상해꽃, 이상해꽃/거북왕, 거북왕/리자몽 중 리자몽/이상해꽃 에리어를 고르면 리자몽 or 이상해꽃이 뜨는 방식[일본] [글로벌] [12] 이 때, 화면 중간의 베젤이 사라지면서 전체화면으로 통합된다.[13] 메가진화에 성공하면 기본 스테이터스가 상승한다.[14] Z기술은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으며, 반드시 명중한다.[15] 다이맥스/거다이맥스에 성공하면 능력치가 상승하고 다이맥스/거다이맥스 전용기를 사용하며 공격 룰렛 숫자값이 높아진다.[16] 태그 어택에 성공하면 두 마리의 포켓몬이 같이 공격한다.[17] 예를 들어 슈퍼 태그 1탄에 등장하는 슈퍼 태그 피카츄는 태그 어택 시 제크로무가 등장한다.[임시] [19] 전작의 더블러시와 유사한 기믹이다.[20] 전작의 러시콤보와 유사한 기믹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체인어택은 3마리까지 합동 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21] 테라스탈에 성공하면 테라버스트를 사용하며 공격 룰렛 숫자값이 높아진다.[22]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여기서 교환을 신청하는 트레이너는 전작 주인공의 모습을 하고 있다.[23] 적외선 잉크를 사용하여 숨겨져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은 불가능하다.[24] 다크라이, 글레이시아, 리피아 스페셜 태그 포함[25] 피카츄(거다이맥스), 자시안, 자마젠타 스페셜 태그 포함[26] 일본판 제 2탄/스타더스트 1탄의 그레이드 5 다이맥스 피카츄를 그대로 재탕했다.[27] 일본판과 싱가포르판 완구 박스를 서로 비교해봐도 일본판에는 포켓몬스터(2019) 로고가 박스 좌상단에 존재하고 "메자스타와도 연동 가능!"이라는 글꼴이 참고용으로 적혀있는 반면 싱가포르판은 포켓몬스터(2019) 로고가 없다.[말레이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