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 팔레스타인 입법평의회 원내 구성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하마스|하마스[1] 74석 ]] | ||||
[[파타|파타[2] 45석 ]]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해방인민전선 3석 ]] | [[팔레스타인 국민계획|팔레스타인 국민계획 2석 ]] | |||
[[제3의 길(정당)|제3의 길 2석 ]]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해방민주전선 1석 ]] | [[팔레스타인 인민당|인민당 1석 ]] | |||
무소속 4석 | |||||
재적 132석 | }}} }}}}}} |
1. 개요
1993년 오슬로 협정이 채결된 이후 설립된 자치정부의 단원제 입법부.2. 역사
오슬로 협정이 체결되자 만들어진 국회이자 팔레스타인 입법회의 권한은 서안 지구 및 가자지구에서 구획 A와 구획 B의 민간 행정에만 한정되며, 안보 관련 문제는 이스라엘 점령군이 관리하고, 이스라엘이 완전히 통제하는 구획 C는 입법회가 아무런 권한을 갖지 못하고 1996년 1월 20일 첫 번째 총선이 열렸으며, 선거구제에 따른 단순한 다수제를 채택했다. 하마스는 이 총선을 보이콧했으며, 이로 인해 파타가 전체 88석 중 62석을 차지했다. 첫 입법회 회의는 1996년 3월 7일 개최되었다. 팔레스타인 입법회의 목적은, 당초 의회가 설립될 때까지의 임시 기구로 만들어진, 야세르 아라파트-파타 통제 하의 자치 정부를 대체하는 것이었으나, 아라파트는 자신의 권력을 입법회로 넘기지 않았다.2003년 9월 6일, 마흐무드 압바스 총리의 사퇴 후, 입법회 대변인 아흐메드 쿠레이가 총리 대행으로서 활동했다. 쿠레이는 2003년 10월 7일부터 2006년 1월 26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그러나 미국과 이스라엘이 사주한 파타의 쿠데타가 하마스의 반격으로 실패하자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입법부의 활동과 기능을 정지시켰고 현재는 의원들이 간혈적으로 토론하는 활동을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