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패럴림픽 종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빙상 종목 | 설상 종목 |
파라 아이스하키 휠체어 컬링 | 파라 바이애슬론 파라 스노보드 파라 알파인 스키 파라 크로스컨트리 스키 | }}}}}}}}} |
파라 알파인 스키 Para Alpine skiing | |
시각장애 부문, 슬로바키아 선수 헨리에타 파르카쇼바[1] | |
입식 부문, 이탈리아 선수 다비데 벤도티 | |
좌식 부문, 캐나다 선수 커트 오트웨이 | |
스포츠 정보 | |
종류 | 설상 |
장비 | 스키, 좌식 스키, 바인딩, 스키 폴, 아웃리거 스키 폴, 부츠, 헬멧, 근거리 무선 통신 헤드셋, 스피커 |
동계패럴림픽 채택 여부 | 1976년 공식종목 채택 |
동계패럴림픽 세부종목 | 회전 대회전 슈퍼 대회전 활강 복합 |
[clearfix]
1. 개요
Para Alpine skiing시각 장애, 절단, 마비 등 특정 신체 부위를 자유롭게 쓸 수 없는 장애인 선수들을 위하여 기존의 알파인 스키를 개조한 설상 스포츠이다.
2. 하위 종목
원형인 알파인 스키와 같으며, 활강(Downhill), 슈퍼 대회전(Super-G), 대회전(Giant Slalom), 회전(Slalom)으로 나뉘어진다. 활강, 슈퍼 대회전은 1회만 실시하고, 대회전과 회전은 2회를 실시하여 시간을 더하는 것으로 순위를 결정한다.3. 출전 세부 등급
같은 경기를 출전 등급끼리 여러 번 시행하는 하계 올림픽과는 달리, 파라 알파인스키는 크게 시각 장애, 입식, 좌식 세 번을 시행하며, 장애의 종류에 따라 맞춘 시간의 흐름(Factored time)[2]으로 경기를 진행한다.시각 장애인 선수들의 경우, 가이드 러너와 함께 내려오며, 그나마 시력이 남아있는 선수들의 경우, 가이드 러너와 선수는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을, 전맹의 경우 선수는 안대를, 가이드 러너는 등 뒤에 스피커를 착용한다.
하반신 마비 선수들의 경우 입식과 좌식의 기준이 무언가 공통된 부분이 있다보니, 같은 정도의 장애를 가지고 있더라도 입식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있고 좌식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있다. [3]
파라 알파인 스키의 출전 세부 등급 | ||
시각 장애 | ||
등급 | 장애 종류 | 장비 규정 |
B1 | 전맹 | |
B2 | 시력 0.033 이하 | |
B3 | 시력 0.033 초과, 0.1 이하 | |
입식 | ||
LW1 | 보통 혹은 중증 하반신 마비 두 다리 무릎 위로 절단 이외의 동등한 장애 | 스키 두 개[4], 두 개의 아웃리거 스키 폴 |
LW2 | 한쪽 다리 무릎 위로 절단 | 스키 한 개, 두 개의 아웃리거 스키 폴 |
LW3 | 경증 하반신 마비 두 다리 무릎 아래로 절단 이외의 동등한 장애 | 스키 두 개, 두 개의 스키 폴 |
LW4 | 한쪽 다리 근육 결함 한쪽 다리 무릎 아래로 절단 | 스키 두 개, 두 개의 스키 폴 |
LW5/7-1 | 두 팔 팔꿈치 위로 절단 | 스키 두 개, 스키 폴 미사용 |
LW5/7-2 | 한 팔 팔꿈치 위로, 한 팔 팔꿈치 아래로 절단 | 스키 두 개, 스키 폴 미사용 |
LW5/7-3 | 두 팔 팔꿈치 아래로 절단 | 스키 두 개, 스키 폴 미사용 |
LW6/8-1 | 한 팔 팔꿈치 위로 절단 | 스키 두 개, 한 개의 스키 폴 |
LW6/8-2 [5] | 한 팔 팔꿈치 아래로 절단 | 스키 두 개, 한 개의 스키 폴 |
LW9-1 | 보통의 또는 심한 편마비 한 팔, 한 다리 팔꿈치/무릎 위로 절단 | 선택 사용 |
LW9-2 | 약한 편마비 한 팔, 한 다리 팔꿈치/무릎 아래로 절단 | 선택 사용 |
좌식 | ||
LW10-1 | 가슴 바로 아래까지 하반신마비 | 좌식 스키 두 개의 아웃리거 스키 폴 |
LW10-2 | 복부까지 하반신마비 | |
LW11 | 허리 밑까지 하반신마비 | |
LW12-1 | 다리 전체에 중증 하반신마비 | |
LW12-2 | 무릎부터 하반신마비 한쪽 다리 또는 두 다리 무릎 위로 절단 |
4. 주요 선수
맥 마르쿠 : 캐나다 선수[6]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활강 금메달리스트
메나 피츠패트릭 : 영국 선수[7]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회전 금메달리스트
미로슬라브 하라우스 : 슬로바키아 선수[8]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슈퍼 복합 금메달리스트
야쿠브 크라코 : 슬로바키아 선수[9]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슈퍼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자코모 베르타뇰리 : 이탈리아 선수[10].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회전,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자코모 베르타뇰리 : 이탈리아 선수[10].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회전,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헨리에타 파르카쇼바 : 슬로바키아 선수[11].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시각장애 대회전, 슈퍼 대회전, 활강, 슈퍼 복합 금메달리스트
애덤 홀 : 뉴질랜드 선수[14].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입식 회전 금메달리스트.
마리 보셰 : 프랑스 선수[15].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입식 회전, 대회전, 슈퍼 대회전, 활강 금메달리스트.
몰리 젭슨 : 캐나다 선수[16].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입식 슈퍼 복합 금메달리스트.
테오 그뮈흐 : 스위스 선수[17].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입식 대회전, 슈퍼 대회전, 활강 금메달리스트.
디노 소콜로비치 : 크로아티아 선수[18].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회전 금메달리스트.
무라오카 모모카 : 일본 선수[19].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안나 레나 포슈터 : 독일 선수[20].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슈퍼 복합, 회전 금메달리스트.
안나 샤펠후버 : 독일 선수[21].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활강, 슈퍼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앤드류 쿠르카 : 미국 선수[22].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활강 금메달리스트
예룬 캄프스뢰르 : 네덜란드 선수[23].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슈퍼 복합 금메달리스트.
예스페르 페데르센 : 노르웨이 선수[24].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좌식 대회전 금메달리스트.
이치원 : 대한민국 선수[25].
[1] 앞 선수는 당시 가이드 러너, 나탈리아 슈브르토바이다.[2] 예를 들자면, 한 쪽 팔꿈치 아래의 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 정상 시간으로 측정되고, 하반신 마비를 갖고 있는 경우, 시간을 약 80% 정도의 느린 흐름으로 측정한다.[3] 대표적으로 LW1에서 출전하는 앤드류 하라게이 선수와 LW12-1에서 출전하는 앤드류 쿠르카 선수. 인스타그램에서 하라게이 선수가 발가락 부상으로 당시 투어를 종료해야 할 때, 쿠르카 선수가 그냥 좌식 스키를 쓰라고 농담했을 정도.[4] 서로 줄로 묶여있다.[5] 유일하게 정상 시간을 사용하는 등급이다.[6] B3[7] B2[8] B2[9] B2[10] B3[11] 현재 은퇴 (출전 당시 B3)[12] LW6/8-2[13] 당시 패럴림픽 중립 선수로 출전하였다.[14] LW1[15] LW6/8-2[16] LW6/8-2[17] LW9-1[18] LW12-2[19] LW10-2[20] LW12-1[21] LW10-2[22] LW12-1[23] LW12-2[24] LW11[25] LW11[26] LW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