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005BAA,#005BAA><tablebgcolor=#005BAA,#005BAA> | 부산대학교 | }}} | |||||||
| 역대 최고 순위 | ||||||||||
| QS | 세계 | 401-450위(국내 12위) 2012 | ||||||||
| 아시아 | 81위(국내 11위) 2025 | |||||||||
| THE | 세계 | 501-600위(국내 16위) 2025 | ||||||||
| 아시아 | 99위(국내 16위) 2025 | |||||||||
| ARWU | 401-500위(국내 9-12위) 2024 | |||||||||
| CWUR | 442위(국내 11위) 2025 | |||||||||
| USN & WR | 709위(국내 11위) 2025 | |||||||||
| Nature Index | 479위(국내 11위) 2025 | |||||||||
| 연구의 질 평가 | ||||||||||
| QS |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36.7점 2026 | |||||||||
| THE | 연구의 질: 47.8점 2025 | |||||||||
| USN & WR |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 세계 541위 2024 | |||||||||
| CWTS |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 국내 11위 2024 | |||||||||
| 혜택 | ||||||||||
QS 500위 이내 D-10 구직비자와 E-7 취업비자 등을 취득 시 가점+경력제한 철폐+특별 우대 | ||||||||||
QS, THE, USN & WR 500위권 이내 구직목적 방문비자 취득 시 경력요건 면제 | ||||||||||
QS 400위 이내 영주권 취득 시 5점 가산 | ||||||||||
QS 500위 이내 인도 사회정의신장부의 국가해외장학금 선발과정에서 부산대 진학자를 우선선발 | ||||||||||
QS 지정 분야 50위 이내 부산대에서 유학하는 자국 유학생에 대한 해외유학장학금 지원 | ||||||||||
| 연도별 순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연도 | QS | THE | ARWU | CWUR | USN & WR | CWTS PP(top 10%) | Nature Index | ||
| <colbgcolor=#f5f5f5,#f5f5f5>2020 | 521-530위 | 601-800위 | 401-500위 | 449위 | 641위 | 506위 | 459위 | |||
| 2021 | 581-590위 | 801-1000위 | 401-500위 | 449위 | 689위 | 494위 | 434위 | |||
| 2022 | 601-650위 | 801-1000위 | 501-600위 | 444위 | 701위 | 494위 | 434위 | |||
| 2023 | 601-650위 | 1001-1200위 | 401-500위 | 444위 | 698위 | 490위 | 451위 | |||
| 2024 | 611-620위 | 501-600위 | 401-500위 | 450위 | 718위 | 454위 | 494위 | |||
| 2025 | 524위 | 501-600위 | - | 442위 | 709위 | - | 488위 | |||
| 2026 | 473위 | - | - | - | - | - | - | |||
| ※ 각 세계대학평가의 '역대 최고 순위'에 한하여 볼드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