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8 13:21:03

특공 엑스트론

제원
파일:특공엑스트론.jpg
기체 명칭 <colbgcolor=#ededed,#191919> Force X Tron
코어 특공 엑스 머신 특공 엑스봇 볼트봇
머리 및 등 특공 엑스봇 새미봇
특공 엑스봇 루시봇[1]
하반신 특공 엑스봇 맥스봇
전고 10.4m[2]
전폭 8.3m
전장 2.7m
무게 8.8t
연비 121.2km/h[3]
파워 2,700 마력[4]
첫 등장 합체! 특공 엑스트론
(미니특공대 X 에피소드 22)
마지막 등장 특공 엑스트론 최후의 전투
(미니특공대 X 에피소드 26)
희망의 힘으로
(미니특공대 X 에피소드 52)
합체(변형) 특공 엑스트론

1. 개요2. 사용 기술3. 작중 행적
3.1. 미니특공대 X3.2. 미니특공대 X : 펜타트론
4. 활약에 대한 비판5. 완구6. 같이 보기7. 관련 문서

1. 개요

미니특공대 X의 주역 1호 메카.

특공 엑스 머신 새미봇이 머리와 등의 제트 부스터를 맡으며, 볼트봇이 몸통, 루시봇이 팔, 맥스봇이 다리를 맡는다. 전작포스 자이언트론과 마찬가지로 모든 메카[5]가 합체한 4단 합체 모습이다.

2. 사용 기술

  • X 블래스터: 특공 엑스트론의 필살기. 가슴부의 X모양의 빔을 발사한다.[6][7]
  • X 부메랑: X자 모양의 부메랑으로 공격한다.
  • X 부메랑 오버드라이브 모드: 모든 에너지를 X 부메랑에 모은 뒤 그 X 부메랑을 날리며 공격하는 기술. 26화에서 딱 한번 사용되었다.
  • 엑스트론 펀치: 주먹에 에너지를 모아 강력한 펀치 공격을 날린다.
  • 특공 X 드릴킥: 양발의 드릴에 에너지를 모아 강력한 점프 킥을 날린다.

3. 작중 행적

작중 등장이 최후반부였기 때문에 최종병기임에도 불구하고 별 활약을 하지 못했는데, '합체! 특공 엑스트론' 편에서 빅다이노를 무찌르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단봇Z의 습격' 편에서 더 스트롱을 밀어붙인 뒤 마무리 일격을 날리려던 순간 단봇Z의 기습공격을 받는 바람에[8] 오히려 단봇Z와 더 스트롱의 협공을 받고 심하게 망가진다. 결국 어떻게든 긴급수리를 하지만 완전히 복구시키기는 무리였던 모양인지 '특공 엑스트론, 최후의 전투' 편에서 오버 드라이브 모드를 써서 광폭화한 더 스트롱을 쓰러트린 직후 폭발하고 만다.[9][10] 하지만 최종 결전에서 수리가 완료되어 재등장했다.[11]

3.1. 미니특공대 X

3.2. 미니특공대 X : 펜타트론

작중 마지막에서 재등장 라이트 박사가 특공 엑스봇을 수리하고 지원을 보냈다 이후 제노스를 공격하고 특공 펜타트론이 합체할때 합체한다. 이후 레이봇과 단봇 Z가 제노스 를 하늘로 올리자 특공 팬타트론이 코스모 웨이브를 사용하자 같이 X블레스터를 발사하여 마무리한다.

4. 활약에 대한 비판

미니특공대 모든 그레이트 합체 메카 및 최종 메카중 전적이 가장 안 좋은 최악의 메카이다.

첫 등장 때 빅다이노를 압도적으로 밀어붙혔지만 엑스블레스터 충전 때문에 폭파 직전까지 갔었고 더 스트롱도 밀어붙이고 엑스블레스터로 마무리 할려는 순간 단봇Z 기습 하나로 밀렸고 더 스트롱에게도 계속 공격당해 샌드백 신세가 되어 결국 팔 하나가 부서진채 기능이 정지되어 패배하고 말았다 파트1 최종화에서 다시 나왔지만 이번에는 전과 달리 반대로 더 스트롱한테 밀렸다. 강화된 더 스트롱한테 던져지는 굴욕까지 당하고 비록 이기기는 했지만 모든 에너지를 엑스부메랑에 모은 부작용으로 폭파되고 말았다.

이후 극장판 미니특공대: 공룡왕 디노에서도 초반부에 등장했지만 이때도 꽤나 고전하다가 엑스 블래스터 한번 쏘고 바로 퇴장하게 되었다.

파트2 마지막화에 나오기는 했지만 제노스가 약화되었을 때인데다가 엑스블레스터 한번 쏘고 끝이 났다..

다른 미니특공대 그레이트 합체 및 최종메카들은 전부 활약을 많이 하고 몇몇 메카는 최종보스도 멋있게 쓰러뜨리는 등 위상이 아주 높게 나왔다.

포스 자이언트론은 당할뻔했지만 파트1 최종보스를 상대로 위기를 넘기고 승리했고 그 이후 일반 기계몬들 상대로도 승리했고 나인의 로봇한테도 질 뻔했지만 분리를 해서 패배는 면했다. 파트2 최종보스인 파스칼을 상대로 아무런 데미지를 주지는 못했지만 자폭으로 쓰러뜨렸다.

특공 펜타트론은 간부들이나 최종보스에게는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등장할때마다 일반 외계인은 압도적으로 쓰러뜨렸다.[12]

볼트 레전드킹 브이는 2번밖에 출현을 안 했지만[13] 가재괴물을 상대로 압도적으로 이겼고 최종 보스인 바쿠스한테는 한번 밀려 방전되긴 했지만 다시 일어나서 바쿠스를 압도적으로 이겨 최초로 무패신화를 찍었다.

파일:버그단 소탕.gif
저스티스 타이탄은 밀린 적은 있어도 일반 괴인들과 엘리늄으로 강화된 어리,버기를 상대로 이겼고 슈퍼 저스티스 파워로 강화된 이후 엘리늄으로 훨씬 강해진 최종보스인 악테온 및 베헤모스를 압도적으로 쓰러뜨려 버그탄 소탕이라는 업적 및 두번째로 무패신화를 찍었다.
파일:카르노 군단 전멸.gif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은 23화에서 허무하게 리타이되어서 특공엑스트론과 비슷한 처지에 있었지만 전 회차인 22화에서 엄청난 전투력을 보여줘 간부 넷을 압도적으로 쓰러뜨렸고[14] 23화에서도 카르노의 기습 전까지는 폭주한 블랙 버스터를 상대로 무기도 없이 압도했으며 최종화에서 부활한 후에는 최종보스인 강화된 카르노를[15] 상대로 단 1번의 공격도 맞지 않고 압도적으로 쓰러뜨려 평가도 상당히 좋아졌고 23화에서 당한 굴욕을 제대로 갚아주었으며 카르노 군단을 전멸시키는 업적도 달성하여 최종 메카들 중 최고의 활약을 가져가게 되었다.[16]

이러한 적은 활약으로[17] 기습으로 패배하게 만든 단봇Z를 타격 한번 안 받고 압도적으로 쓰러뜨린 레이봇이 더 강한 것 같다는 여론이 나오기도 했고 그레이트 합체라는 칭호가 아까울 정도이다.

5. 완구

특공 엑스 머신 볼트봇, 맥스봇, 새미봇, 루시봇을 합체시켰을 때 구현이 가능하다.

해외판 및 합본판 버전으로도 나왔다.

6. 같이 보기

파일:미특 시즌 2 로고.jpg
미니특공대 X의 주역 메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특공 엑스트론 레이봇 특공 펜타트론
볼트봇
새미봇
맥스봇
루시봇
볼트봇
새미봇
맥스봇
루시봇
리오봇
← 최강전사 메카 목록슈퍼공룡파워 메카 목록→ }}}

미니특공대 시리즈의 주역 메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시즌 1 시즌 2 시즌 3 시즌 4 시즌 5
포스 자이언트론 특공 엑스트론 티라노썬더 애니멀트론 샤크로스브이
시즌 6 시즌 7 시즌 8 시즌 9 시즌 10
헤드캅 렉스카이저
번외
슈퍼다이노7 픽셀파워
슈퍼 다이노 7 픽셀 하이퍼 킹
}}}}}}}}} ||

미니특공대 시리즈의 그레이트 합체 메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시즌 1 시즌 2 시즌 3 시즌 4 시즌 5
포스 자이언트론 특공 엑스트론
특공 펜타트론
슈퍼 티라킹 - 볼트 레전드킹 브이
시즌 6 시즌 7 시즌 8 시즌 9 시즌 10
저스티스 타이탄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 - - -
번외
픽셀파워
픽셀 하이퍼 킹
}}}}}}}}} ||

7. 관련 문서


[1] 유일하게 반으로 갈라져 합체한다.[2] 8,90년대 준대형 버스와 비슷하며, 국내에선 대우 BS105(실제길이 10.43m),대우 BF105와 비슷한 길이다.[3] 이게 얼마나 좋은거냐면 대우 티코 보다 5배, 현대 아반떼 CN7보다 6.4배, 현대 투싼 ix FCEV 수소차보다 1.7배나 높은 연비다!![4] 6~70년대 디젤기관차, 21세기 디젤기관차와 비슷한 출력이며, 국내에선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3000마력) 보다 살짝 낮은 출력이다.[5] 레이봇은 제외.[6] 단, X 블래스터는 완성된 기술이 아니라서 에너지 충전이 필요하며, 충전 중에는 움직일 수 없어 그시간동안 무방비 상태라 충전될 때까지 적들한테 맞고만 있어야 한다. 충전 시간은 30초.[7] 그러나 마지막 화인 52편에선 바로 합체한 다음 제노스 한테 X 블래스터를 아무 충전 타임 없고 바로 쐈는데, 이걸 보아 라이트 박사 본인이 그 기술을 완성한 듯.[18][8] 하필이면 상술된 X블래스터의 오래 걸리는 충전시간이 발목을 잡았다.[9] 이전 시즌의 특공카들의 경우 포스 자이언트론으로 합체한 상태에서 파스칼과 최후의 전투를 벌이다가 폭파되었음에도 불과하고 다시 자력으로 재조립해서 육체는 그나마 멀쩡해지는 사기성 기능을 보유했었다. 이 때문에 특공카에 비해 내구도가 약해보일 수도 있겠지만 '특공 엑스트론, 최후의 전투' 편의 특공 엑스트론은 '단봇Z의 습격' 편에서 심하게 대파된 것을 긴급수리로 겨우 내보낸 불완전한 상태였기에 내구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참고로 엑스 부메랑이 더 스트롱을 흔적도 없이 숙청한 것으로 봤을 때, 폭발할 수밖에 없는 전투였다.[10] 그리고 사실상 잔해 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에 자력으로 재조립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특공카들은 부분만 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11] 이를 보아 특공 엑스 머신의 잔해를 수거해서 펜타 엑스봇을 만든 것은 아닌 듯 하다.[12] 부시익한테는 단봇Z의 기습으로 인해 패배할 뻔 했다.[13] 출현이 가장 적다.[14] 간부 셋이 공격를 한대만 맞았는데도 리타이어 됬을 정도[15] 그레이트 코인을 포함한 모든 다이노이드 코인의 힘을 흡수한 상태였다.[16] 볼트 레전드킹 브이와 저스티스 타이탄은 무패신화를 찍었지만 볼트 레전드킹 브이는 2번밖에 출현을 했고 바쿠스한테는 한번 밀렸었고 저스티스 타이탄은 일반 괴인들 및 간부한테는 이겼지만 밀리는 모습도 가끔씩 보여주었다. 최종보스는 타격없이 압도적으로 이겼지만 이때는 슈퍼 저스티스 파워로 강해진 상태임을 감안해야 한다. 그에 반해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은 폭발 여파에 의해 파괴된걸 제외하면 데미지를 제대로 받은 적이 없다.[17] 심지어 등장횟수만 따지면 총 5회로 특공 펜타트론 다음으로 포스자이언트론과 동일하게 많이 등장했음에도 재대로된 활약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