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2:07:16

투팍 샤커/디스코그래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투팍 샤커

파일:투팍 로고.png

{{{#!folding [ 정규 앨범 ]
{{{#!folding [ 사후 앨범 ]
{{{#!folding [ 관련 문서 ]

1. 디스코그래피
1.1. 정규 앨범1.2. 사후 앨범
1.2.1.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1.2.2. R U Still Down?1.2.3. Greatest Hits1.2.4. 2Pac & Outlawz - Still I Rise1.2.5. Until The End Of Time1.2.6. 기타

[clearfix]

1. 디스코그래피

2pacalypse Now'부터 'All eyez on me'까지는 투팍이 생전이 발매한 스튜디오 정규 앨범이고 그 다음부터 나오는 앨범은 거의 미수록곡을 짜깁기해서 나온 곡이다. 2006년 이후 사후 앨범도 나오지 않고 있다. 2016년 현재까지는 이제껏 존재한 모든 래퍼 들중 에미넴과 더불어 총 2장의 다이아몬드 앨범[1]을 가지고 있는 단 2명의 래퍼 중 한 명이다.[2] 참고로 전세계적으로 음반 시장은 계속 줄어들고 음원 시장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니, 아마도 다이아몬드 앨범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달성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1.1. 정규 앨범

1.1.1. 1집 2Pacalypse Now[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Pacalypse Now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2집 Strictly 4 My N.I.G.G.A.Z...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rictly 4 My N.I.G.G.A.Z...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 3집 Me Against The Wor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e Against The Wor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4. 4집 All Eyez On 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ll Eyez On M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투팍의 첫 다이아몬드 앨범

데스 로우 레코드가 보석금을 내고 투팍을 석방하는 조건으로 투팍과 계약한 뒤 투팍이 그곳으로 소속사를 옮기면서 발매한 앨범이다. 힙합 앨범 사상 최초의 더블시디로 제작되었다.[4] 톱스타 반열에 올라선 당시 투팍의 위치를 대변해주는 앨범으로 닥터 드레 같은 최고의 프로듀서가 만든 비트와 조지 클린턴이나 로저 트루먼 같은 전설적인 뮤지션들까지 참여해서 그야말로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었다. 피쳐링진도 스눕 독독 파운드 같은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서부 힙합 뮤지션과 더불어 메소드 맨 & 레드맨 같은 동부 힙합을 대표하는 래퍼들까지 참여하였다. 상업성과 작품성 모두를 겸비한 명작 앨범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지금도 최고의 힙합 앨범을 꼽을 때 베스트 10~20 정도 안에는 반드시 들어가는 앨범이기도 하다. 투팍의 앨범 중 2000년에 와서 재발매되는 앨범이기도 하다.

1.2. 사후 앨범






데스로우 엔지니어 및 관계자들의 증언.

파일:2Pac-Drafts-Makaveli-Tracklist.jpg.webp
투팍이 생전에 남긴 Makaveli 앨범 원래 트랙리스트.

유튜브의 떡상으로 인해 투팍 생존 당시 녹음한 마스터링 원곡이 OG라는 이름으로 다 올라왔으니 유튜브를 통해 감상하는 것이 좋다. 원래 버전은 하나같이 훌륭한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5] 2021년 현재 아직도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미발표곡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개중에는 유튜브에서만 들을 수 있는 곡들도 있다.[6] 그리고 아예 세상에 오픈되지 않은 곡들도 다수 존재한다.[7]

물론 앨범들은 평가가 나쁘지만 원곡을 더 깔끔하게 리메이크한 형식으로 나온 곡도 많으며 원곡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곡도 있다.

1.2.1.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명목상으로는 사후 앨범이지만, 생전에 모든 작업을 끝마친 뒤 발매 직전에 투팍이 사망한 것이기에 절대다수가 1~4집과 묶어서 본다.

1.2.2. R U Still Down?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Kn%2BdkwOdL.jpg

1997년 발매된 투팍의 사실상 첫 사후 앨범. 투팍이 데스 로우로 옮기기 전의 미공개곡들을 모아놓은 작품이다. 사후 앨범이긴 하지만 원곡이 리믹스 없이 그대로 담긴 곡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퀄리티는 괜찮은 편이다. 굳이 더블 앨범으로 만든 점 때문에 곡 간의 편차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사후 앨범 중 가장 좋은 평을 받는다.

1.2.3. Greatest Hits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dMZ6YprAL.jpg

1998년에 발매된 베스트 앨범이자, 투팍의 두번째 다이아몬드 앨범. 사후에 나온 베스트 앨범 미발표곡 중 하나였던 'Changes'가 대히트를 쳤다. 아마 투팍의 대박을 친 곡들은 여기에 다 수록되어 있으니 베스트 앨범 중에서 입문자에게나 매니아에게도 소장가치가 상당히 있는 편이다. 또한 그 유명한 'California Love'의 오리지널 버전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이기도 하다.[8] 컴필레이션이므로 투팍의 정규 앨범들과 동일선상에 놓고 볼 수는 없지만, 투팍의 명곡들을 모아 듣고 싶다면 좋은 앨범.

1.2.4. 2Pac & Outlawz - Still I Rise

파일:external/images.genius.com/eede5d9e1275c224acc3001ae8a6e659.500x500x1.jpg

1999년에 발매된, 투팍의 크루인 Outlawz와 함께 합작한 앨범. 투팍의 전담 프로듀서나 다름없는 Johnny J가 대부분을 프로듀싱하였다. 이 중에서 'Keep Ya Head Up'의 후속곡 격인 'Bady Don't Cry' 수록되었다.

프로듀싱 자체는 그럭저럭 되었으나 투팍 생전에 나온 앨범들과는 비할 바가 못 되고, 무엇보다 Outlawz 멤버들이 투팍에 비해 심각하게 랩을 못한다. 평가 자체는 평균을 웃도는 정도.

1.2.5. Until The End Of Time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435y6IkwL.jpg

2001년 발매된, 역시 미발표곡 모음집. 프로듀싱을 전부 다시 했지만 이전곡들이 더 좋았다고 하는 평이 절대다수이다. 그러나 평가에 상관없이 투팍의 사후 앨범들은 계속 차트인에 성공했다.

BET는 2014년에 '가장 위대한 사후 앨범 25개' 중 이 앨범을 3위에 올렸다.

1.2.6. 기타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059958398-y7a8s5-t500x500.jpg
2003년 발매된 또다른 미발표곡 모음집. 투팍의 사후 앨범 중 그나마 이때까지가 들어줄 만하다는 평을 받는다.

수록곡 중 하나인 Thugz Mansion (Nas Acoustic)은 Nas의 6집 God's Son에도 수록되었다.

현재까지 마지막으로 발매된 투팍의 2CD 사후앨범.

파일:external/extraimago.com/2Pac-Nu-MixxKlazzics.jpg

2003년 발매된 리믹스 앨범. 웬만한 팬 리믹스보다도 못한 퀄리티이다. 평가도 매우 좋지 않은 편.

파일:external/4.bp.blogspot.com/2003+-+Resurrection+OST.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3년 발매된 영화 투팍의 OST. 별 주목을 받지 못했고 굳이 소장하는 팬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후 나온 사후 앨범들에 비해 평은 양호한 편.

파일:external/hw-img.datpiff.com/2PAC_SNOOP_DOGG_DR_DRE_OUTLAWZ_2pac_-_Live_In_This-front-large.jpg

2004년 발매된 투팍의 라이브 앨범. 여러 공연에서 나온 라이브를 짜깁기해 발매한 앨범이다. 음질부터가 뭔가 문제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파일:external/gangstaraptalk.com/1406500295_H0tvENU.png

2004년 발매. 이 정도부터는 투팍의 팬이라도 굳이 소장할 필요가 없다. 에미넴이 프로듀싱한 것에 투팍의 목소리만 덧붙인 것인데, 프로덕션부터 믹싱까지 잘 완성된 부분이 없다. 심지어 투팍의 목소리에 손을 대 목소리가 쉰 것처럼 들리는 곡도 많다. 'Ghetto Gospel' 정도가 명곡으로 평가받으나, 해당 곡도 어색한 믹싱은 여전하다.

파일:external/i1.sndcdn.com/artworks-000042220012-g6igt7-t500x500.jpg

2006년 발매.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투팍의 열렬한 팬이 아니라면 듣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전체적인 앨범 퀄리티가 나쁜 편이다.

투팍의 11집은 언젠가 나올 것이지만 언제 낼진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1] 미국 내 앨범 판매량 천만장 이상이 다이아몬드 앨범의 조건이다.[2] 다이아몬드 앨범을 한장 가지고 있는 래퍼는 찾아보면 좀 있지만 다이아몬드 앨범을 두장 가지고 있는 래퍼는 앞서 언급했듯이 현재까지는 에미넴과 투팍뿐이다. 2022년 3월 'Curtain Call: The Hits'가 다이아몬드를 달성하며 에미넴의 다이아몬드 앨범은 총 3장이 됐다.다이아몬드 앨범 리스트. 매체가 다양해지고 디지털 음원이 강세가 된 지금 시점에선 앞으로 나오기가 매우 힘든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3] Apocalypse Now라는 영화에서 따왔다.[4] 이로 인하여 더블앨범 제작이 유행이 되기도 했다.[5] 미발표곡들은 대략 100여곡 가량 넘으며, 이 곡들은 투팍이 가석방되고 드레가 떠난 이후 96년 3~8월에 거의 대부분 작업되었다.[6] Did it all b4, Reinconation, Don't stop the music 등등.[7] Ain't livin, Too tight 등등.[8] 그 전에는 오리지널 버전이 싱글로만 발매가 되었고 All Eyez On Me에 수록된 버전은 리믹스 버전인데 오리지널 버전을 더 선호하는 사람들이 꽤 있기 때문에 이 곡의 수록된 것이 더더욱 의미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