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파 두 브라질 | ||
정식 명칭 | 코파 두 브라질 Copa do Brasil | |
창설 | 1989년 | |
참가 구단 수 | 브라질 축구 연맹에 등록한 92개 구단 | |
최근 우승 구단 | CR 플라멩구 (2024) | |
최다 우승 구단 | 크루제이루 EC (6회) | |
웹 사이트 | Copa do Brasil |
[clearfix]
1. 개요
코파 두 브라질(Copa do Brasil)은 브라질의 국내 컵 대회이다. 브라질의 FA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대회에는 브라질의 전체 26개 주 및 연방구를 대표하는 92개 팀[1]이 참가한다. 일반적으로 각 주, 연방구에서 열리는 주 리그의 전년도 우승, 준우승 클럽 및 기타 자격을 충족하는 클럽들이 출전한다.<참가 클럽>
- 전년도 코파 두 브라질 챔피언
- 전년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챔피언 (브라질 팀이 우승시)
- 전년도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 (브라질 팀이 우승시)
- 전년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전국 리그) 상위 6개[2] 클럽
- 전년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전국 리그 2부) 챔피언
- 코파 두 노르데스치[3] 챔피언
- 코파 베르지[4] 챔피언
- 27개 주 대회에서 순위권에 든 총 70개 클럽[5]
- 위 모든 조건에 들지 못한 클럽 중 CBF 랭킹 상위 10개 클럽
우승 클럽은 다음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이 주어진다. 대회는 홈 앤드 어웨이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합계 점수가 동점인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된다[6].
2001년부터 2012년까지는 같은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는 클럽은 참여할 수 없었다.[7]
스폰서 이름에 따라 '코파 □□ 두 브라질' 이라고 불린다. 2009년부터 기아자동차가 대회 스폰서가 되면서 코파 기아 두 브라질(Copa Kia do Brasil)이라고 불렸고, 2013년부터는 브라질 육류가공업체 사디아(Sadia)가 대회 스폰서가 되면서 코파 사디아 두 브라질(Copa Sadia do Brasil)로 불렸다. 2017년부터는 콘티넨탈 AG가 대회 스폰서가 되었다. 2021~22년에는 전자통신기업 인테우브라스(Intelbras)가 스폰서가 되었고, 2023년부터는 온라인 베팅사이트 베타노(Betano)가 스폰서가 되었다.
2. 역대 결승전 연혁
연도 | 우승팀 | 결과 | 준우승 |
1989 | 그레미우 | 0-0 2-1 | 스포르트 |
1990 | 플라멩구 | 1-0 0-0 | 고이아스 |
1991 | 크리시우마 | 1-1 0-0 | 그레미우 |
1992 | 인테르나시오나우 | 1-2 1-0 | 플루미넨시 |
1993 | 크루제이루 | 0-0 2-1 | 그레미우 |
1994 | 그레미우 | 0-0 1-0 | 세아라 |
1995 | 코린치안스 | 2-1 1-0 | 그레미우 |
1996 | 크루제이루 | 1-1 2-1 | 파우메이라스 |
1997 | 그레미우 | 0-0 2-1 | 플라멩구 |
1998 | 파우메이라스 | 1-0 0-0 | 고이아스 |
1999 | 주벤투지 | 0-0 2-1 | 보타포구 |
2000 | 크루제이루 | 1-0 0-0 | 상파울루 |
2001 | 그레미우 | 1-0 0-0 | 코린치안스 |
2002 | 코린치안스 | 1-0 0-0 | 브라질리엔시 |
2003 | 크루제이루 | 1-0 0-0 | 플라멩구 |
2004 | 산투 안드레 | 2-2 2-0 | 플라멩구 |
2005 | 파울리스타 | 1-0 0-0 | 플루미넨시 |
2006 | 플라멩구 | 1-0 0-0 | 바스쿠 다 가마 |
2007 | 플루미넨시 | 1-1 1-0 | 피게이렌시 |
2008 | 스포르트 | 1-3 2-0 | 코린치안스 |
2009 | 코린치안스 | 2-0 2-2 | 인테르나시오나우 |
2010 | 산투스 | 2-0 0-1 | 비토리아 |
2011 | 바스쿠 다 가마 | 1-0 2-3 | 코리치바 |
2012 | 파우메이라스 | 2-0 1-1 | 코리치바 |
2013 | 플라멩구 | 1-1 2-0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2014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0 1-0 | 크루제이루 |
2015 | 파우메이라스 | 0-1 2-1 4-3(PSO) | 산투스 |
2016 | 그레미우 | 3-1 1-1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017 | 크루제이루 | 1-1 0-0 | 플라멩구 |
2018 | 크루제이루 | 1-0 1-2 | 코린치안스 |
2019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1-0 2-1 | 인테르나시오나우 |
2020 | 파우메이라스 | 1-0 2-0 | 그레미우 |
2021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4-0 2-1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2022 | 플라멩구 | 0-0 1-1 6-5(PSO) | 코린치안스 |
2023 | 상파울루 FC | 1-0 1-1 | 플라멩구 |
2024 | 플라멩구 | 3-1 1-0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3.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횟수 | 우승연도 |
크루제이루 | 6 | 1993, 1996, 2000, 2003, 2017,2018 |
플라멩구 | 5 | 1990, 2006, 2013, 2022, 2024 |
그레미우 | 5 | 1989, 1994, 1997, 2001, 2016 |
파우메이라스 | 4 | 1998, 2012, 2015, 2020 |
코린치안스 | 3 | 1995, 2002, 2009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 | 2014, 2021 |
크리시우마 EC | 1 | 1991 |
인테르나시오나우 | 1 | 1992 |
EC 주벤투지 | 1 | 1999 |
EC 산투 안드레 | 1 | 2004 |
파울리스타 FC | 1 | 2005 |
플루미넨시 | 1 | 2007 |
스포르트 헤시피 | 1 | 2008 |
산투스 FC | 1 | 2010 |
바스쿠 다 가마 | 1 | 2011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1 | 2019 |
상파울루 FC | 1 | 2023 |
[1] 2021년부터.[2]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이 둘 다 브라질에서 안 나올 경우 세리 A 상위 7개 팀이 출전.[3] Copa do Nordeste. 북동부 9개주 컵대회.[4] Copa Verde. 북부 7개주, 중서부 3개주, 연방직할구, 이스피리투산투까지 12개주 클럽이 참여하는 컵대회.[5] 주별로 할당된 진출권에 따라 최소 1팀~최대 5팀 참가. 보통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출전한다. 규모가 작은 주 대회는 우승팀만 출전권을 받기도 하며, 상파울루나 리우데자네이루처럼 규모가 큰 주에서는 5팀씩 나오기도 한다.[6] 단, 같은 도시 팀 간의 경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7] 그래서 이 시기에는 전년도 챔피언의 연속 우승이 불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