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11:55:13

코트디부아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bdb76b> 파일:럭비 아프리카.png럭비 아프리카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가나 국기.svg <colbgcolor=#fff>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colbgcolor=#fff>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colbgcolor=#fff> 기니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colbgcolor=#fff> 나미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11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파일:코트디부아르럭비팀.png
코트디부아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Ivory Coast national rugby union team
Équipe de Côte d'Ivoire de rugby à XV
별칭 레 엘레팡 (Les Éléphants)[1]
소속단체 코트디부아르 럭비 연맹
감독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앙드레 아도포 (André Adopo)
주장 도브 코스 (Dov Kosse)
홈 경기장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Stade Félix-Houphouët-Boigny)
첫 국제경기 vs 짐바브웨 (9:22)1990년 5월 5일
최대 승리 VS 모리셔스 (83:3)2013년 6월 26일
최대 패배 vs 스코틀랜드 (0:89)1995년 5월 26일
럭비 월드컵 1회 진출
최고 조별리그
세계 랭킹 최고 38위(2021) / 최저 67위(현재)
역대 전적 63전 29승 3무 31패(46.0%)

1. 개요2. 역대 전적
2.1. 주요 대회 성적2.2. 국가별 상대전적
3. 선수단

1. 개요

코트디부아르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여기도 럭비를 하나 싶겠지만 놀랍게도 럭비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이 있는 나라다. 1995 럭비 월드컵 예선에서 튀니지, 모로코, 나미비아, 짐바브웨를 모두 꺾고 아프리카 예선을 통과한다. 하지만 이후로 실력을 발전시키지 못하면서 아프리카 내에서도 순위가 밀렸고 지금은 아프리카 5강에도 들지 못한다. 하락세는 계속되어 이젠 재기 불능 상태까지 내려갔다.

2. 역대 전적

2021년 7월 12일 기준. 출처 월드컵 지역 예선에만 머무는 팀들은 집계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실제 기록은 더 많을 수 있다.

2.1.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미초청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예선 탈락 아프리카 4위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예선 탈락 아프리카 4위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예선 탈락 아프리카 5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예선 탈락 아프리카 5위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예선 탈락 아프리카 3위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예선 탈락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예선 탈락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예선 탈락
럭비 아프리카 컵 (2000 ~ )
<rowcolor=#fff> 참가국 우승 (최근) 준우승 (최근)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9회 (2022) 3회 (2025)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3회 (2025) 3회 (2015)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2회 (2013) 4회 (2022)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회 (2005) 3회 (2004)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1회 (2007) 1회 (201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3회 (2011)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 2회 (2007)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1회 (2024)
아직까지 무관으로, 아프리카에서 5~6위정도 되는 실력이라 3위 이내로 진입한 적도 없다. 2007년 4위, 2008-09년 4강 진출이 최고 기록이다.

2.2.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3전 3패 0%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2전 2패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전 1패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전 1패 0%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전 1패 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전 1패 0%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전 1패 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13전 2승 1무 10패 15.4%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5전 2승 1무 2패 40%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2전 1승 1패 5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4전 2승 2패 5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8전 5승 1무 2패 62.5%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6전 5승 1패 83.3%
그외[2] 9전 9승 100%

3. 선수단

나라 자체가 프랑스어를 쓰다보니 선수들도 프랑스로 진출을 많이 한다. 2021-22 럭비 아프리카 컵 당시 발표된 41명의 선수들을 보면 33명이 프랑스 클럽이다. 프로급 선수도 5명이 있는데 각자 스타드 프랑세, US 카르카손, 오요나 럭비RC 마시 에손에 소속되어 있었다. 3부 리그인 나시오날까지 합하면 10명을 훌쩍 넘는다.


[1] 코끼리(The Elephants)[2] 가나, 보츠와나, 카메룬, 나이지리아, 르완다. 잠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