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최우제/국가대표 경력/2023년|{{{#!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최우재의 연도별 국가대표 경력 일람 | ||||
| 국가대표 | → | 2023년 | → | 미정 |
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감독 | kkOma ]] | |
| 분석 | Zefa ]] | Khan ]]Wolf ]] | ||
| 로스터 | |||
| TOP | Zeus ]] | ||
| JGL | Kanavi ]] | ||
| MID | Chovy ]] | Faker ]] | |
| BOT | Ruler ]] | ||
| SPT | Keria ]] | ||
| |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LOL) 국가대표팀 최우제 (Choi Woo-je) |
1.1. 평가전
| |
1.2. 본선
8강전 손쉽게 이기며 4강에 진출하였다. 4강 상대는 빈인데, 작년 MSI에서는 최우제 선수가 탑 라인전을 압도하여 천쩌빈 선수 본인이 패배를 인정했지만 올해 MSI에서는 시종일관 밀리는 모습을 보여 제우스가 불안하다는 평가가 주류였다.하지만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제우스가 빈을 시종일관 압도하였다. 4강 중국전 바론 버프를 두르고 중국 측 미드 1차타워를 압박하던 중, 천쩌빈의 레넥톤이 합류가 늦는 것을 간파한 최우제, 류민석의 이니시로 시작된 교전에서 잘 큰 줘딩의 르블랑을 박재혁-서진혁이 제대로 마크하고 끊어내면서 중국 측 챔피언을 셋을 잡아내며 순식간에 5:2 구도가 되었고, 중국의 1차 타워를 밀어낸다.
| |
2세트전 유리한 흐름을 가져온 대한민국은 정지훈의 탈리야 궁극기를 활용해 벽을 치면서 중국에게 교전의 불리함을 강요하고 3용을 챙긴다.
| |
중국 측에서는 교전때 어떻게든 자오자하오의 징크스가 킬을 내고 패시브를 터트리면서 활약하는 것밖에 믿을 구석이 없게 되었고, 대한민국 선수들은 이를 잘 알고 있다는 듯 징크스를 먼저 공격적으로 마크하면서 미드 쪽 한타에서 승리해 4용과 바론을 모두 챙긴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지훈의 탈리야 궁극기와 함께 대한민국이 한 수 위의 교전력을 보여주면서 장로 드래곤 앞에서 중국의 챔피언을 대거 잡아내고 그대로 넥서스까지 진격하며 경기를 끝낸다.
1.3. 총평
| |
결승 대만전 2:0으로 승리하며 아시안게임 우승을 하며 금메달과 군면제를 얻었다. 다른 탑솔러는 당연하고 중국의 빈 상대로도 나름 판정승을 거두었다는 평을 받았다. 비록 빈이 두 판 연속 레넥톤을 하는 동안 라인전이 불리한 오른과 잭스를 들고 초반 단계에서 밀리긴 했지만, 오른으로 마지막 한타의 이니시를 열어주거나 잭스로 빈을 솔킬 따면서 팀원에게 바론을 선물하고 굳히기를 확정짓는 등 중요한 순간에 한번씩 기여했다.
다른 선수들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제우스는 아직도 2004년생, 19세로 어린 만큼 예술체육요원 편입 특례가 추후 제우스의 몸값이 상승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