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09:00:09

주혜린(가수)


주혜린
Hyelyn Joo
파일:주혜린 stereo 프로필사진.webp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데뷔 2021년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px;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데뷔일로부터 [dday(2021-01-13)]일
가족 부모님, 남동생
MBTI INFP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3.2. EP
3.2.1. COOL3.2.2. stereo
3.3. 싱글
3.3.1. Kids3.3.2. 미안해3.3.3. 미장원
4. 공연
4.1. 단독공연
4.1.1. mono4.1.2. Stereotypes
4.2. 페스티벌
5. 방송6. 수상 내역7.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싱어송라이터, 2021년 Single "Kids"로 데뷔하였다.

2. 생애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 출신, 나이는 비공개[1]이다.

주혜린은 중학생 시절 공부를 매우 잘해서[2] 두뇌 유망주였다고 한다. 인생에서 공부를 가장 잘하고 있던 중학교 2학년 어느 날, 주혜린은 어머니가 운전하는 차 안에서 "노래를 하고싶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이후, "실용 음악 학원 오디션에서 1등[3]을 하면 허락해주겠다"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오디션에 참가, 실제로 위 오디션에서 1등[4]을 하면서 음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보컬전공으로 대학진학에 성공하였고, 대학 재학 및 휴학 기간 중 프로듀서로 활동하던 구영준, 박준우을 만나, 그들의 작업과정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작곡을 시작하게 되었다.

주혜린은 2021년 1월 첫 싱글 <Kids>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고, 같은 해 11월 싱글 <미안해>를 발표하였으며, 2022년에는 싱글 <미장원>을 발표하였다[5].

이후 2023년에는 1년의 준비 기간을 거쳐 10월에 Ep <COOL>을 완성하였고, 2024년 2월에 발표하였다. 2024년 11월, 첫 단독 공연(Mono)을 성황리에 마쳤으며, 위 앨범으로 한국대중음악상 2개 부문(올해의 신인, R&B 소울 노래)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2025년에는 EP <stereo>를 발매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가는 한편 여러 페스티벌에 참여하면서 본인의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2일, 단독공연(Stereotypes)을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팬층을 공고히 하고있다.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3.2. EP

3.2.1. COOL

<colbgcolor=#bada55><colcolor=white> Cool
파일:Cool앨범자켓.jpg
발매일: 2024년 2월 27일
<rowcolor=white> 트랙 제목 작사 작곡 영상
1 Kiss!TITLE 주혜린 박준우, 주혜린[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미친 건가(Crazy)TITLE[7] 주혜린 haventseenyou, 주혜린, 박준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B-YUM 주혜린 주혜린, 박준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복도식 아파트 주혜린 박준우, 구영준, 주혜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넌 다 알면서도 주혜린 주혜린, 박준우

"이 노래를 들었을 때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어요"
  • 주혜린은 좋은 음악을 들을 때면 '바람이 부는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 그래서 자신의 음악을 들을 때도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Cool'이라는 앨범 이름을 정했으며, 곡 작업을 할 때도 "바람이 안 불잖아."라던가, "좋아, 바람분다"와 같은 표현을 많이 했다고 한다.
  • 2023년 10월에 이미 완성되었으나, 추운 겨울에 이 앨범을 듣게하고 싶지 않아서 발매를 늦췄다.
  • 초반에 만든 곡들을 1년 동안 다듬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다.
  • 내기 직전(발매 1주일 전)에는 몹시 불안한 마음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만드는 과정에서는 음악 자체에 대한 불안감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 앨범 비주얼 아트는 Soyo 작가가 진행했다. EP <Cool>이 절반 정도 작업되었을 때 직접 연락을 했으며, 레퍼런스를 A4기준 3장 넘게 보냈다고 한다. 앨범을 봤을 때, 아티스트의 '첫 앨범'의 느낌이 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으며, "바람이 부는 느낌'을 굉장히 강조했다고 한다.
  • 처음부터 좋은 소스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특히 구영준, 박준우 프로듀서는 좋은 사운드를 위해 빈티지 앰프, 70년대 Fuzz 이펙터, 텔레케스터 기타 등을 과감하게 구매했다고 한다.

  • <Kiss!>는 브라스 세션을 먼저 구성하고, 그 위에 드럼을 쌓는 방식으로, 리듬을 먼저 구성한 이후 화성과 멜로디를 만드는 독특한 방식으로 작업했다. 브라스 샘플의 선택과 멜로디 구성은 박준우 프로듀서가 맡았다. 주혜린이 이번 EP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이다.
  • <미친 건가>는 주혜린이 작곡가로서 haventseenyou 프로듀서와 함께 다른 가수에게 여러 데모를 만들고 있던 시기에 마주한 곡이다. 주혜린은 위 곡을 다른 아티스트에게 보내면 후회할 것 같은 마음이 들었고, haventseenyou 프로듀서에게 자신이 불러도 괜찮은지 허락을 받은 이후[8] 자신의 곡으로 작업했다고 한다.
  • 주혜린의 아버지는 <B-YUM>비-움으로 발음했다고 한다. 이 곡은 주혜린이 처음부터 끝까지 작업하였다. 주혜린은 이 곡의 결과물이 자신이 초반 작업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이 곡을 통해 프로듀서로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주혜린은 '자신이 없고', '노력해서 노래하는', 어쩌면 단점으로 비춰질 수 있는 모습을 오히려 당당하게 보여주자라는 마음으로 쓴 곡이라고 한다. 한편 이 노래 가사에 등장하는 언니와 오빠는 실용음악학원 막내시절 학원에 있던 언니, 오빠를 의미한 가사이다. 해당 실용학원의 언니 중 한명이 가수 차울(Chawool, 임금비)라고 한다.
  • <복도식 아파트(501)>은 '뭔가 한 트랙 정도 더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하루 만에 만든 곡이다. 재즈 리스너에게 익숙한 'The Lick' 테마가 메인으로 사용되어 주혜린 Team의 전공자 모먼트를 느낄 수 있는 곡이다.
    주혜린은 복도 끝 집에 사는 애인과 이별한 이후, 엘리베이터까지 걸어가는 순간 '다시 돌아갈까?'라는 생각을 하면서[9] 메모장에 "복도식 아파트에 사는 남자랑은 헤어지기 힘들다"는 글을 작성했고, 그 글이 이 음악의 가사로 발전 되었다.
    한편, 이 곡의 Short Flim은 앨범 발매 약 2개월 후인 2024. 4. 29.에 발표되었다. 스토리텔링과 영상미 모두 상당한 수준이므로, 주혜린에게 관심이 있다면 위 Short Flim 관람을 강력 추천한다.[10] [11]
  • <넌 다 알면서도>는 주혜린이 처음으로 작곡했던 곡[12]으로 누구에게 꼭 들려주지 않아도 된다는 마음으로, 본인이 듣기 위해 쓴 노래라고 한다. 콘서트에서 언급하기를, 집에 가다 갑자기 영감이 떠올랐고, 곧바로 작업실로 돌아가 일필휘지로 작업했다고 한다. 박준우 프로듀서는 이 곡의 메인테마를 담당하는 피아노가 너무 잘치는 느낌이 안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기타를 담당하고 있는 구영준 프로듀서에게 연주를 부탁했다고 한다.

3.2.2. stereo

<colbgcolor=#9D8AB5><colcolor=white> stereo
파일:주혜린 stereo 앨범커버.jpg
발매일: 2025년 8월 14일
<rowcolor=white> 트랙 제목 작사 작곡 영상
1 Digital 주혜린 Slom, 주혜린
2 Busy BoyTITLE 주혜린 손길현, 박준우, 주혜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아무것도^^{{{#9D8AB5 TITLE}}}^^
(Everything You Know)
주혜린 박준우, 손길현, 주혜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놀러와(909 jam) 주혜린 haventseenyou, 박준우, 손길현, 주혜린, SUNN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무슨 생각해?
(What Are You Thinking?)
주혜린 haventseenyou, 주혜린, 박준우, xollic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Green Tea 주혜린 haventseenyou, 주혜린, graffe
  • 주혜린은 EP stereo에서 입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주혜린은 홀수 트랙과 짝수 트랙의 분위기를 상반되도록 배치하였다고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선이 교차하는 모양의 앨범 디자인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 앨범 색은 미리 결정된 것이 아닌, 디자인 개념을 먼저 정하고 이에 어울리는 색을 정했다고 한다.
  • <아무것도>는 별로 말하기 싫은, 사람들이 감추고 싶어하는 부분을 드러내고 싶다는 생각으로 작업한 곡이고, 신나는 비트 위에 그러한 생각을 담은 가사를 얹어 본인도 묘한 느낌을 받는 곡이라고 한다.
  • <Green Tea>와 관련하여, '이리와 차 한잔 마시고 해'라는 가사와 관련하여, 주혜린은 작업에 들어가기 전 차를 마시는 루틴이 있는데 이 가사 역시 본인이 스스로에게 하는 이야기라고 한다. 위 노래 가사 중 이 노래 나오면 내가 제일 많이 들을게는 본인이 작사한 가사 중 제일 좋아하는 가사라고 한다. 한편, 주혜린의 남동생은 이 곡에 대하여 '누나의 음악이라 듣는게 아니라, 노래가 너무 좋아서 듣는다'고 말했다고 한다.

3.3. 싱글

3.3.1. Kids

<colbgcolor=#da352b><colcolor=white> Kids
파일:Kids앨범자켓.jpg
발매일: 2021년 1월 13일
<rowcolor=white> 트랙 제목 작사 작곡
1 KidsTITLE 주혜린 주혜린, 박준우

"사랑하는 것은 어려지는 것이다"
  • 박준우 프로듀서가 처음으로 에이블톤[13] 을 소개해준 이후 처음으로 만든 노래이다.
  • 주혜린의 어머니는 전주에서 오랫동안 키즈카페를 운영했고, 주혜린은 본가에 내려갈 때마다 해당 키즈카페에서 카운터를 보았다고 한다. 카운터에서 아기들을 관찰했을 때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지켜봐주길 바라는 모습'을 보면서, 연애할 때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사랑하는 시간을 역행하는 것이다, 어려지는 것이다'라는 주제로 쓴 곡이라고 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가 부모에게 이야기 하는 것으로 해석해도 이해될 수 있도록 작사하였다고 한다.
  • 처음 데모는 키보드로 완성된 곡이나, 이후 기타 중심의 곡으로 편곡되었다.

3.3.2. 미안해

<colbgcolor=#64bcb8><colcolor=white> 미안해
파일:주혜린_미안해_앨범자켓.jpg
발매일: 2021년 11월 16일
"이번 한 번만이야!"
<rowcolor=white> 트랙 제목 작사 작곡 영상
1 미안해TITLE 주혜린 주혜린, 구영준, 박준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3.3. 미장원

<colbgcolor=#3e6196><colcolor=white> 미장원
파일:주혜린_미장원_앨범자켓.jpg
발매일: 2022년 11월 22일
"싹둑! Hair cut."
<rowcolor=white> 트랙 제목 작사 작곡 영상
1 미장원TITLE 주혜린, TAEO 주혜린, Zion.T 박준우, TAE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일상적인 언어와 직설적인 가사가 특징인 다른 주혜린 곡과 다르게, 다소 해석이 필요한 곡이다. 주혜린은 '야한 생각을 하면 머리가 빨리 자란다'라는 속설을 통해, '사람이 어떤 생각에 계속 골몰할 때 머리가 빨리 자란다'고 상상했고, 옆에 있는 사람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을 계속 생각하느라 머리가 빨리 자란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즉, 이 곡에서 '엉킨 머리카락'은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것'으로 , '맨날 재방송만 좋다고 돌려 보는데'의 가사는 애인을 옆에 두고도 전 애인 이야기를 계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인터뷰에서 꼭 쓰고 싶었던 가사라고 언급했던 것을 보아, 비슷한 경험의 반복을 통해 오래 생각해 온 비유로 보인다.
  • 곡 분위기와 상반되는 내용이라, 너무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으려 했다.

4. 공연

4.1. 단독공연

4.1.1. mono

<colbgcolor=#b796bc><colcolor=white> mono
파일:주혜린_포스터.jpg
공연일자: 2024년 11월 7일
공연장소 : 홍대 공상온도
<rowcolor=white> 세션 이름
Vocal 주혜린
Drum 이예찬
Bass 이명철
Guitar 구영준
1st Keyboard 손길현
2nd Keyboard & Percussion 박준우
  • 공연에 입장한 모든 사람에게 주혜린 자필 편지가 프린트 된 엽서가 제공되었다.
  • 예매 가능한 티켓의 수량이 다소 적었다. 예매가 오픈된 직후 약 30초만에 모든 티켓이 매진되어버렸다. 주혜린도 본인의 부모님 몫의 좌석 예매를 실패했다고 한다. 주혜린은 오히려 티켓이 너무 많이 남게 될까봐 걱정했다고 하며, 주최측에 좌석을 더 줄일 수 없냐고 문의했다고 한다[14]. 공연에 오지 못하신 아버지를 대신하여 관객에게 감사인사를 전하기도.
    공연 좌석을 늘려달라는 이야기가 공연 전후로 많았다
  • 주혜린이 당시까지 발매한 모든 곡과 발매 예정 미공개곡(1곡), 커버 곡 1곡(Drunken On A Flight, 원곡 Eloise) 으로 진행되었다.
  • 모든 곡이 편곡되어 공연되었다. 단순 음원에서 밴드 세션 연주를 위한 편곡이 아닌, 장르 자체를 변경하는 수준의 편곡이었다. 위 공연으로 주혜린이 재즈, 보사노바, 레게 등 다양한 장르를 커버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 커버 곡(Drunken On A Flight) 마무리에 울먹이는 모습을 보였다. 주혜린은 다소 민망해하며 "방금 완전 가수 같았다"라는 말과 함께 다시 한 번 해당 부분을 불렀다.
  • 첫 단독 공연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관객의 반응이 좋았다.
  • 첫 단독 공연 Mono는 EP stereo를 염두에 둔 공연명이었다.

4.1.2. Stereotypes

<colbgcolor=#faedc2><colcolor=#484640> Stereotypes
<bgcolor=#DEDED1> 파일:주혜린_Stereotypes 공연 포스터.jpg
공연일자: 2025년 11월 2일 (일) 5PM
공연장소 : 톤스튜디오 서울 (성미산로 64-5)
세션 이름
Vocal 주혜린
Drum 이예찬
Bass 이명철
Guitar 구영준
1st Keyboard 손길현
2nd Keyboard & Percussion 박준우
  • 공연 티켓 오픈 5초 만에 매진되었다. 주혜린 본인도 티켓팅에 실패했다고 한다.
  • 입장 전 판매되었던 MD 중 반다나는 빠르게 수량이 소진되었다.
  • EP streo 첫 번째 트랙 <Digital>을 제외한 주혜린의 모든 곡을 밴드셋 편곡으로 들을 수 있었다.
  • 원래 주혜린의 첫 싱글 <Kids>은 셋리스트에 포함된 곡이 아니었으나, 인스타그램에서의 팬들의 요청을 받고 연습하여 공연하였다,
  • 11월 중 밴드셋 리메이크 앨범[15] 발매 소식을 가장 먼저 들을 수 있었다.
  • 공연 전 미리 인스타그램을 통해 받은 질문을 대답하는 시간이 있었다[16].
  • 두 번째 단독 공연명 'Stereotypes'와 관련하여, 주혜린은 좋은 음악에 대한 편견(Stereotype)을 명확히 가지고 있고, 그 편견은 '좋은 음악은 이래야 한다'와 같은 이정표 역할을 한다고 한다. 리스너에게 좋은 음악, 좋은 공연의 Stereotypes이 본인의 음악이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 11월 발매 예정인 밴드셋 리메이크 앨범과 관련하여, 주혜린은 '자신이 좋아했던 아티스트들은 몇 번의 앨범 발매 이후에 라이브 앨범이나 언플러그드 앨범을 발매했다'는 좋은 의미의 편견(Stereotype)을 가지고 있었고, 그 문화를 다시 살리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 Green Tea를 관객과 함께 부르는 시간이 있었다. 용기내어 마이크로 노래 불렀던 3명에게는 각 EP COOL 앨범[17], EP stereo 앨범, COOL 굿즈 티셔츠[18] 선물이 있었다.
  • 주혜린 가족분들이 공연을 관람하였다. 주혜린의 조모께서 핸드폰 라이트를 좌우로 흔들며 응원하는 모습에 주혜린은 울컥하는 모습을 보였다.

4.2. 페스티벌

공연일 공연명 장소 분류 비고
2025년
5월 29일 독주페스티벌 낙원상가 페스티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월 27일 2025 OPCD Stage: Discovery 도봉구 창동 1-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월 18일 매들리 메들리 PARADISE CITY 페스티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방송

6. 수상 내역

  • 제22회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신인[19]/최우수 알앤비&소울(노래)[20] 부문 노미네이트

7. 여담

  • 주혜린의 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영준 및 박준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21]. 주혜린은 대학 재학 시절 드럼을 쳤던 친구의 소개로 구영준, 박준우의 이름을 처음 알게 되었다[22]. 주혜린은 2018년 10월 18일 이태원 소재 올댓재즈에서 공연 이후 같은 날 '부기우기'에서 공연했던 박준우 트리오와 합동 뒤풀이를 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주혜린과 박준우가 오프라인에서 친해졌다. 이후 박준우가 구영준을 소개해주면서, 주혜린은 위 2명의 프로듀서와 함께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 주로 탑라이너[23]로서 작곡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타코야키와 라면을 좋아한다.
  • 모든 작사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 '전주 빅마마'로 불렸다.
  • 주혜린의 퍼스널컬러는 여름 뮤트이다.
  • 주혜린은 우울할 때면 시트콤, 그중에 거침없이 하이킥을 본다. 대사를 다 외울 정도로 많이 보았다,

[1] 라디오에서 언급된 내용 및 함께했던 뮤지션들에 대한 호칭을 통해 유추 가능하나, 아티스트가 공개를 원하지 않고 있어 작성하지 않음.[2] 전교권이었다고 한다[3] 1등을 하면 3개월 수강료가 무료였다고 한다[4] 지원자가 100명이 넘었고, 1명을 뽑는 오디션에서 총 3차의 오디션까지 진행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3차 오디션에서는 2NE1의 '아파'를 불렀다[5] 이후 공백기를 고려하면, 싱어송라이터가 아닌 전업 작곡가로 활동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6] 크레딧 순서는 기여도 순서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본 문서에서도 앨범에 작성된 크레딧 순서에 따라 기재한다.[7] 2024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 부문 노미네이트[8] 너무나도 흔쾌히 허락했다고 한다.[9] '그럼 빌라에 사는 남자는? ㅋㅋ' 하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10] 그동안 주혜린 음악의 비쥬얼라이징은 2번째 싱글 <미안해>를 제외하면 모두 앨범 자켓 작업 중 작업된 사진을 활용하는 형식으로 다소 아쉬움이 있었다.[11] 복도식 아파트 호수(501)을 시간의 흐름으로 본 CIMONA 디렉터의 해석이 흥미롭다. 한편, 위 작업은 코닥의 영화용 필름인 KODAK VISION3 50D Color Negative Film 5201으로 작업되어 필름 특유의 색감이 눈에 띈다.[12] 데뷔 싱글 Kids보다도 이전에 작업했다고 한다[13] 작곡프로그램, 자세한 내용은 링크참고[14] 공연 가능 최소 좌석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15] LP 발매 예정[16] 개인적 정보는 여담, 곡 및 앨범과 관련한 대답은 문서 내 해당 곡과 앨범 부분 참조[17] 현재 절판되어 웃돈을 얹어 중고로 구매하는 방법 외에는 구할 수 없다.[18] 주혜린 live clip 영상에 등장한 티셔츠이며, 첫 단독 공연 Mono의 MD였다.[19] 수상은 '산만한시선'이 하였다.[20] 수상은 정인, 마일드 비츠의 '탓'이 하였다.[21] 라디오에서는 '주혜린 Team'으로 호칭되고 있다[22] 밴드 결성을 위해 만들어진 단톡방이었으나, 자기소개 이후 어떠한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23] 멜로디 작곡 및 노랫말(작사)을 전문으로 창작하는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