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조지 불 George Boole | |
| |
출생 | 1815년 11월 2일 |
영국 잉글랜드 링컨셔주 링컨 | |
사망 | 1864년 12월 8일 (향년 49세) |
영국 아일랜드 코크주 밸린템플 | |
국적 |
|
직업 | 수학자, 논리학자 |
1. 개요
1. 개요
영국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 불 대수를 고안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논리학에서 대수적 체계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현대 컴퓨터 및 전산학에서 없어서는 안 될 구성요소이다.가난한 제화공(구두 만드는 장인) 집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밖에 못 나왔지만, 독학으로 라틴어, 대수 등의 학문을 순식간에 익힌 뒤 16세부터 교사로 일하면서 돈을 벌어 집안 살림에 보탰다. 19세에는 자기 학교를 설립했고 이 시기에 이미 영국 수학계에서 명성이 퍼지기 시작했다. 1849년 퀸즈컬리지 수학과 석좌교수로 취임한 후 본격적인 활약이 시작된다.
조지 불은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쌓았지만 특히 논리학을 대수학과 접목시켰다는 유일무이한 업적을 남겼다. 조지 불 이전에는 논리는 논리, 수학은 수학이었다. 이것이 얼마나 위대한 업적인지 당시 사람들은 제대로 알지 못했다. 당시엔 논리 연산을 하는 기계란 게 없었기 때문이다. 찰스 배비지가 차분기관의 개발을 시도하고는 있었지만 제대로 완성되지 못했고 널리 쓰이지도 않았다. 불의 논리 연산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본 첫 인간은 정보이론의 창시자인 클로드 섀넌이다. 천재가 천재를 알아본 것이다. 섀넌은 디지털 컴퓨터에 불의 이진법적 논리 연산을 응용할 수 있음을 깨닫고 디지털 논리회로의 개념을 창시했다. 이것이 1930년으로 불 사후 66년 뒤의 일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는 섀넌이 불의 논리 연산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논리 회로를 갖고 있다.
조지 불이 오래 살았다면 어떤 업적을 남겼을지 상상하기 어렵다. 그의 최후는 너무나 허망했는데, 비를 맞아 옷이 젖은 상태에서 강의를 하고는 폐렴에 걸렸다. 불의 아내는 이독치독, 즉 병의 원인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설을 믿고 있었기에 불에게 젖은 담요를 덮어 “치료“를 했고 불은 폐렴이 악화되어 49세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