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18-11-14 11:46:47

제희어

나무 위키 있어, 여러분 있어, 가꿈 있어, 지식 있어; 나무 있어.
모든 인간 있어, 태어남 있어, 자유 있어, 존엄 있어, 권리 있어, 동등 있어. 인간 있어, 부존 있어, 이성 있어, 양심 있어, 형제애 있어; 정신 있어; 행동 있어.
제희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제희어(制喜語)
혹은 없語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지역 서울과 경기 지방
원어민 약 13 명
어족 고립어[1](혹은 한국어족)
문자 한글(/한글 점자), 한자(병기)
언어 코드
ISO 639-1 JH
ISO 639-2 JHL
ISO 639-3 JHL(현대 제희어)
OJH(중세 제희어)[2]
OJH(고대 제희어)[3]
주요 사용 지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dioma_coreano.png
파란색 : 주민 절대다수가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
하늘색 : 주민 일부가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
한국어 제희어, 없語, 없어
영어 Jehui language, Eobseo
중국어 制喜语/制喜語
일본어 制喜語
러시아어 Жехыский язык
프랑스어 Langue jeïenne
스페인어 Idioma gehio
이탈리아어 Lingua geia
독일어 Dschehische Sprache[4]
라틴어 Lingua Gehia
에스페란토 Ĝehia lingvo
1. 개요2. 역사

1. 개요

제희어(혹은 없語)는 한반도에 거주하는 예고인(濊苦人)의 공식언어이다. 제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예고인이다. 제희어의 제1언어 화자 수는 10명 내외이다. 사멸위기의 언어지만 부족 내의 활발한 제희어 사용으로 아직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2. 역사

제희어의 어투가 언제부터 처음으로 나타났다는 기록적인 사료는 없지만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예고인(濊苦人)의 입말로 전해지는 구절을 일부 발견했다.
"...... 우리는 새로운 문화, 우리들의 근본이 되는 문화를 찾았다. 이는 박제희로부터 전해 내려오며 그의 깊은 뜻을 이어나가야만 한다. -양덕기"

고대, 중세 제희어에서는 없語로 통일돼 사용했지만 언급된 '박제희'의 이름을 따 '제희어(制喜語)'로도 불리는 현상이 일어나 현대 제희어에서 '제희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일부 학계에서는 이를 하나의 방언이 아닌 언어로 간주하기도 한다. 언어와 방언의 구분은 크게 이해도로 판단되는데 이를 한국어족 화자 내에서 완벽히 이해하는 사람이 적기에 한국어족에 포함되는 하나의 언어로 구분하기도 한다.

제희어는 문장의 뜻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시적(詩的) 언어다. 말미암아 한 문장으로도 여러 개의 해석이 가능하다. 현대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단어들을 한 문장 안에 넣으려는 움직임이 보이기도 한다.
[1] 언어계통적으로 친척언어가 없다는 뜻의 고립어이며, 언어유형적으론 교착어에 속한다.[2] ISO의 정의에 따르면 10세기~16세기 제희어를 의미한다.[3] ISO의 정의에 따르면 3세기~9세기 제희어를 의미한다.[4] 남성형으로 Dschehisch로 표기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