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0:54:30

제주시·북제주군 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제주시/정치
,
,
,
,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구 휘장.svg 제주도 제1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제주·북제주 갑 제주·북제주 을 서귀포·남제주
강창일 김우남 김재윤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제주시·북제주군 을
제주시 삼양동, 북제주군
濟州市·北濟州郡 乙
Jeju–Bukjeju B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신설년도 2004년
이전 선거구 제주시, 북제주군
폐지년도 2008년
이후 선거구 제주시 갑, 제주시 을

1. 개요2. 특징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딱 1회 존속한 제주도의 선거구. 선거구가 존속하고 있는 도중인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기도 하였다.

2. 특징

구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제21조(국회의 의원정수) ①국회의 의원정수는 지역구국회의원과 비례대표국회의원을 합하여 299인으로 하되, 각 시ㆍ도의 지역구 국회의원 정수는 최소 3인으로 한다. <개정 2000. 2. 16., 2004. 3. 12.>\

당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제21조에 제주도의 선거구 감소를 막기 위한 규정을 두었다. 따라서 다른 특례선거구가 부칙으로 특례를 인정한 것과 달리, 본 선거구는 제21조에 따른 선거구이다. 제주시에서 삼양동만 떼어서 본 선거구에 붙였다. 19대 국회 이후 많이 보이는 이른바 '혼합 선거구'의 형태와 상통한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17대 김우남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북제주군 을
한림읍, 애월읍, 구좌읍, 조천읍,
한경면, 추자면, 우도면, 삼양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동완(金東完) 15,70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1.34% 낙선
2 홍성제(洪性齊) 9,015 3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7.99% 낙선
3 김우남(金宇南) 19,053 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8.02% 당선
4 김용철(金龍徹) 3,146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27% 낙선
5 부청하(夫淸河) 3,187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36% 낙선
선거인 수 81,135 투표율
62.88%
투표 수 51,016
무효표 수 912
||<-7><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d918> 17대 총선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동완 홍성제 김우남
득표수
(득표율)
15,703
(31.34%)
9,015
(17.99%)
19,053
(38.02%)
- 3,350
(▼6.68)
51,016
(62.88%)
한림읍 55.08% 15.34% 23.91% △31.17 65.78
애월읍 26.96% 32.07% 31.22% △0.85 65.41
구좌읍[1] 18.81% 10.80% 62.87 % ▼44.06 67.92
조천읍[2] 24.96% 10.35% 41.15% ▼16.19 63.53
한경면[3] 36.00% 17.74% 25.27% △10.73 65.91
추자면 24.15% 22.40% 44.71% ▼20.56 49.83
우도면 23.27% 11.69% 60.84% ▼37.57 64.75
삼양동[4] 26.42% 8.50% 50.79% ▼24.37 30.00
후보 김동완 홍성제 김우남 격차
부재자투표 23.56% 19.31% 36.04% ▼12.4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김우남 후보의 고향[2] 조천읍에서는 부청하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8.75%)[3] 한경면에서는 김용철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9.16%)[4] 삼양동에서는 김용철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