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의 부사
부사로서 간절히 원한다는 의미 혹은 몹시 꺼린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용도로 쓰인다.라디오 스타의 마지막 문구이기도 하다.[1] '무월관' 등 졸속으로 끝나버린 코너의 후속이었고 첫 날부터 분위기가 익히 알려진 그 분위기이다 보니 '제발 살아남자'는 뜻에서 시작한 것이고, 지금은 별로 필요 없는 문구가 되었지만 어쨌거나 사용 중.
모 서적에 의하면 "모든 말을 이루어주는 마법의 단어"라고 한다. 책의 저자가 영어권인걸로 보아 please의 직역인 듯.
2. 이소라의 2000년에 발매된 4집 앨범 꽃의 타이틀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이소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이소라)#|]][[제발(이소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들국화 2집의 수록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들국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들국화)#|]][[제발(들국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블랙식스의 1집 수록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블랙식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발(블랙식스)#|]][[제발(블랙식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다음 주에 만나요! 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