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화공 분야 자격증}}}}}} | ||||||||
- | → | - | → | 정밀화학기사 | → | - | ||
- | -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 |||||
- | 화약류제조산업기사 | 화약류제조기사 | - | |||||
화학분석기능사 | - | 화학분석기사 | - | |||||
- | 바이오화학제품제조산업기사 |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 - |
정밀화학기사 精密化学技士 Engineer Precision Chemistry | |
중분류 | 181. 화공 |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clearfix]
1. 개요
정밀화학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 화공 분야의 기사 등급에 해당하는 자격증이다.2025년 기준 3회차 시험이 실시된다.
2. 필기
- 공업합성
- 반응운전
- 단위공정관리
- 정밀화학제품관리
2025년부터 화약류제조기사, 화공기사와 공업합성, 단위공정관리 과목면제가 신설된다. 응시료는 19,400원이다.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년 | 84 | 15 | 17.9% |
2022년 | 89 | 13 | 14.6% |
3. 실기
복합형 7시간 30분 정도이며 필답형: 1시간 30분, 작업형: 6시간 정도이다. 응시료는 86,000원이다.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년 | 4 | 0 | 0% |
2022년 | 2 | 0 | 0% |
공단의 언급에 의하면 메틸오렌지 제조 자체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실험이기도 하고, 정밀기구를 갖춘 곳이 워낙 없다보니 시험장이 현 시점으로는 서울공업고등학교 외에 없으며, 시험 날짜도 겨우 이틀밖에 배정되지 않는데다 수험자를 하루에 8명 밖에는 받을 수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필기 합격자에 비해 실기 응시자 수가 이론상 16명으로 너무 적고, 그마저도 필답형 점수에 좌절한 수험자가 작업형 시험에 곧바로 응시하지 않아 작업형 결시율이 높다. 그 결과 합격자가 아직까지 단 한 명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