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22:29:58

인디


1. indie2. indy

1. indie

"독립된"을 뜻하는 independent를 줄여 부르는 표현으로, 거대한 통제 체계(거대 자본 · 정부)[1]로부터의 독립되어 그 영향 아래 있지 않는 창작자와 창작물, 또는 기타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 정착했다.[2]

거대 자본이 투입된 경우는 결과물이 실패할 때 연관되어 부정적 영향 아래에 놓이는 사람의 숫자도 늘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검증된 기획 과정과 제작 과정을 따르게 되며 그런 만큼 실험 정신이나 순수 예술적 추구와는 멀어지기 마련이다. 그러다 보면 완성도가 미흡한 결과물이 많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점 때문에 '주류 작품은 예술적 완성도가 떨어진다', '인디 작품은 예술적 완성도가 높아진다'라는 고정관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디 작품일 수록 신선하고 실험적이라 흥미로운 결과물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며 수익 창출이 우선 목표가 될 수 밖에 없는 대형 창작 주체에 비해 그런 긍정적 결과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는 하지만, 반드시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독립(인디)'이라는 말을 '개인 단위 활동'라고 잘못 해석해, 특정 기획사 · 특정 출판사 · 특정 제작사 아래에서 나오는 음반 · 출판물 · 영화 등은 '인디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여기는 오해, 즉 인디음악(독립음반) · 독립출판 · 독립영화가 아니라고 여기는 오해가 널리 퍼져있는데,[3] '거대' 통제 체계에서 독립한 것이라면 그 무엇도 '인디 작품'에 해당한다.[4]

게임계에서는, 대형 게임사들이 갈수록 수익 창출에 눈이 멀어 양질의 게임을 출시하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인디 게임이 나름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1년에 몇 개씩은 대자본이 투입된 게임에 견줄 만한 작품성을 뽐내는 걸작이 나온다. 다만 상술된 내용처럼 인디는 결국 거대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일 뿐 특별한 보증 마크는 아니기 때문에, 인디 게임 중에서도 매너리즘에 빠진 결과물이 나오기도 한다.[5]

2. indy

  • 미국 인디애나 주의 주도 인디애나폴리스의 별명. 지명이기 때문에 이 뜻으로 쓴다면 앞의 i를 대문자로 써 Indy로 표기해야 한다.
  • independent의 준말을 indie 대신 indy로 표기하기도 한다. 주로 프로레슬링계의 독립 단체들과 인디 레슬러들을 칭할 때 쓰인다.
  • 스페인의 축구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마스코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홈 경기 전 많이 볼 수 있다

[1] '거대 자본' 외 '정부'가 들어가 있는 것이 생소할 수 있는데 중국 공산당의 검열체계 아래에서 검열 체계를 긍정하는 제작자에 의해서만 프로듀싱 될 수 있는 중국 영화 드라마 등이 인디가 될 수 없는 환경에 속한다. 시기나 위치에 관계 없이 그 외 다른 독재 정부 국가도 마찬가지다.[2] 예: 독립영화, 독립출판, 인디 음악, 인디 게임, 인디 애니메이션, 인디 저널리즘 등.[3] '독립드라마' 개념은 따로 없으나 '거대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에 해당하는 인디 제작물들이 많이 몰린 곳은 저예산 드라마 시장에 해당하는 웹드라마 시장이다.[4] 자우림 데뷔 당시 있었던 '자우림이 왜 인디밴드냐'는 논란이나 출판사를 통해 나온 출판물을 독립출판으로 여기지 않는 풍토, 극장에 걸리는 장편영화들은 무조건 독립영화가 아니라고 여기는 풍토 등이 이런 오해의 결과다. 인디 게임 역시 제작사가 유명해지면 그 이후부터는 인디 게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유명해져서 거대 자본을 굴릴 정도가 되거나 특정 거대 자본 밑에 소속되는 형태로 변화한다면 그런 생각이 맞지만 그렇지 않은 상태라면 제작사가 얼마나 유명하건 간에 여전히 인디 게임에 해당한다.[5] 몇 년째 오픈베타만 하다가 사라지는 인디 게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