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선 | |
| |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발매일 | 1975년 6월 26일(최초 발매)[초판] 1976년 3월 30일(재발매)[재판] 1976년 9월 30일(정식 발매)[삼판] |
| 장르 | 포크, 포크 록 |
| 재생 시간 | 35:57 |
| 곡 수 | 11곡 |
| 레이블 | 지구레코드 |
| 프로듀서 | 이정선 |
1. 개요
1976년 발매된 이정선의 공식 데뷔 앨범.2. 상세
이정선은 자신의 첫 음반이 판매 금지 처분을 받아 사장되었지만 음악성만큼은 인정받아 지구레코드와 60만원이라는 당시 상당한 거금으로 전속 계약을 맺어 두 번째 데뷔 음반을 만들게 된다. 과거의 음반으로 상당한 고초를 겪어서 사회 문제를 직설적으로 풀기보다, 자연과 관련된 노래로 은유적으로 표현하는데 집중했다.곡 녹음을 하기 위해 당시 미국에서 클래식 음악을 연주하던 김의철[4]의 형에게 어쿠스틱 기타를 부탁하였지만 이정선이 자주 사용하는 어쿠스틱 기타가 아닌 클래식 기타를 받게 돼 앨범의 히트곡 중 하나인 <섬소년>의 몽환적인 느낌을 내는데 힘이 되었다.
| <nopad> |
| 장발 사진을 수록한 초 · 재판 |
- 초판(장발 자켓/거리 포함) - 판매 금지
- 재판(장발 자켓/거리 미포함) - 판매 금지
- 삼판(단발 자켓/거리 미포함) - 판매 허용
데뷔 음반이 총 3번이나 검열을 당한 사례는 한국 대중가요사에서 찾아보기 매우 드물다. 이정선은 오히려 인생 경험에 도움이 되었다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3. 트랙 리스트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재생 시간 |
| <colbgcolor=#ffffff><colcolor=#D9BA23> Side A | |||||
| 1 | 오직 사랑뿐 | 이정선 | 이정선 | 이정선 | 3:10 |
| 2 | 이리저리 | 2:32 | |||
| 3 | 천사#1 | 2:53 | |||
| 4 | 오늘같은 밤 | 2:18 | |||
| 5 | 천사#2 | 3:12 | |||
| 6 | 깃발 | 2:12 | |||
| Side B | |||||
| 7 | 섬소년 | 이정선 | 이정선 | 이정선 | 4:02 |
| 8 | 말은 필요없어요 | 4:05 | |||
| 9 | 여인 | 4:00 | |||
| 10 | 행복하여라 | 3:23 | |||
| 11 | 세모 | 3:00 | |||
3.1. Side A
3.1.1. 오직 사랑뿐
| 오직 사랑뿐 |
| 몰아치는 비바람을 향하여 |
3.1.2. 이리저리
- 이전 본인의 데뷔 앨범에 수록한 곡을 리메이크했다.
| 이리저리 |
| 너는 저리로 나는 이리로 |
3.1.3. 천사#1 (경음악)
3.1.4. 오늘같은 밤
- 후에 블루스 장르로 편곡하여 신촌블루스 1집에 수록한다.
| 오늘같은 밤 |
| 오늘같은 밤 무엇을 하나 |
3.1.5. 천사#2
| 천사#2 |
| 은빛 날개 훨훨 펄럭이며 |
3.1.6. 깃발
| 깃발 |
| 무얼 기다리나 |
3.2. Side B
3.2.1. 섬소년
- 이정선의 대표곡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곡으로, 후에 해바라기가 리메이크하기도 한다.
| 섬소년 |
| 외딴 파도 위 조그만 섬마을 |
3.2.2. 말은 필요없어요
| 말은 필요없어요 |
| 말은 필요없어요 |
3.2.3. 여인
| 여인 |
| 깊은 물고기처럼 |
3.2.4. 행복하여라
- 후에 리메이크하여 본인의 8집에 수록한다.
| 행복하여라 |
| 내 마음 주고 받을 |
3.2.5. 세모
| 세모 |
| 세모 나의 꿈 |
3.2.5.1. 거리
- 초판에만 수록된 곡으로 과거의 곡과 다른 방식으로 편곡하여 공개했지만, 발매 직후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예륜)의 심사로 인해 공연방송판매가 또 다시 금지되었다.[5]
| 거리 |
| 말을 하는 사람은 많아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