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18:19:45

이오셰프카의 진료소


블러드본 지역 목록
{{{#!wiki style="margin:-12px; margin-top:0px; margin-bottom: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사냥꾼의 꿈.jpg
사냥꾼의 꿈
야남의 묘비
파일:1st Floor Sickroom.png
파일:central_yarnham.jpg
파일:Cathedralward_art11.webp
이오셰프카의 진료소 야남 거리 성당 구역
파일:Old_Yharnam_№1.png
파일:Bloodborne™_20151011103100.webp
구시가지 성당 구역 상층
변경의 묘비
파일:Hemwick Charnel Lane.png
파일:Forbidden_Woods_№12.webp
파일:Bloodborne™_20151017214118.webp
헴윅의 무덤 거리 금단의 숲 비르겐워스
숨겨진 땅의 묘비
파일:Yahar'gul, Unseen Village.png
파일:Art-bloodborne-screen-03.webp
파일:Abandoned Old Workshop.png
숨은 거리, 야하굴 폐성 카인허스트 버려진 구공방
악몽의 묘비
파일:Bloodborne™_20150622132043_—_копия.webp
파일:bloodborne-frontier-3.png
파일:Nightmare of Mensis.png
교실동 악몽의 기슭 멘시스의 악몽
블러드본 DLC 지역 목록
파일:100medium.jpg
파일:Ag9fQlK.webp
파일:Fishing_Hamlet_(Lamp).webp
사냥꾼의 악몽 연구동 어촌
}}} }}}||
파일:1st Floor Sickroom.png

1. 개요2. 특징
2.1. 등2.2. 등장 NPC2.3. 등장 적
2.3.1. 일반 적2.3.2. 강적2.3.3. 사냥꾼형 적
2.4. 획득 가능 아이템2.5. 통하는 지역

1. 개요

블러드본의 지역 중 한 곳인 이오셰프카의 진료소에 대한 설명을 기술한 문서.

2. 특징

주인공이 피의 의료인[1]으로부터 야남의 피를 수혈받은 후 최초로 깨어나는 건물 전체를 지칭한다. 조명이 적어 전반적으로 어두우며, 침대들과 나무 바닥은 피인지 무엇인지 모를 액체로 젖어있고, 의료용 장비들과 각종 서적들이 바닥에 어지러이 널려져 있어서 불결하고 음산하다는 생각이 들게끔 디자인된 병동이다.

주인공이 최초로 깨어났던 환자용 침대가 위치한 방은, 주인공이 방을 나섰다가 최초로 사망하고 사냥꾼의 꿈에 방문 후 다시 돌아올 시 문이 닫혀 있다. 그리고 그 문 너머로 이오셰프카와 대화가 가능하다.

2.1.[2]

  • 1층 병실
    주인공이 피의 의료인으로부터 야남의 피를 수혈받고 환자용 침대 위에서 최초로 깨어난 후, 문을 열고 계단을 내려가서 나오는 방 내에 있다. 대부분의 경우 플레이어가 최초로 불을 붙이는 등.

2.2. 등장 NPC[3]

  • 피의 의료인(Blood Minister)
    플레이어가 본 게임에서 신규 캐릭터를 생성할 시 자동 재생되는 컷신에 등장하는 NPC. 창백한 피를 찾아 야남에 온 주인공에게, 자네는 외지인이니 야남의 피(Yharnam Blood)를 조금 가져가면 된다고 말하며 그 전에 계약을 하도록 요구한다. 플레이어가 주인공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을 완료할 시 컷신이 다시 재생되는데, 서명과 봉인이 끝났다고 말하며 주인공에게 야남의 피의 수혈을 시작한다. 주인공은 눈을 감고 현실인지 꿈인지 모를 환상을 목격한 후, 이오셰프카의 진료소 내의 환자용 침대 중 하나에서 깨어나며 게임 플레이가 시작된다. 더미 데이터가 발견되었는데, 아무래도 미야자키 공인 미완성 시스템이었던 성형 기능을 피의 의료인에게 의뢰할 수 있었던 모양. 그 외에 마지막 만남에서 이브리에타스가 잠에서 깨어남을 예고하는 떡밥성 멘트를 남긴다.

2.3. 등장 적

보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적의 명칭은 정발판 내에서 정식 번역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발판 내에서 공개된 정식 번역 명칭이 존재할 시 그것을 우선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공식 가이드북[공식_가이드북]에 기술된 공식 영어 명칭을 임의로 번역하여 기술하며, 두 경우 전부 공식 영어 명칭을 병행 표기한다. 또한, 상기 이유로 ABC순으로 기술한다.

2.3.1. 일반 적

  • 작은 천계의 사자(Small Celestial Emmissary)

2.3.2. 강적

  • 브레인서커(Brainsucker)
  • 재앙의 야수(Scourge Beast)
    이 게임을 최초로 플레이하는 플레이어가 최초로 상대하는 야수. 이오셰프카의 진료소에서 깨어난 주인공은 아무런 무기를 들지 않은 맨손이므로 이 야수를 잡기 위해서는 맨손으로 때려잡아야 한다. 대다수의 플레이어는 이 녀석에게 사망하고 사냥꾼의 꿈에서 깨어나지만, 극소수의 신들린 플레이어는 맨손 사냥에 성공하기도 한다.[5]

2.3.3. 사냥꾼형 적

  • 가짜 이오셰프카(Imposter Iosefk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셰프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획득 가능 아이템

  • 수혈액 2개
  • 수은탄 10개
  • 이오셰프카의 수혈액 1개
  • 카인허스트 초대장

2.5. 통하는 지역[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본 문서의 하단에 기술되어 있다.[2] 등의 명칭은 정발판 내에서 공개된 정식 번역 명칭을 준거하고, 서술 순서는 해당 지역에서 깨어날 수 있는 묘비에 서술된 바를 준거한다.[3] NPC의 명칭은 정발판 내에서 정식 번역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발판 내에서 공개된 정식 번역 명칭이 존재할 시 그것을 우선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공식 가이드북[공식_가이드북]에 기술된 공식 영어 명칭을 임의로 번역하여 기술하며, 두 경우 전부 공식 영어 명칭을 병행 표기한다. 또한, 상기 이유로 ABC순으로 기술한다.[공식_가이드북] 〈Bloodborne: Collector's Edition Strategy Guide〉〈Bloodborne: The Old Hunters Collector's Edition Guide〉[5] 이 재앙의 야수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평소보다 체력이 줄어있는 상태이다. 덮치는 공격을 유도하고 뒤를 돌은 상태에서 R2 강공격을 걸면 그로기에 걸리는데 이때 내장 공격을 해내면 무기없이 한 번에 죽일 수 있다.[6] 지역 명칭은 정발판 내에서 정식 번역된 바를 준거하며, 가나다순으로 서술한다. 양방향 통행이 가능할 시 "↔", 단방향 통행만 가능할 시 "→"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