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22:36:27

이론치


1. 학술 용어2. 게임 용어
2.1. 리듬 게임에서의 이론치2.2. 슈팅 게임에서의 이론치2.3. 기타 게임에서의 이론치
3. 관련 문서

1. 학술 용어

理論値. 어떠한 수학적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구해진 값을 말한다. 이론값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한 반대개념으로는 실험을 통한 측정값인 실험치(실험값)이 있다.

2. 게임 용어

게임 내에서 최대 스코어를 통칭하는 말. 주로 스코어의 최대치를 달성했을 때, '이론치를 달성했다'라는 말로 쓰인다.

주로 두 가지 경우에 쓰이는데, 게임 안의 스코어의 최대치가 정해진 경우(만점), 혹은 정해진 최대치는 없으나 인간이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최대치[1]를 뜻하는 말로 쓰이며, 후자의 경우 이론치가 갱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론치를 달성할 수 있는 실력이 될려면 전일급 실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 게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당연하고, 스코어에 관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 등, 사실상 그 게임을 마스터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기록인 셈.

2.1. 리듬 게임에서의 이론치

나오는 노트가 한정적인 리듬 게임의 특성상, 만점을 이론치로 잡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코어에 만점 개념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따로 달성률을 만들어 100% 이상을 달성한 경우를 이론치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이론치를 달성하는 경우라도 공식적으로는 일반적인 엑설런트와 동급으로 취급하지만, 유저들 사이에서는 일반적인 엑설런트보다 높게 쳐준다.

다음은 이론치가 만점과 구분되는 게임들이다.
  • maimai 시리즈 - 브레이크 노트의 퍼펙트에 세부 판정을 두어 점수를 차등적으로 지급하는데(2600점, 2550점, 2500점)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정확히 쳐야한다. 만약 브레이크 노트에서도 전부 2600점을 받으면 100%를 넘는 점수를 받고, 공식적으로도 AP(올 퍼펙트)이상인 AP+를 준다. 랭크에서도 SSS가 아닌 SSS+로 표시된다. 이는 피날레까지만 해당되는 사항이고, 디럭스부터는 100.5%부터 SSS+, 이론치는 101%로 고정되었다.
  • CHUNITHM - AJ[2]는 모든 노트를 JUSTICE 이상으로 치면 되지만 좀 더 높은 정확성이 필요한 JUSTICE CRETICAL라는 판정이 따로 존재한다. 모든 노트를 JUSTICE CRETICAL로 치면 ALL JUSTICE CRITICAL, 줄여서 AJC가 된다. 원래는 AJC를 해도 AJ 마크만 표시되었으나, CHUNITHM LUMINOUS부터 AJC 마크가 추가되었다.
  • 온게키 - 모든 판정을 CRITICAL BREAK로 처리하면 950000점 인데, 게임 중간중간에 출현하는 노란색 BELL을 캐릭터를 움직여서 저 BELL까지 모두 획득하면 ALL BREAK 효과 아래에 FULL BELL이 함께 표기되어 1010000점의 이론치로 인정된다. 줄여서 ABFB.
  • Arcaea - 최고 판정은 PURE로 모든 노트를 PURE로 치면 PURE MEMORY로 엑설런트가 인정된다. 이론적으로 PM은 1천만점이지만 역시 PURE에도 세부 판정이 적용되어[3] 1천만점을 맞추는 경우가 현재까지는 없다. 1천만점 이상을 내는 조건은 PURE에서도 EARLY, LATE를 띄우지 않는 것으로, 순수하게 PURE만 나올경수 점수에 1점이 추가된다. 이쯤되면 알겠지만 이 게임의 이론치 조건은 1천만점+해당 곡의 노트수로, 노트 갯수에 따라 이론치가 다르다. 공식적으로는 이론치도 클리어 랭크는 PURE MEMORY로 간주되지만, 이론치 달성 후 결과창을 보면 점수 뒤에 파란 그림자가 생긴다.
  • 유비트 시리즈 - 조금 특이한 경우로, 이론치가 없어 1000000점이 최대 점수지만 따로 설정을 하여 하드모드를 걸 수 있다. 하드모드의 경우 PERFECT 판정이 기존의 절반으로 떨어지며, 점수 자체도 일반 모드하고 따로 분류된다. 다만 유비트 페스토부터는 달성치가 따로 있어서 일반적인 엑설런트는 100%이지만 하드모드의 경우 최대120%까지 올리는것이 가능하다. 다만 하드모드 자체가 상당히 어려워서[4] 대부분 하드모드를 걸때 엑설런트를 목적으로 두지 않고 유빌리티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 Cytus 시리즈 - 모든 노트를 PERFECT 판정으로 처리하면 밀리언 마스터가 뜨지만 퍼펙트중에서도 노말 PERFECT와 TP PERFECT 가 있다. 즉, 모든 노트를 TP PERFECT 로 처리하면 TP가 100이 되어 이론치로 인정된다. 이후 Cytus2에서는 마스터 모드가 추가 되어 퍼펙트 판정이 master, c.perpect ,노말 퍼펙 3개로 나뉘어졌다. 진정한 이론치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모든 노트를 master모드로 처리하는 max master를 달성하면 이론치로 인정된다.
  • A Dance of Fire and Ice - 체크포인트 없이[5], '너무 빠름'을 띄우지 않고 모든 노트를 '빠름'~'느림'[6] 판정 사이에서 입력하면 정확도 100%가 되어 엑설런트 플레이가 된다. 그리고, 여기서 모든 노트를 '정확'으로 입력하여 정확도 100+(노트 수×0.01)%[7]를 기록하게 되면 '완벽한 플레이!'가 되어 이론치가 되며, 이때 정확도를 표기하는 숫자가 노랗게 된다.
  • Muse Dash - 모든 노트를 PERFECT로 처리하면 정확도 100%가 뜨지만 이 게임은 캐릭터와 펫 차이에 따라서도 점수차가 크게 갈린다. 또한 피버도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킬 수가 있어서 노트가 많은 구간에서 피버를 사용할 경우 더 많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점수를 이론치로 인정한다. 이론치 자체는 존재하지만 그게 몇 점인지 알아내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8]
  • 기타프릭스 - 일종의 창발적 플레이인 "딜레이드 웨일링"으로 인해 저스트 타이밍에 웨일링을 넣는 것보다 늦게 웨일링을 넣어서 만점 이상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몇 점인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이런 시스템이 없는 동 시리즈의 드럼매니아는 이론치가 만점이다.
  • 사운드 볼텍스 - 6볼에서 발키리 기체 한정으로 상위 판정인 S.CRITICAL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 크리티컬로만 다 쳤을 때 만점인 PUC가 나오기는 하지만 그보다 상위 성과로 모든 노트와 노브를 S.CRITICAL로 처리하면 비공식 용어로 MAX라 부르고는 했다. 2023년 2월 9일부터는 금빛 번개가 치는 특수 이펙트와 함께 게임 내에서 이론치를 S-PUC라는 이름으로 구분하여 공식적으로 표시한다.

2.2. 슈팅 게임에서의 이론치

2.3. 기타 게임에서의 이론치

팩맨에서 킬스크린이 뜨기까지 이론상 최대로 획득할 수 있는 점수는 3,333,360점으로, 1999년에 빌리 미첼(Billy Mitchell)이라는 사람이 최초로 달성에 성공했다.

두뇌 트레이닝 게임인 루모시티는 게임 점수와는 별도로 스킬포인트와 비슷한 개념인 LPI가 존재하며, 각각 게임에도 LPI가 존재한다. 이론상 최대로 획득할 수 있는 LPI는 2000. 개별 게임으로는 이론치를 달성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나 38가지나 되는 게임을 모두 이론치로 도배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 문서의 r1 버전에 리그베다 위키의 이론치 문서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3. 관련 문서


[1] 이 경우 TAS를 통해 얻은 최대스코어를 만점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2] ALL JUSTICE[3] 따로 설정을 하면 PURE를 할때도 EARLY, LATE가 뜬다[4] 투덱이나 DDR의 P.GREAT나 MAVELOUS와 거의 같다[5] 노트를 하나라도 놓치면 바로 죽는 게임인데 그 대신으로 체크포인트가 존재한다. 리듬게임으로써는 특이한 점.[6] 영어판 원문은 'E-Perfect'~'L-Perfect'. 즉, 이 두 판정들도 일단은 퍼펙트 판정으로 취급된다.[7] 예를 들어, 노트가 165개인 곡에서 이론치를 찍으면 100+1.65로 정확도 101.65%가 된다.[8] 정확도가 100%가 아님에도 이론치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PERFECT를 치느냐 GREAT을 치느냐에 따라서도 피버 타이밍이 달라지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