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 |||
<rowcolor=#fff> 유엔사 군사정전위 기[1] | 휘장 | }}} | |
<colbgcolor=#4b92db><colcolor=#fff> 설립일 | 1953년 7월 27일 | ||
수석대표[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육군 소장 강인규 (육사 47기) | ||
소재지 |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 ||
상위기관 | 유엔군사령부 |
[clearfix]
1. 개요
유엔군사령부 휘하 군사정전위원회이다. 정전 협정의 체결과 함께 동시에 발족하였다.2. 구성
구성은 정전협정에 다음과 명시되어 있다. 군사정전위원회는 10명의 고급장교로 구성하되 그 중의 5명은 국제연합군 총 사령관이 이를 임명하며 그 중의 5명은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과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이 공동으로 이를 임명한다 위원 10명 중 에서 각방의 3명은 장급에 속하여야 하며 각방의 나머지 2명은 소장 준장 대령 혹은 그와 동급인 자로 할 수 있다.그러나 북한은 한국군 황원탁 소장이 유엔사 수석대표로 임명된 것에 항의하여 1991년부터 정전위를 보이콧하였으며 1994년 4월에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중국도 1994년 9월에 탈퇴하였다.
2.1. 유엔측 수석대표
- Blackshea M. Bryan(1953.6.20~1953.10.20) 육군소장
- Julius K. Lacey(1953.10.21~1954.4.30) 공군소장
- Albert E. Jarrell(1954.5.1~1954.6.11) 해군소장
- Thomas B. Brittain(1954.6.12~1954.11.3) 해군소장
- Leslie D. Carter(1954.11.4~1955.5.3) 육군소장
- }}}}}}||<tablewidth=100%><width=20%>제56대
제임스 레코드 ||<width=20%>제57대
황원탁 ||<width=20%>제58대
이석복 ||<width=20%>제59대
차기문 ||<width=20%>제60대||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송영근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김용기제20대
장용구제21대
제22대
권태오제23대
제24대
장경욱제25대
전인범제26대
서형석제27대
장광현제28대
조영진제29대
신상범제30대
김종문제31대
강인순제32대
이기성제33대
최인수제34대
강인규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7px; display: block; background: #10007c; padding: 5px"
}}}}}} ||
2.2. 공산측 수석대표
- 리상조(1953.7.28~1955.7.16) 중장
- 정국록(1955.7.17~1957.10.22) 소장
- 강상호(1957.10.23~1959.3.20) 소장
- 주창준(1959.3.21~1961.3.20) 소장
- 장정환(1961.3.21~1964.9.20) 소장
- 박중국(1964.9.21~1969.9.18) 소장
- 리춘선(1969.9.19~1970.7.29) 소장
- 한영옥(1970.7.30~1972.11.5) 소장
- 김풍섭(1972.11.6~1975.12.22) 소장
- 한주경(1975.12.13~1983.8.22) 소장
- 리태호(1983.8.23~1988.8.23) 소장
- 최의웅(1988.8.24~1994.4.28) 소장: 하지만 북한이 1991년부터 정전위를 보이콧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1991년 즈음에 임기가 끝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북한은 조선인민군 판문점대표부를 내세워서 정전위 체제에 대한 무효화를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