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1:39:46

윌트 체임벌린 vs 빌 러셀

파일:BRvsWC1.jpg
파일:BRvsWC2.jpg
보스턴 셀틱스 No.6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No.13
빌 러셀
"Bill" Russel
윌트 체임벌린
"Wilt" Chamberlain

1. 개요2. 상세3. 구체적인 비교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윌트 체임벌린빌 러셀의 라이벌리를 다룬 문서.

2. 상세

파일:WC&BR.jpg
1999년 5월 26일, 윌트 체임벌린빌 러셀.

윌트 체임벌린빌 러셀은 10년 동안 무려 143경기나 맞대결을 펼쳤다. 평균적으로 1년에 약 열네 번 이상 대결을 펼친 셈이다. 상대전적은 러셀이 86승 57패로 우세하다. 그러나 기록에서는 둘의 맞대결에서 체임벌린은 평균 28.7득점 28.7 리바운드를 기록했으며, 러셀은 평균 14.5득점 23.7리바운드를 기록하면서 체임벌린이 더 우세하다.

괴물 같은 능력으로 전설 같은 기록들을 써내려간 윌트 체임벌린이지만 빌 러셀의 팀인 보스턴 셀틱스[1][2]와의 플레이오프 맞대결에서는 계속 패배[3]하며 우승과는 거리가 먼 시절[4]을 계속 보내다가,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에서 알렉스 해넘 감독의 설득으로 수비형 센터로서 동료를 살리는 플레이로 스타일을 바꾼다. 수비형 센터로 스타일을 바꿔서 시즌 평균 24.1득점 24.6 리바운드 7.8 어시스트를 기록, 마침내 러셀과 보스턴 셀틱스를 꺾고 우승에 이른다. 그 10년 간 러셀은 아홉 번의 우승을 거머쥐었지만 체임벌린의 우승은 고작 한 번뿐이었다.

그럼에도 체임벌린은 수비와 리바운드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 러셀과의 맞대결에서 훨씬 많은 리바운드 숫자를 기록했다. 1960년 11월 25일 체임벌린이 기록한 한 경기 최다 55개 리바운드는 바로 러셀과의 맞대결에서 기록한 것이다.

체임벌린은 2016년 ESPN이 선정한 순위에서 7위인 러셀보다 앞선 5위였다. 러셀의 우승기록만큼이나 전성기 시절 체임벌린의 개인기록과 퍼포먼스는 압도적이었던 만큼, 러셀이 우승 횟수가 훨씬 많다고 해서 체임벌린을 무조건적으로 앞선다고 보지는 않는다는 증거이다.[5][6] 빌 러셀의 항목에서 러셀의 야투율이 그 당시 기준으로는 결코 낮은 편이 아니라 했지만 체임벌린과는 차이가 상당하다. 야투율 자체도 차이가 나지만 훨씬 더 많이 던져서 넣고 그정도 차이라면 정말 상당한 차이라 볼 수 있다. 일단 통산 평균 득점에서도 체임벌린이 30.07득점, 러셀이 15.08득점으로 약 두 배 정도의 차이가 난다. 2015-16 시즌으로 비교 하자면 스테판 커리마이크 콘리 정도의 득점력 차이라 보면 된다.

NBA가 블록 슛을 체임벌린이 은퇴한 직후인 1973-74 시즌부터 집계했기 때문에 공식적인 블록 슛 수치는 0개이다. 그러나 만약 NBA가 1960년대부터 블록 슛 수치를 집계했다면 체임벌린이 러셀이 역대 1위~2위를 나란히 선점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7] 그들을 지켜본 이들은 그들의 블록 슛이 "평균 7~8개"라는 증언이라고 하고 있는데, 이게 과장이라고 생각해 평균 5개 정도였다고 생각해도 체임벌린은 5,225개, 러셀은 4,815개라는 말도 안되는 수치가 나온다.

사실 "평균 7~8개" 자체가 터무니없다고 보기도 힘든게 체임벌린과 러셀의 당시 블록 슛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는 신문기사를 샅샅히 뒤져서[8] 통계를 낸 결과 체임벌린은 112개에서 평균 8.8개, 러셀은 135경기에서 평균 8.1개의 블록 슛을 했다는 무지막지한 결과가 나왔다. 참고로 두 선수 모두 마지막까지 포함된 수치이다. 체임벌린의 마지막 시즌은 표본이 21경기로 평균 7.6개, 러셀의 경우 표본이 13경기로 8.3개였다. 게다가 "블록 슛 수치가 높은 것만 기사화됐을 것이다"라고 추정할 수도 없는 게 블록 슛 수치가 1개, 2개인 경기까지 그대로 집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시즌 하이 수치는 체임벌린은 15개, 러셀은 21개이다.

체임벌린은 MVP에서도 러셀에게 손해를 봤는데 그 유명한 50득점 시즌인 1961-62 시즌 MVP는 다름 아닌 러셀이었다. 그 시즌 체임벌린은 득점 리바운드는 물론 세이버 스탯에서도 러셀을 완벽히 압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MVP는 선수들의 투표로 이루어졌기에 이미지가 더 좋았던 러셀이 체임벌린보다 크게 밀리는 성적에도 불구하고 MVP를 휩쓸었다.[9] 이는 시대가 많이 흐른 2020년대에 뒤늦게 발굴되어 MVP를 더 탈 수 있었음이 드러나며 평가가 더 올라갔다. 그래도 파이널 MVP는 러셀이 1973년까지 현역 생활을 하면서 1회 수상하였기 때문에 처음 신설된 1969년에 수상하지 못한 러셀보다는 앞서있다.

둘의 1대 1 매치업에서는 러셀이 체임벌린에게 상대가 안되었다고 한다. 일단 사이즈부터 러셀이 밀리는 데다가 체임벌린의 개인기량과 운동능력이 너무 좋기 때문이었다. 다만 러셀은 팀을 위해 자기희생을 하는 스타일이라 본인은 매치업에서 져도 팀을 이기게 하는 선수였던 반면 체임벌린은 개인활약에 훨씬 신경쓰는 선수였다. 실제로 개인 스탯에서는 러셀이 체임벌린에게 밀렸지만 팀 전적에서는 러셀이 훨씬 더 앞섰다. 둘은 정규시즌에서 94번을 만났고, 러셀이 57승 37패로 우위를 점했고 체임벌린은 러셀을 상대로 29.9득점을, 러셀은 체임벌린을 상대로 14.9득점을 기록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49번을 만나 러셀이 29번을 승리했고, 체임벌린을 상대로 14.9득점을 기록했다. 반면 체임벌린은 20번을 승리했고, 러셀을 상대로 25.7득점을 기록했다.

블록 슛의 경우 숫자는 얼추 비슷했으나 체임벌린은 호쾌하게 블록 슛을 해 관중석으로 날려버리거나 상대팀이 되찾는 경우가 많았는데 러셀을 최소한의 견제를 해 항상 블록당한 공이 동료들 손에 가도록 신경을 썼다. 체임벌린이 러셀의 스타일로 바꾸고 나서야 비로소 우승을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팀플레이에 대한 이해도는 러셀이 월등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체임벌린의 인간이 아닌 듯한 운동능력에 가려진 바가 있어서 그렇지 러셀의 운동능력 또한 엄청났다. 자유투 라인에서 떠서 레이업을 하는데 이미 머리가 백보드 높이일 정도였다.[10] 실제로 윌트 체임벌린 문서에 나와있듯이, 높이뛰기 항목에서 윌트는 확인되는 최고기록이 6피트 6.75인치인 반면 빌 러셀은 6피트 9.25인치가 최고기록이다. 즉 최소한 점프 분야에선 러셀이 윌트보다도 한 수 위이다. 물론 종합적인 운동능력은 러셀이 비슷하거나 근소우위라도, 윌트의 체격이 훨씬 더 컸기 때문에 그의 신체능력이 훨씬 비상식적이었던 것이 맞다.[11]

러셀은 리바운드 후 속공 패스를 자주 사용하였고, 블록 슛을 할 때도 동료들이 있는 곳으로 공이 가게 해서 속공 전개를 펼치게 하였다. 즉, 러셀은 개인 퍼포먼스로는 체임벌린에게 못 미칠지언정, 팀적인 차원에서는 보스턴 셀틱스가 체임벌린 등에게 승리할 수 있도록 지탱해주는 궁극의 팀플레이어였다.

3. 구체적인 비교

윌트 체임벌린

NBA 챔피언 2회 (1967, 1972)
NBA 파이널 MVP (1972)
NBA MVP 4회 (1960, 1966-1968)
올-NBA 퍼스트 팀 7회 (1960-1962, 1964, 1966-1968)
올-NBA 세컨드 팀 3회 (1963, 1965, 1972)
NBA 올스타 13회 (1960-1969, 1971-1973)
NBA 올스타전 MVP (1960)
NBA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2회 (1972-1973)
NBA 올해의 신인상 (1960)
NBA 올해의 득점왕 7회 (1960-1966)
NBA 올해의 리바운드왕 11회 (1960-1963, 1966-1969, 1971-1973)
NBA 올해의 어시스트왕 (1968)

빌 러셀

NBA 챔피언 11회 (1957, 1959-1966, 1968-1969)
NBA MVP 5회 (1958, 1961-1963, 1965)
올-NBA 퍼스트 팀 3회 (1959, 1963, 1965)
올-NBA 세컨드 팀 8회 (1958, 1960-1962, 1964, 1966-1968)
NBA 올스타 12회 (1958-1969)
NBA 올스타전 MVP (1963)
NBA 올-디펜시브 퍼스트 팀 (1969)
NBA 올해의 리바운드왕 4회 (1958-1959, 1964-1965)

전체적으로 체임벌린의 수상경력이 우수하지만, 정작 우승횟수는 11 vs 2로 러셀이 크게 앞선다.

이렇듯 팀을 승리로 이끄는 선수로써 11개의 우승반지를 거머쥔 러셀, 여러가지 이유[12] 우승반지는 많이 부족하지만 압도적인 개인기록과 퍼포먼스를 보여준 체임벌린 사이의 고저는 아직까지도 논쟁거리이다.

4. 여담

  • 뉴욕 닉스의 전설 월트 프레이저가 이둘이 NBA의 기반을 만든 장본인이라며 70년대 닉스가 NBA 최고의 팀이였을 당시에도 사람들은 윌트와 빌밖에 몰랐었다며 그 둘이 없었다면 오늘날에 NBA는 없었을 것이라 장담했다.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와 보스턴 셀틱스가 맞붙었던 1969 파이널 7차전에서 체임벌린은 43분을 뛰며 27리바운드를 기록했지만 무릎 부상 때문에 4쿼터 막판에 벤치를 지켰고[13], 그 경기에서 제리 웨스트트리플 더블을 하며 분투했지만 끝내 보스턴 셀틱스가 2점차로 승리했다.[14] 그런데 그 사실에 대해 몰랐던 러셀이 체임벌린이 벤치를 지키고 있던 것을 비난하면서 20년이 넘게 둘의 인연이 끊겼다고 한다. 두 사람은 결국 노년이 되어 화해를 하기는 했고, 윌트는 그 후 얼마 안 되어 세상을 떠났다.

5. 관련 문서


[1] 빌 러셀의 과대평가 논란과 반박 항목에도 자세히 나와있지만 당시 셀틱스가 마치 슈퍼스타들이 모인 팀인 것처럼 생각되는 것이나, 체임벌린에 비해 동료들이 훨씬 높았다고 여겨지는 것 둘 다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당시에는 팀 수가 적어 뛰어난 선수들이 지금보다 각 팀에 촘촘하게 분포가 됐었으며 체임벌린 역시 레전드 동료들이 여럿 있었다. 또한 러셀이 함께 뛰었다는 '8명의 명예의 전당 동료' 역시 한 번도 올스타에 못 뽑힌 평범한 선수가 셀틱스 왕조에 대한 예우로 헌액되는 등 실제 실력이 명예의 전당급이 아닌 선수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셀틱스가 당대 최강의 강팀이긴 했지만 다른 팀들과 주전 한명 한명이 차원을 달리하는 슈퍼팀까진 아니었다는 소리. 커리어 전반을 볼때 체임벌린이 러셀에 비해 밀리는 전력의 팀에서 뛰어온 기간이 많은건 사실이나, 정작 체임벌린이 전력에서 훨씬 앞서는 슈퍼팀을 꾸렸을때도 끝내 반지를 차지한건 러셀의 셀틱스였다. 체임벌린과 러셀의 차이가 팀원의 차이만 있던 것은 결코 아니었다.[2] 결정적으로 1968-69 시즌 당시 체임벌린의 레이커스는 제리 웨스트, 엘진 베일러라는 전설들이 포진한 최강라인업이었고 셀틱스는 늙고 병든 라인업으로 플레이오프에도 턱걸이로 진출한 팀이었다. 당시 셀틱스가 결승에서 선전해 7차전까지 몰고갔으나 7차전은 레이커스의 홈에서 치러지기까지 해 셀틱스의 승리를 점치는 이는 거의 없었다. 오죽하면 레이커스 구단주가 우승시 풍선 떨어지는 것과 밴드연주, 수훈선수 인터뷰 순서(베일러, 웨스트, 체임벌린 순)까지 정해둘 정도였다. 그러나 셀틱스는 극적으로 업셋 우승에 성공했고 레이커스 직원들은 천장에 세팅된 풍선을 하나하나 꺼내야 했다. 사실 체임벌린은 플레이오프에서는 최고의 득점원도 아니었다. 그가 플레이오프 득점 1위를 차지한 적은 단 한 번이었으며 제리 웨스트, 엘진 베일러에게 플레이오프 최고 득점원 자리를 항상 내줬다. 큰 경기만 되면 더 강한 모습을 보인 러셀과 대비되던 모습. 실제로 전문가들은 체임벌린이 팀을 이끌기보다는 본인의 스탯에 신경쓴다는 평가를 내렸으며 그가 이와 같은 성향을 버리고 나서부터야 우승에 성공했다.(첫 우승 당시 그의 평균 득점은 24득점을 조금 넘었다.)[3] 당시 보스턴 셀틱스의 전략은 1980년대 마이클 조던을 마크했을 당시의 그것과 완전히 똑같았다. "체임벌린(조던)에게 득점은 주되, 우리는 우리의 기량차이로 나머지 상대를 압살하며 승리한다." 결과적으로 두 선수 모두 본연의 스타일 속에서는 끝끝내 그 시절의 레전드들이 포진했던 셀틱스와의 맞대결에서 한 번도 시리즈를 따낼 수는 없었다. 그리고 이것은 끝끝내 시카고 구단 자체적인 징크스로 남게 된다.[4] 물론 어딜 가도 체임벌린이 들어간 팀은 챔피언 컨텐더였다.[5] 사실 현지 랭킹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체임벌린과 러셀은 평가기관에 따라 순위가 엎치락뒤치락 한다. 러셀은 역대 최고의 수비수이자 궁극의 팀플레이어로서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는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의 소유자이고, 체임벌린은 팀적인 성과는 러셀에게 한없이 못미치지만 한경기 100득점이나 50리바운드, 시즌 평득 50점 등의 초월적인 개인 기록을 자랑한다. 둘 다 NBA 역대 10위 안에 드는 레전드들이면서도 커리어상 돋보이는 부분이 서로 워낙 다르기 때문에, 평가자들의 기준에 따라 순위가 업치락 뒷치락 할 밖에 없는 것이다.[6]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유명 기자 잭 맥캘럼이 최근 랭킹을 내며 러셀을 8위라는 일반적인 평가에 비해 굉장히 낮은 순위에 올려놨는데(체임벌린은 물론이고 매직 존슨, 래리 버드, 오스카 로버트슨보다도 낮다. 이 때 적은 평이 이를 잘 보여준다. "여러분들의 양해를 바랍니다. 제가 선택하는 모든 역대 팀에는 빌 러셀을 센터로 뽑아왔습니다. 그 이유는 그 주변에 다른 불멸자들(조던, 버드, 로버트슨, 베일러, 매직)이 있으면 그는 득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의 축복받은 수비력이 빛을 발할 테니까요. 그렇지만 우리는 선수 개인에 대해 논하는 거고, 저는 그의 11개 반지에도 불구하고 위에 언급한 두 센터만큼 좋은 선수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셀)가 강하게 반대할 걸 알고 있습니다. 저는 그걸 존중하고요." 하나 추가하자면 굳이 "양해 바랍니다"란 코멘트를 단 것만 봐도 "빌 러셀 8위"가 일반적인 인식과 괴리가 굉장히 크다는 걸 알 수 있다.[7] 체임벌린이 1위일 가능성이 더 높은데, 그 이유는 러셀이 더 위대한 수비수였다지만 적어도 블록 슛 만큼은 사기적인 높이와 운동능력을 가진 체임벌린이 러셀과 최소 대등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963경기에 출전한 러셀보단 1,045경기로 한 시즌 분량의 경기수를 더 뛴 체임벌린이 누적에서는 더 유리하다. 물론 블록 슛을 체임벌린이 비슷하거나 더 많이 했다고 해서 수비력이 동급인 것은 아니다. 러셀은 블록 슛은 전략적으로 이용하는데 능했고 속공의 시발점으로 이용하는 선수였기 때문이다.[8] 기사에서 "몇 개의 블록 슛을 했다"라고 언급된 경우. 기록이 상충되는 경우 더 적은 기록을 선택했다고 한다.[9] 엘진 베일러도 이 때문에 MVP를 놓쳤다.[10] 사실 체임벌린이 러셀보다 족히 10cm는 크고 훨씬 무거운 걸 감안하면, 운동능력이라도 비슷하지 않으면 막을 수가 없다.[11] 비슷한 예로 마이클 조던이나 르브론 제임스도 각자 시대에 이들보다 빠른 이들은 얼마든지 있었다. 그러나 198cm 장신인 조던이 PG들만큼 빠르거나, 센터들만큼 무거운 르브론이 가드들만큼 빠른게 말도 안되는 일이었기에 사기급 운동능력으로 불리는 것이다.[12] 셀틱스에게 열세인 팀에서 뛰었던 기간이 길었던 점, 체임벌린 본인이 팀을 살리기보다는 개인기록에 신경쓰는 경향이 있었던 점, 전력에서 앞서는 시기마저도 준우승으로 기회를 날려버린 점 등.[13] 사실 48분을 전부 뛴 러셀과 웨스트, 존 하블리첵에 가려서 그렇지 체임벌린도 적게 뛴 것은 절대 아니다. 다만 당시 45.3분을 뛰면서 리그 1위를 기록했던 그가 우승이 결정될 수 있는 7차전 승부처에 뛰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비난을 받았던 것. 평상시 체임벌린 같았으면 당연히 48분을 다 뛰었을 것이다.[14] 이로 인해 제리 웨스트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패자팀에서 나온 파이널 MVP가 되었다. 물론 웨스트 본인은 그 수상을 전혀 달가워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