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희성 위씨(姬姓 衛氏) | ||||
초대 강숙 | 제2대 강백 | 제3대 고백 | 제4대 사백 | 제5대 첩백 | |
제6대 정백 | 제7대 기백 | 제8대 경후 | 제9대 희후 | 제10대 공백 | |
제11대 무공 | 제12대 장공 | 제13대 환공 | 제14대 주우 | 제15대 선공 | |
제16대 혜공 | 제17대 검모 | 제18대 혜공 | 제19대 의공 | 제20대 대공 | |
제21대 문공 | 제22대 성공 | 제23대 위군 하 | 제24대 성공 | 제25대 목공 | |
제26대 정공 | 제27대 헌공 | 제28대 상공 | 제29대 헌공 | 제30대 양공 | |
제31대 영공 | 제32대 출공 | 제33대 후장공 | 제34대 반사 | 제35대 위군 기 | |
제36대 출공 | 제37대 도공 | 제38대 경공 | 제39대 소공 | 제40대 회공 | |
제41대 신공 | 제42대 성공 | 제43대 성후 | |||
희성 자남씨(姬姓 子南氏) | |||||
제44대 평후 | 제45대 사군 | 제46대 회군 | 제47대 원군 | 제48대 위군 각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위(衛)나라 2대 국군 강백 康伯 | ||
성 | 희(姬) | |
씨 | 위(衛) | |
휘 | 무(牟)[1] | |
아버지 | 위강숙(衛康叔) 희봉(姬封)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clearfix]
1. 개요
주나라의 제후국 위(衛)나라의 제2대 군주. 위강숙의 아들. 위고백의 아버지. 초주의 고사고에 의하면 위 모백(衛牟伯)이라고도 한다. 달리 왕손 모라고도 한다.[2] 양관에 따르면, 서주 시대 청동기 명문에 백무(伯懋)라고 등장하는데, 당시 힘쓸 무(懋) 자와 소 울음소리 모(牟) 자가 음이 같다고 여겼던 것이다.[3][4]2. 생애
그는 아버지인 위 강숙의 가르침에 따라 성실하게 정무를 돌보아 위나라를 흥성하게 했다.[5] 정치를 통해 사람들을 화목하게 해 백성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했다고 한다.대외적으로는 동이족[6]의 반란을 진압해 주 왕실을 안정시켰다. 그리고 제정공, 진후섭, 노태공과 함께 주강왕을 모셔 이른바 '성강지치(成康之治)'를 이룩하는데 도움을 줬다.
그가 죽고 아들인 위 고백이 뒤를 이었다.[7]
[1] 아래에 나오듯이 懋자와 통자라고 나왔기 때문에 무라 발음한다.[2] 그는 주문왕(周文王)의 손자다.[3] 이것을 통자(通字)라고 한다.[4] 위의 표의 휘 부분에 보면 알 수 있듯이 牟자에는 무의 음가를 쓰는 경우도 있으므로 휘를 무라고 적은 것이다.[5] 당시 위나라는 주나라와 가깝고 교통이 발달해 문화가 흥성했으며, 당시에는 왕권이 센 만큼 그 버프도 있어 초기에는 제법 강력한 제후국이었다.[6] 당시 회하 동쪽에 살던 이민족을 동이라 칭했다. 즉, 오늘날 한반도나 일본 열도쪽과는 관련이 없다. 동이라는 개념 자체가 항목에도 있듯 시대마다 범위가 변하는 개념이었다.[7] 위 고백은 이름이 실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