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8:21:50

웨주


1. 개요2. 설명3. 장착 마법
3.1. 통곡의 웨주
4. 필드 마법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소생의 웨주5.2. 경벽의 웨주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왕의 기억 편 200화에서 어둠의 바쿠라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한 테마로 등장. 해당 화에서 일회용으로 쓰인 3장의 카드가 전부였으나, OCG에서 천년 서포트 카드인 웨주의 신전이 발매되었다. 이후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4에서 통곡의 웨주가 OCG화되면서 정식 카드군이 되었다.

모티브는 몬스터의 를 가두는 석판으로, 실제 이집트어 어휘 웨주는 율령에 해당하는 뜻인 듯.

3. 장착 마법

3.1. 통곡의 웨주

파일:GriefTablet-AC04-JP-OP.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통곡의 웨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嘆<rp>(</rp><rt>なげ</rt><rp>)</rp></ruby>きの<ruby>石版<rp>(</rp><rt>ウェジュ</rt><rp>)</rp></ruby>,
영어판명칭=Wedju of Grief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되고\, 릴리스할 수 없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장착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통곡의 웨주" 이외의 "웨주"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장착 몬스터가 파괴된 것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 원작 효과 ]
파일:grief-table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통곡의 웨주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嘆<rp>(</rp><rt>なげ</rt><rp>)</rp></ruby>きの<ruby>石版<rp>(</rp><rt>ウェジュ</rt><rp>)</rp></ruby>,
영어판명칭=Grief Tablet,
효과1=장착 몬스터는 공격 선언과 표시 형식의 변경을 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장착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그 몬스터의 컨트롤러는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받는다.)]

원작에서 드래곤의 제왕의 대상지정 내성 부여 효과를 봉쇄하기 위해 사용했다. 이걸로 드래곤의 제왕을 가둬둔 후, 디어바운드 카넬의 효과를 복제한 도플러 토큰으로 푸른 눈의 백룡을 약화시켜 전투 파괴하려 했으나 카이바가 공격 유도 아머로 공격대상을 드래곤의 제왕으로 바꾸는 바람에 파괴는 못했다. 대신 디어바운드 카넬의 전투 데미지+통곡의 웨주 효과 데미지로 더 많은 데미지를 주긴 했다.

애니크로 2024에서 OCG화되면서 릴리스 불가와 웨주 카드 서치 효과가 붙었다. 이 덕에 웨주가 카드군으로 지정되었으며, 먼저 발매된 웨주의 신전 역시 이 카드로 서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미 OCG 상태인 아래의 함정 카드 2장도 언젠가 OCG화될 가능성이 생겼으며, 나아가 OCG 오리지널로 웨주 카드가 더 출시될 여지가 주어졌다.

기본적으로는 상대의 귀찮은 몬스터한테 달아 깡통으로 만들어버리거나, 자신의 몬스터에게 달아 웨주의 신전을 가져와 전개를 시작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다. 천년 몬스터들은 굳이 엑조디아 덱이 아니더라도 용병으로 사용되기 좋은 카드들이기에, 해당 카드를 용병으로 쓰는 덱이라면 이 카드 역시 채용해볼만하다.

특히 장착 마법이라, 장착 위주의 테마가 천년 기믹에 닿을 수 있게 되었다.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이나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불꽃성기사-리나르도 콤보로 퍼 올 수 있다. 특히 이 카드를 직접 장착시킬 수 있는 미캉코에서도 우둔한 도끼처럼 상대 몬스터에게 달아 효과를 봉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카드와는 달리 공격력 상승이 없기에 반사 데미지는 늘릴 수 없는 대신 공격과 표시형식 변경을 봉쇄하며, 릴리스 불가 덕에 의식, 어드밴스 소환 테마를 상대로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술했듯 천년 기믹에 닿을 수 있기에 패에 들어오면 그냥 돌파수단 1이었던 도끼 대신 선턴 천년 기믹을 활용한 전개도 가능하다.#

한편 원작에 없던 릴리스 불가가 달린 덕에 의식이나 어드밴스 소환, 코스트 등으로 릴리스해서 치워 버리는 걸 방지할 수 있다는 소소한 이득이 생겼다. 파괴 시 500 데미지는 소소한 덤 정도.

원작의 일러스트가 매우 무성의한데, 이는 애니메이션에서 드래곤의 제왕이 갇히는 장면을 그대로 카드 일러스트에도 사용했기 때문[1]이다. 아무리 퀄리티가 낮더라도 웬만해서는 카드 일러스트가 따로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이 카드는 애니메이션 장면 자체, 그것도 이 카드의 효과가 발동되는 장면을 일러스트로 사용한 전무했던 사례. OCG화된 이 카드의 일러스트 역시 원작의 장면을 리터칭한 수준에 그쳤다.
수록 시리즈
2024-06-22 |
[[일본|]][[틀:국기|]][[틀:국기|]] AC04-JP001 | アニメーション クロニクル 2024

4. 필드 마법

4.1. 웨주의 신전

통곡의 웨주가 OCG화되기 전에 발매된 인피니트 포비든에 등장한 카드로 최초로 OCG에 등장한 웨주 카드이다. 석판(세키반)이 아닌 웨주로 한 것은 어쩌면 이 카드군의 등장을 예고한 것일지도?

현재로선 통곡의 웨주로 서치 가능한 유일한 카드이기에 통곡의 웨주를 쓴다면 해당 카드 및 천년, 밀레니엄 몬스터들은 필수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소생의 웨주

파일:rebirth-table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소생의 웨주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蘇生<rp>(</rp><rt>そせい</rt><rp>)</rp></ruby>の<ruby>石版<rp>(</rp><rt>ウェジュ</rt><rp>)</rp></ruby>,
영어판명칭=Wedju of Rebirth,
효과1=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 자신의 묘지의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킨다.)]

5.2. 경벽의 웨주

파일:mirror-tablet.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경벽의 웨주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鏡壁<rp>(</rp><rt>きょうへき</rt><rp>)</rp></ruby>の<ruby>石版<rp>(</rp><rt>ウェジュ</rt><rp>)</rp></ruby>,
영어판명칭=Wedju of Mirror,
효과1=아군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 아군 몬스터를 파괴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을 아군 몬스터 1장에 더하고\, 그 몬스터와 강제적으로 전투를 한다. 전투 종료시 공격력은 원래대로 돌아간다.)]


[1] 이 카드를 비롯한 다른 "웨주" 카드들이 등장했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200화는 "전설의" 200화라 불릴 정도로 AGO를 비롯한 작화 붕괴가 극심한데, 카드 일러스트를 그릴 시간이 없어 이런 꼼수를 사용한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