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59:46

울산 버스 순환11, 12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ffbc00>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순환버스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
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
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
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순환11, 12 순환21, 22 순환31, 32
파일:나무 순환12.png
순환12번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1. 개요

울산광역시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2. 노선 정보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순환버스 순환11번
기점 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동(명촌차고지) 종점 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동(명촌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10 막차 -
배차간격 12분
운수사명 한성교통 인가대수 7대
노선 명촌차고지 - 효문사거리 - 울산종합운동장 - 홈플러스중구점 → 중구청 → 복산동행정복지센터앞 → 성안입구 → 울산교육청 → 함월고등학교 → LH2단지.호반베르디움 → 이예로 → 옥동중학교 → 법원 → 신정고등학교 → 동서오거리 → 수암시장 → 대현동행정복지센터 → 롯데인벤스 → 달동주공아파트 → KBS방송국 → 울산MBC → 홈플러스중구점 → 이후 역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울산 순환11, 12 노선도 배경.png
파일:울산 순환11, 12 노선도.svg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순환버스 순환12번
기점 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동(명촌차고지) 종점 울산광역시 북구 명촌동(명촌차고지)
종점행 첫차 05:35 기점행 첫차 -
막차 22:15 막차 -
배차간격 12분
운수사명 한성교통 인가대수 7대
노선 명촌차고지 - 효문사거리 - 울산종합운동장 - 홈플러스중구점 → 울산MBC → KBS방송국 → 달동주공아파트 → 번영로두산위브 → 대현동행정복지센터 → 수암시장 → 동서오거리 → 신정고등학교 → 법원 → 옥동중학교 → 이예로 → LH2단지.호반베르디움 → 함월고등학교 → 울산교육청 → 성안입구 → 복산동행정복지센터앞 → 중구청 → 홈플러스중구점 → 이후 역순

3. 역사


4. 특징

  • 교통이 불편한 우정혁신도시와 북부순환도로 주민들의 발이 되는 노선이다.
  • 옥동과 우정혁신도시, 북부순환도로를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 최초로 이예로를 경유한다. 다만 이예로 상의 정차 정류장은 하나밖에 없다.[1][2]
  • 수암동에서 야음사거리를 통해 번영로로 진입하는 노선이 22년 만에 다시 생겼다.[3]
  • 야음동 일대(달동주공, 우방아파트 등)에서 공업탑이나 시청 등으로 가려면 도산사거리나 달동주공아파트[4]에서 순환12번을 탄 뒤 대현초등학교앞이나 동부아파트입구에서 다른 버스로 환승하는 걸 추천한다.
  • 416번과 같이 야음동과 옥동을 이어준다. 다만 416번과 달리 수암동과 무거동까진 가지 않고 야음동에서 옥동을 갈때도 루첸아파트와 공업탑 정류장을 경유해 가는 416번과 달리 동서오거리에서 바로 옥동으로 간다.[5]

[1] 물론 이예로는 고속화도로 역할이고, 이예로 상의 정류장인 'LH2단지, 호반베르디움' 정류장은 본선이 아니라 진출로에 붙어있다.[2] 여담으로 고속도로를 타기 때문에 해당 노선 차량들은 전부 좌석으로 개조된 차량들이다.[3] 구 39번의 신설초기에는 노선도 옥동중학교에서 번영로(현 롯데인벤스)를 경유하였다가 2002년 개편때 태화강역 출발로 단축되었다.[4] ID는 40529.[5] 야음동에서 옥동으로 갈 땐 416번보다 순환11, 12번을 타는 게 더 빠르며 배차간격도 416번보다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