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요괴워치 日: 2014. 01. 08. ~ 2018. 03. 30. 韓: 2014. 10. 28. ~ 2018. 10. 16. | 요괴워치 섀도사이드 日: 2018. 04. 13. ~ 2019. 03. 29. 韓: 2019. 04. 23. ~ 2019. 11. 26. | 요괴워치! 日: 2019. 04. 01. ~ 2019. 12. 20. 韓: 2020. 02. 11. ~ 2020. 07. 27. | 요괴학원Y: N과의 조우 ,(1기) (고등학교편), 日: 2019. 12. 27. ~ 2021. 04. 02. 韓: 2021. 08. 03. ~ 2022. 03. 08. | 요괴워치 음표 日: 2021. 04. 09. ~ 2023. 03. 31. 韓: 2022. 11. 07. ~ 2024. 05. 05. |
<colbgcolor=#e60012><colcolor=#ffef00> 요괴워치 (2014~2018) 妖怪ウォッチ Yo-kai Watch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e60012><colcolor=#ffef00> 장르 | 요괴, 판타지, 액션, 코미디 |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히노 아키히로 | ||
기획 | |||
시나리오 원안 | |||
원작 | LEVEL-5 | ||
감독 | 우시로 신지 | ||
부감독 | 호조 후미야(北條史也)(102화부터) | ||
요괴 & 캐릭터 디자인 원안 | 나가노 타쿠조(長野拓造) 타나카 미호(田中美穂) | ||
캐릭터 디자인 | 스다 마사미 (1~76화) 야마다 토시야(山田俊也) (22~214화) | ||
총작화 감독 | 야마다 토시야 타케우치 아키라(武内 啓) (22화부터) | ||
미술 감독 | 쿠기메키 아야(釘貫彩) 코하마 토시히로(小濱俊裕)[1] (101화까지) | ||
미술 설정 | 아오키 카오루(青木薫) 카네시로 사아야(金城沙綾) (77~178화) | ||
색채 설계 | 카도노 에미(角野江美) | ||
촬영감수 | 유키와키 타츠미(柚木脇達己) | ||
촬영 감독 | 야마미치 나호미(山道奈保美) | ||
편집 | 오노데라 에미(小野寺絵美)[2] | ||
음향 감독 | 미마 마사후미 (1~163화) 하타 쇼지(はたしょう二) (164~214화) | ||
음악 | 사이고 켄이치로(西郷憲一郎)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이노우에 타카시(井上たかし) | ||
애니메이션 제작 | OLM TEAM INOUE | ||
제작 | 테레비 도쿄 덴츠 OLM | ||
방영 기간 | |||
방송국 | |||
편당 방영 시간 | 24분 | ||
화수 | 214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 | |
<rowcolor=#ffef00> 한국판 로고 | 일본판 로고 | 북미판 로고 |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로 시동한 요괴워치 시리즈에 부스터급 화력을 불어넣은 일등공신으로, 이전까지 코믹스와 게임판만으로는 주춤했던 성적을 완구와 함께 월등히 뛰어넘을만큼 성공하게 했다.
총 화수 214화로 완결하며 요괴워치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넘어 LEVEL-5의 IP 원작 애니메이션 중에선 최장기방영작이다. 2위는 127화를 방영한 썬더 일레븐, 3위는 98화를 방영한 요괴워치 음표다.
2. 공개 정보
2013년 6월 17일, 게임판 발매를 1달 앞둔 시점에서 애니메이션 방영 정보가 발표되었다. 방영 시기는 2014년 1월.2014년 1월 정식 방영을 시작한 이후, 방영 초기부터 8화 시청률 6.3%를 찍어 범상치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얼마 안 가 연말에 방영한 48화와 49화는 무려 9.1%를 기록해 이는 본작의 역대 최고 시청률로 기록돼 있다. 이후에도 보통 2~3% 정도의 시청률을 보이던 저녁 시간대 방송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5~7%의 시청률을 유지해왔다. 애니의 흥행과 함께 발매한 반다이의 DX 완구들과 신작 게임 요괴워치 2도 각각의 파급력으로 그야말로 일본에 하나의 사회현상을 일으켰고, 기어이 애니메이션 주제가로 제66회 NHK 홍백가합전에까지 출연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7일, LEVEL-5는 도쿄 돔 시티홀에서 진행한 LEVEL5 VISION 2015를 통해 신작 게임 요괴워치 3을 발표하고 그의 내용을 계승한 애니메이션의 세컨드 시즌(セカンドシーズン)을 발표했다. 기존 레귤러 출연과 동시에 미소라 이나호(주미래)와 USA뿅이라는 새로운 캐릭터들에 의한 신전개를 추가시켜 애니메이션을 더욱 폭넓게 확장시키는 기획 등 당시 발표회에서 본 정보는 어마무시한 규모로 발표되었다.
2018년 2월경, 요괴워치 섀도사이드의 방영이 발표되며 종영이 반확정되었다. 이후 214화 편성 정보를 통해 종영이 확정되고 2018년 3월 30일에 214화를 끝으로 종영했다.
3. 등장인물
4. 주제가
5. 회차 목록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6.1.1. 방영 전
일본에서의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바로 한국에서도 방영을 위한 수입사간 판권 경쟁이 시작됐다.[3] 경쟁 끝에 CJ ENM의 투니버스가 판권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 그대로 투니버스 방영이 확정되었다. 예고편에선 박경혜 성우의 목소리가 예고편 나레이션으로 나왔고, Over The Radio에서 홍범기가 위스퍼를 맡았다는 게 알려졌다. 연출은 신길주, 번역은 윤경아.6.1.2. 방영 후
투니버스에서 2014년 10월 28일 오후 7시에 첫 방영되었다. 1회 본방송에 2화 분량을 방영하는 식으로 약 1년이 벌어진 일본 현지와의 텀을 가능한 줄였다. 다만 실제로 일본을 따라잡을까봐 적당한 타이밍에 본방송을 중단하고 더빙판 분량을 축적한 뒤에 NEW 에피소드 개념으로 방영하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판권 경쟁이 치열했던만큼 투니버스에서는 최상급의 더빙 퀄리티를 밀어주었고 그만큼의 보답을 받는 듯 한국에서도 사회현상 수준의 잭팟이 터졌다. 한국에서는 굉장히 준수한 성적이라고 할 수 있는 평균 시청률 1%, 최고시청률 3%를 보이며 애니메이션이 흥행했고, 반다이 남코 코리아와의 협업으로 발매한 완구들도 뒤이어 매진이 일어났다.
일주일 내내 재방송이 수시로 편성될만큼 비슷한 시기의 다른 신작들에 비해 투니버스로부터 매우 적극적인 푸쉬를 받고 있아 방영 개시 2달만에 바로 짱구는 못말려, 명탐정 코난과 대등히 경쟁하는 투니초이스 TOP 3로 뽑히는 등 국내에서 순조로운 반응을 이끌었다.
더빙 팬이 많은 성우 갤러리에서는 처음엔 로컬라이징이 힘들 거다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매화 미칠 듯한 로컬라이징과 신들린 연기로 그야말로 찬사가 대폭발하였다. 담당 PD인 신길주 PD의 사무라이 참프루와 오란고교 사교클럽과 더불어 역대 최고의 연출작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 당시 높은 더빙 퀄리티로 호평받은 아이엠스타를 추월한 퀄리티로 전체적인 화면 편집 또한 상당히 훌륭한 평가를 받았으며 더빙에서 중간중간 패러디 드립도 한국의 감성에 맞게 잘 도입하는 등 센스 있는 로컬라이징을 보였다. 다만 일본 문화가 강한 요괴다보니 일부 왜색이 되는 부분은 가능한 잘라냈는데, 때문에 대표적으로 센고쿠 시대를 다룬 47화는 통으로 방영되지 않았다.
다만 코믹스판을 발매하는 대원씨아이와의 소통 부재인지 일부 로컬라이징 표기가 통일되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방영 끝까지도 제법 문제로 자리잡았다.
2016년 병신년을 맞아 신작 에피소드 광고를 하기 시작했는데, 지바냥이 2015년에서 2016년으로 달력을 넘기자 달력에 적힌 병신년을 보고 흠칫하는 어린이 채널 치고 굉장히 약빤 광고를 내보냈다.
일본에서 세컨드 시즌으로 발표한 77화 이후의 스토리는 국내에서 시즌 2로 정의해 2016년 2월 23일부터 방영했다. 새로 등장하는 주역인 주미래는 김보영, USA뿅은 정혜옥으로 캐스팅되었다.
2017년 3월 28일부터는 요괴워치 드림이 등장하는 130화부터를 시즌 3로 정의해 방영했다. 톰냥은 손수호, 제리는 소정환이 담당했다.
신 코너인 버스터즈 트레져가 시작하는 179화부터를 시즌 4로 정의해 2018년 5월 8일부터 방영했다. 이후 동년 10월 16일 최종화를 방영하고 종영했다.
6.1.3. 위기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는 투니버스, 완구를 발매하는 반다이 남코 코리아, 코믹스를 발매하는 대원씨아이는 애니메이션을 선두로 가능한 스텝을 맞추어가며 일본 본토와 같은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의 흐름을 따라가려 하고 있었다. 하지만 게임 부분을 발매해야 할 한국닌텐도의 부재로 인해 한국 초기에 사회현상 수준의 인기가 발휘된들 그때부터 이미 스텝은 꼬이기 시작했다.인기를 진작에 체감하고 LEVEL-5는 한국닌텐도, 대원미디어와 함께 게임 초대작을 너무나도 늦은 2015년 11월에 발매했다. 나머지 미디어 부분을 보면 해당 시점에서는 이미 요괴워치 2나 요괴워치 버스터즈를 발매하는 것이 정상이다. 즉 한국에서는 게임 부분만 다른 미디어에 비해 약 2년 늦게 참가해 텀을 낳아버렸는데, 이 부분이 한국에서 실패한 제일 큰 요인으로 기정사실화됐다.
애초에 처음은 게임을 보류하고 완구 판매만을 목적으로 두고 런칭한 감이 없잖아 있다. 한국 이전에 요괴워치의 해외 수출 사례가 없기도 했고 한국 이후 런칭한 미국은 애니메이션, 완구, 게임, 코믹스를 전부 동시기에 가져온 걸 보면 한국은 맛보기였던 것으로 보이며, 사실 그런 게 아니여도 LEVEL-5는 한국 진출에 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완구를 포함하여 이만큼 진출한 것도 용한 감이 있다.[4]
완구 또한 인기 뒤에 문제가 있었는데, 애니메이션에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초반에 완구 대란이 일어나 물량이 순식간에 동났지만 도리어 물량 공급이 재빨리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불만이나 분노를 느낀 소비자들이 이탈했다.[5]
결국 이미 게임이 발매한 시점에서는 터닝메카드의 등장으로 인기가 식어가기 시작했고, 애니나 완구나 전부 기존 이하의 성적을 보이는 상황에서야 게임을 발매하는 괴랄한 일이 발생한 것이다. 때문에 현재 일본에서는 시리즈의 유일한 밥줄이라 불리는 요괴워치 뿌니뿌니도 때늦은 런칭과 인기 저조로 1년만에 국내 서비스를 종료했다. 특히나 요괴워치 뿌니뿌니는 한일 합작 게임이었으므로 아쉬운 부분.
게다가 게임이 발매되기 시작했어도 그 속도가 IP 자체 런칭 시기는 한국보다 뒤였던 미국보다도 느린 것도 단점이 되었다. 초대작인 요괴워치부터 미국이 한국보다 20일 앞서 발매했으며, 시리즈 최고 명작이라 평가받는 요괴워치 2는 미국에서 2016년 9월에 발매하고 한국은 약 7개월 뒤로 요괴워치 드림이 발매한 2017년 4월에서야 발매했다. 그나마 요괴워치 버스터즈는 2018년에 미국보다 약 5개월 빨리 발매했지만, 그 뒤에 발매해야 할 요괴워치 3는 Nintendo Switch로의 세대 교체와 닌텐도 3DS 단종으로 아예 발매되지 못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요괴워치/비판 및 문제점 항목 참조.
7. 기타
[1] 둘 다 애니 배경/설정 디자인업체 (주)비호우(美峰) 소속이다.[2] 제이필름 소속.[3] 당시 투니버스의 신동식 PD 왈 '유례없는'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치열했다고 한다.[4]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도 애니메이션으로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나 게임 발매가 하나도 이뤄지지 않아서 그 이상의 인기를 얻지 못했고, 현재도 메가톤급 무사시나 레이튼 교수와 증기의 신세계 등 타이틀은 한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꾸준히 해외 발매가 이루어지고 있다.[5] 인기 작품의 완구 물량 부족 문제는 반다이 남코 코리아가 현재도 안고 있는 문제 중 하나다. 특히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일본어 음성인 완구들이 대표적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