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e100><colcolor=#000000> 와웃 반 아트 Wout van Aert | |
| |
본명 | 와웃 반 아트 Wout van Aert |
출생 | 1994년 9월 15일 ([age(1994-09-15)]세) |
플란데런 헤렌탈스 | |
국적 |
|
종목 | 로드사이클, 사이클로크로스 |
신체 | 190cm, 78kg |
포지션 | 올라운더[1] |
소속팀 | Telenet–Fidea (2013) Vastgoedservice–Golden Palace (2014~2016) Vérandas Willems–Crelan (2017~2018) Team Visma | Lease a Bike (2019~ )[2] |
그랜드 투어 | 투르 드 프랑스 포인트 종합 1위 1회 ('22) 스테이지 우승 9회 ('19 ~ '22) 부엘타 아 에스파냐 스테이지 우승 3회 ('24) |
모뉴먼트 | 밀란-산 레모 ('20) |
링크 |
1. 개요
벨기에 국적의 Team Visma | Lease a Bike 소속 사이클리스트.평지, 코블, 클라임, 스프린트, 타임 트라이얼 등 다양한 지형과 스테이지 유형을 넘나드는 다재다능한 스타 라이더. 리더로 활약하면서도 팀이 필요로 할 때에는 기꺼이 슈퍼 도메스티크가 되어줄 수 있는 팀 플레이어다.
2. 선수 경력
어릴적 첫 영성체를 치른 선물로 아버지께 MTB 자전거를 받아 타기 시작했다. 2년 뒤 반 아트는 8살의 나이에 첫 사이클로크로스 레이스에 출전하여 바로 2위를 거머쥐었다. 이후 Telenet-Fidea의 유스팀을 거친 뒤 U23 카테고리에서 좋은 성적을 내어 14-15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엘리트 분류에 출전하기 시작했다. 마티유 반 더 폴과 라이벌리를 형성하며 사이클로크로스의 대표적 스타로 활약했다. 16, 17, 18년 3연속 CX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는 동시에 로드 종목에서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낸 와웃 반 아트는 로드사이클링에 집중하기 위해 2019년 윰보-비스마로 이적했다. 이적 과정에서는 여러 법적 문제로 인해 잡음이 많이 발생했다.로드로 완전히 전향한 반 아트는 6월의 도피네에서 첫 월드 투어 우승을 거머쥐고 투르 드 프랑스 2019에 출전한다. 3일간 화이트 저지를 입기도 하고, 첫 투르 스테이지 우승을 이루어내는 등 성공적인 데뷔를 치루는 듯 했으나 2주차인 스테이지 12의 ITT에서 펜스와 충돌해 근육이 찢어지는 시즌아웃급의 큰 부상을 입었다.
사이클로크로스 시즌 이후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해 로드 레이스 일정들이 5개월간 중단된 후 재개되었다. 부상 이후 1년이 지난 시점인 8월 스트라데 비앙케에서 우승을 차지한다. 투르에서는 2개의 스테이지 우승을 차지하나 팀메이트 로글리치의 종합순위 대역전패로 인해 쓴맛을 보았다. 하지만 월드 챔피언십 ITT, 로드 부문에서 2위를 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21년 투르 드 프랑스에서 ITT, 산악, 평지 스테이지의 퍼펙트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이전에 이와 같은 기록을 세운 선수는 에디 먹스, 베르날 이노 뿐이다. 심지어 산악 스테이지는 평범한 스테이지도 아닌 더블 몽방투. 기록을 통해 반 아트의 다재다능함을 엿볼 수 있다. 투르 일주일 뒤 진행된 도쿄 올림픽에서는 ITT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옴룹 우승과 함께 시즌을 시작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론데 반 플란데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어진 파리-루베에서는 끊임없는 펑쳐를 겪음에도 끈질기게 BA를 추격했지만 결국 이네오스 그레네디어의 딜런 반 바를레에 이어 2위에 그친다. 아쉬운 스프링 시즌을 뒤로하고 그린 저지를 노리며 향한 투르 드 프랑스 2022에서는 그야말로 맹활약을 펼쳤다. 기존 포인트 순위의 최고점을 갱신하며 그린 저지를 따는 것은 물론이고, 종합 리더 요나스 빙에고르을 위한 도메스티크 작업까지 완벽히 수행해내며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2023년부터는 반 아트가 클래식 우승, 특히 모뉴먼트 우승을 거머쥐지 못한다는 비판적인 여론이 커지기 시작한다. 특히 벨기에 언론들에선 그것은 그가 팀에서 보상받고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 주장했다. 반 아트는 E3에서 우승하며 이와 같은 여론에 대해 대답하듯 카메라에 대고 "나는 증명하기 위해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Ik moet just niks!)"고 소리쳤다. 겐트-베벨헴에선 라포르트와 BA로 함께 결승선에 다다르자 반 아트는 라포르트에게 우승을 선물했고, 이는 또 언론의 먹잇감이 되었다. 좋은 레이스를 선보였던 파리-루베에서는 도메스티크인 라포르트의 펑처, 그리고 그 뒤의 중요한 순간의 본인 타이어의 펑처로 인해 결국 3위에 그쳤고, 투르에서는 무승을 기록하며 아쉬운 시즌이 되었다.
2024년 모뉴먼트 우승을 위해 투르 드 프랑스 출전마저 배제하며 클래식에 집중된 일정을 구성하였으나 드와스 도어 플란데런에서 낙차로 인해 쇄골과 갈비뼈 일곱 대, 흉골이 골절되었다. 심각한 부상으로 인해 스프링 시즌이 완전히 끝났음은 물론이고, 예정되어 있던 지로 출전 또한 취소되었다. 5월 말 복귀한 반 아트는 이후 고산캠프를 거쳐 투르 드 프랑스에 출전한다. 하지만 폼이 완전하지 않아 별다른 활약은 해내지 못했다. 투르 이후 이어진 파리 올림픽 ITT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로드 레이스에서는 반 더 폴을 완벽하게 견제해내며 같은 벨기에 팀 렘코 에베네폴의 로드 레이스 금메달에 크게 기여했다.
연이어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도 출전을 확정하며 3개의 스테이지 우승을 기록하고, 심지어 190cm의 키와 78kg라는 몸무게로 폴카 닷 저지까지 입으며 산악왕 순위마저 리드하나 했으나......비가 오는 내리막에서 앞의 라이더가 잘못 그린 라인을 그대로 따라가며 앞에 있던 암벽에 부딪혀 충격적으로 리타이어했다. 무릎에 직접적으로 가해진 큰 충격으로 인해 피를 흘리며 크게 고통을 느끼는 모습이 중계되었다. 이후 월드 출전은 당연하게도 좌절되었으며 재활을 거쳐 12월 말 사이클로크로스 레이스에 복귀했다. 하지만 완전하지 않은 모양.
2025년, 볼타 아오 알가르베와 오프닝 위켄드 레이스에 출전한 뒤 테네리페 고산캠프 훈련을 진행했다. 이후 플레미쉬 클래식과 루베, 지로, 투르가 예정되어 있다.
3. 커리어
챔피언십 | ||||||||||||
올림픽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도로 | — | 2 | 37 | |||||||||
TT | — | 6 | 3 | |||||||||
월드 챔피언십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CX | 2 | 1 | 1 | 1 | 2 | 4 | 2 | — | 2 | - | 2 | |
도로 | 2 | 11 | 4 | 2 | — | |||||||
TT | 2 | 2 | — | 5 | — |
그랜드 투어 종합순위 결과 | ||||||||
대회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지로 디탈리아 | ||||||||
투르 드 프랑스 | DNF [3] | 20 [4] | 19 [5] | 21 [6] | DNF | 52 | ||
부엘타 아 에스파냐 | DNF [7] | |||||||
주요 스테이지 레이스 종합순위 결과 | ||||||||
대회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파리-니스 | 32 | |||||||
티레노-아드리아티코 | 2 | 53 | ||||||
볼타 아 카탈루냐 | NH | |||||||
투어 오브 더 바스크 컨트리 | NH | |||||||
투르 드 노르망디 | NH | |||||||
크리테리움 듀 도피네 | 47 | 32 | 49 | |||||
투르 드 스위스 | NH | 31 | ||||||
NH=열리지 않음, DNF=중도포기 |
원 데이 레이스 | ||||||||
모뉴먼트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밀란-산 레모 | 6 | 1 | 3 | 8 | 3 | |||
투어 오브 플란데런 | 9 | 14 | 2 | 6 | 4 | |||
파리-루베 | 13 | 22 | NH | 7 | 2 | 3 |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 3 | |||||||
일 롬바르디아 | ||||||||
주요 클래식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Omloop Het Nieuwsblad | 32 | 13 | 11 | 1 | 3 | 11 | ||
Kuurne–Brussels–Kuurne | 1 | 75 | ||||||
스트라데 비앙케 | 3 | 3 | 1 | 4 | ||||
E3 삭소 뱅크 클래식 | 2 | NH | 11 | 1 | 1 | 3 | ||
겐트-베벨헴 | 10 | 29 | 8 | 1 | 12 | 2 | ||
Brabantse Pijl | 2 | |||||||
암스텔 골드 레이스 | 25 | NH | 1 | |||||
함부르크 클래식 | NH | NH | 2 | |||||
브르타뉴 클래식 | 1 | |||||||
퀘벡 GP | NH | NH | 4 | |||||
몬트리올 GP | NH | NH | 2 | |||||
NH=열리지 않음 |
4. 여담
- 부엘타의 DNF로 불운했던 2024시즌을 끝마친 9월, 비스마 리스 어 바이크와의 종신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은 커리어를 끝마칠 때까지의 기간을 보장하는 내용으로 현재 팀의 시스템과 장비에 만족하며 팀의 분위기에 안정감을 느끼기에 계약을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고 전했다.
- 직계가족 중 사이클리스트는 없지만, 아버지의 친척 요스 반 아트는 네덜란드 국적의 프로 사이클리스트였다. 요스 반 아트는 90년대에 마티유 반 더 폴의 아버지 아드리 반 더 폴, 그리고 렘코 에베네폴의 아버지 패트릭 에베네폴과 같은 팀에 속해있던 적이 있다.
- 조부모는 네덜란드 국적이며 1960년대에 벨기에 릴로 이주했다. 네덜란드 뿌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성인 van Aert에서 알아볼 수 있는데, 벨기에에서는 앞글자에 모두 대문자를 써 Van Aert로 표기한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성을 가진 와웃 반 아트가 벨기에 사이클로크로스 주니어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머리 앞쪽에 나 있는 금발 브릿지는 염색이 아니다. 어렸을적 사진을 보면 선천적으로 일부 머리가 금색으로 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