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678e2><tablebgcolor=#3678e2>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 |
| ||||||||||||
팀 바이탈리티 | ||||||||||||
Team Vitality | ||||||||||||
창단 | 2022년 3월 31일([age(2022-03-31)]주년) | |||||||||||
팀명 | ONSYDE Gaming (2022.03.31~2023.08.26) ONSYDE (2023.08.26~2024.01.31) Team Vitality (2024.02.01~) | |||||||||||
팀 컬러 | ■ ■[1] | |||||||||||
약칭 | VIT | |||||||||||
HC | 최재원 CranK | |||||||||||
| ||||||||||||
팀 우승 기록 | ||||||||||||
WTL (2회) | 2023 Summer / 2023 Winter | |||||||||||
개인 우승 기록 | ||||||||||||
GSL (6회) | 조성주(4회)[2], 강민수(2회)[3] | |||||||||||
DreamHack/ESL Masters (0회) | ||||||||||||
기타 대회 (1회) | 조성주(1회)[4] | |||||||||||
로스터 | ||||||||||||
테란 | Maru | Ryung | ||||||||||
저그 | ||||||||||||
프로토스 | CranK |
1. 개요2. 상세3. 주요 성적 및 사건
3.1. 2022년
4. 역대 팀리그 성적3.1.1. 2022 HOT6 GSL Season 13.1.2.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북미3.1.3.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대만·홍콩·마카오·일본3.1.4. 2022 HOT6 GSL Season 23.1.5.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3.1.6. King of Battles 33.1.7. Shopify TeamLiquid StarLeague 93.1.8. 2022 HOT6 GSL Season 33.1.9.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대만·홍콩·마카오·일본3.1.10.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북미3.1.11. AfreecaTV Champions Cup3.1.12.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3.1.13. 2022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3.1.14. HomeStory Cup XXII
3.2. 2023년3.2.1. IEM Katowice 20233.2.2. 2023 HOT6 GSL Season 13.2.3. ESL SC2 Masters 2023 Summer3.2.4. AfreecaTV Champions Cup 23.2.5. 2023 HOT6 GSL Season 23.2.6. Gamers8 20233.2.7. 2023 HOT6 GSL Season 33.2.8. ESL SC2 Masters 2023 Winter
3.3. 2024년3.3.1. IEM Katowice 20243.3.2. 2024 GSL Season 13.3.3. StarsWar 113.3.4. 2024 GSL Season 23.3.5. ESL SC2 Masters 2024 Spring3.3.6. Esports World Cup 20243.3.7. Bellum Gens Elite Stara Zagora 2024
[clearfix]
1. 개요
2022년 3월 31일에 창단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이다.2. 상세
커뮤니티 등지에서 활동하지 않는 유저들에게는 최재원이 운영하고 있는 구단이기도 하고, 크랭크가 방송에서 팀 선수들과 케미가 잘 맞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프로게임단 중에서는 대중들에게 친숙한 편이다.2022 HOT6 GSL Season 3부터 2024 GSL Season 1까지 6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조성주는 4회, 강민수는 2회를 기록했다.
2024년 2월 1일 Team Vitality와 파트너쉽을 맺어 프랑스로 연고지가 이전되었다. 크랭크는 방송에서 계약이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광동과 비슷한 네이밍 스폰서쉽이라고 밝혔는데 계약이 종료되면 다시 온사이드로 돌아가고 온사이드샵의 운영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4년 2월 3일 자매팀인 OFFSYDE Esports를 창단하였다.
2024년 10월 11일 조성주의 계약이 2026년까지 연장되었다.
3. 주요 성적 및 사건
3.1. 2022년
- 3월 31일: 팀 창단, 최재원(CranK), 조성주(Maru) 영입.
- 4월 12일: 레이하오청(Rex) 영입.
- 5월 22일: 알렉스 선더하프트(Neeb) 영입.
- 8월 21일: 강민수(Solar) 영입.
- 9월 15일: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코드 S 진출.[6]
3.1.1. 2022 HOT6 GSL Season 1
- 본선 진출: 조성주(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0강 B조 | 10강 B조 | |
Armani | Ryung | Dark | |
2:0 | 2:0 | 1:2 | |
10강 B조 | |||
Creator | DRG | herO | |
1:2 | 1:2 | 2:1 | |
최종 성적 | |||
7-8위 | 230점 | $5,000 |
3.1.2.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북미
- 본선 진출: 알렉스 선더하프트(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B조 | ||
MCanning | Vindicta | Ukko | |
2:1 | 2:0 | 2:0 | |
16강 B조 | |||
PiLiPiLi | MaSa | binski | |
2:0 | 2:0 | 2:0 | |
16강 B조 | 승자조 4강 | 승자조 결승 | |
DisK | Astrea | Scarlett | |
2:1 | 3:1 | 3:1 | |
최종 결승 | |||
Astrea | |||
4:1 | |||
최종 성적 | |||
우승 | 1200점 | $15,000 |
3.1.3.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대만·홍콩·마카오·일본
- 본선 진출: 레이하오청(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8강 A조 | ||
GogojOey | Nice | GogojOey | |
2:0 | 1:2 | 2:1 | |
승자조 4강 | 패자조 4강 | 패자조 결승 | |
Has | ButAlways | Has | |
0:3 | 3:0 | 2:3 | |
최종 성적 | |||
3위 | 90점 | $2,650 |
3.1.4. 2022 HOT6 GSL Season 2
- 본선 진출: 조성주(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예선 1일차 D조 | 20강 E조 | |
Prince | RagranoK | Solar | |
2:1 | 2:0 | 2:0 | |
20강 E조 | 10강 A조 | ||
Creator | herO | soO | |
2:0 | 2:1 | 2:0 | |
10강 A조 | 6강 승자전 | ||
DRG | Zoun | Bunny | |
0:2 | 2:0 | 1:3 | |
6강 최종전 | 4강 | 결승 | |
DRG | Dark | herO | |
3:0 | 3:1 | 1: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570점 | $12,000 |
3.1.5.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
- 본선 진출: 조성주, 알렉스 선더하프트(지역 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3라운드 H조 | 16강 | |
Scarlett | herO | HeRoMaRinE | |
2:0 | 2:0 | 3:1 | |
8강 | 4강 | 결승 | |
Reynor | Creator | Dark | |
3:1 | 3:1 | 3: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1000점 | $1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3라운드 G조 | 16강 | |
Elazer | uThermal | DRG | |
2:0 | 2:0 | 3:2 | |
8강 | |||
Creator | |||
2:3 | |||
최종 성적 | |||
5-8위 | 375점 | $3,600 |
3.1.6. King of Battles 3
- 본선 진출: 조성주(초청 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8강 | |
MaxPax | Reynor | Dark | |
2:0 | 2:1 | 3:0 | |
4강 | |||
Serral | |||
1:3 | |||
최종 성적 | |||
3-4위 | 125점 | $1,125 |
3.1.7. Shopify TeamLiquid StarLeague 9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 레이하오청, 알렉스 선더하프트(지역 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한국 2차 예선 | 승자조 32강 | |
| Percival | Rattata | |
2:0 | 3:1 | 2:1 | |
승자조 16강 | 패자조 2라운드 | 패자조 3라운드 | |
ShoWTimE | RagnaroK | Solar | |
1:2 | 2:0 | 2:0 | |
패자조 4라운드 | 패자조 5라운드 | 패자조 6라운드 | |
herO | ByuN | Lambo | |
3:2 | 3:0 | 3:0 | |
패자조 준결승 | 패자조 결승 | 최종 결승 | |
Reynor | ShoWTimE | Serral | |
3:2 | 4:2 | 1: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370점 | $8,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한국 1차 예선 | 승자조 32강 | |
QuanTa | Zoun | Serral | |
2:0 | 3:1 | 1:2 | |
패자조 1라운드 | 패자조 2라운드 | 패자조 3라운드 | |
soO | Kelazhur | Maru | |
2:1 | 2:1 | 0:2 | |
1차 패자부활전 | 패자조 4라운드 | ||
HeRoMaRinE | Astrea | Classic | |
3:1 | 3:2 | 3:0 | |
패자조 5라운드 | 패자조 6라운드 | ||
HeRoMaRinE | Reynor | ||
3:0 | 2:3 | ||
최종 성적 | |||
5-6위 | 150점 | $1,6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대만/홍콩 예선 | ||
Eternity | GogojOey | Bistork | |
2:1 | 1:2 | 2:0 | |
대만/홍콩 예선 | |||
NaXin | Nice | GogojOey | |
2:1 | 2:0 | 3:0 | |
승자조 32강 | 패자조 1라운드 | 패자조 2라운드 | |
Creator | MeomaikA | Classic | |
0:2 | 2:0 | 0:2 | |
최종 성적 | |||
17-24위 | 20점 | $2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북미 예선 | ||
Kozan | Asuna | Rhizer | |
2:0 | 2:0 | 2:0 | |
북미 예선 | 승자조 32강 | 승자조 16강 | |
Astrea | Gerald | Kelazhur | |
3:1 | 2:0 | 2:1 | |
승자조 8강 | 패자조 4라운드 | ||
ShoWTimE | -[7] | ||
0:2 | |||
최종 성적 | |||
13-16위 | 40점 | $300 |
3.1.8. 2022 HOT6 GSL Season 3
- 본선 진출: 조성주(시드),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0강 C조 | 10강 B조 | |
Classic | GuMiho | ByuN | |
2:0 | 2:0 | 2:1 | |
10강 B조 | |||
Creator | DRG | Cure | |
0:2 | 2:0 | 2:0 | |
4강 | 결승 | ||
herO | RagnaroK | ||
3:1 | 4:0 | ||
최종 성적 | |||
우승 | 800점 | $3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예선 1일차 C조 | 20강 E조 | |
Cure | KeeN | Cure | |
2:0 | 2:0 | 0:2 | |
20강 E조 | 10강 A조 | ||
Prince | Dark | herO | |
2:0 | 2:1 | 0:2 | |
10강 A조 | |||
GuMiho | RagnaroK | Bunny | |
0:2 | 1:2 | 1:2 | |
최종 성적 | |||
9-10위 | 200점 | $5,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예선 1일차 B조 | ||
NightMare | RagnaroK | Scarlett | |
2:0 | 0:2 | 0:2 | |
예선 2일차 B조 | |||
aLive | | Nice | |
2:0 | 2:0 | 1:2 | |
최종 성적 | |||
23-26위 | 70점 | - |
3.1.9.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대만·홍콩·마카오·일본
- 본선 진출: 레이하오청(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8강 B조 | ||
NaXin | Has | Lemon | |
2:1 | 1:2 | 2:1 | |
승자조 4강 | 패자조 4강 | 패자조 결승 | |
Nice | ButAlways | Nice | |
0:3 | 3:1 | 1:3 | |
최종 성적 | |||
3위 | 90점 | $2,650 |
3.1.10.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북미
- 본선 진출: 알렉스 선더하프트(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Vindicta | PiLiPiLi | Bioice | |
2:0 | 2:0 | 2:0 | |
16강 A조 | |||
Ukko | Namshar | Creature | |
2:0 | 2:0 | 2:0 | |
16강 A조 | 승자조 4강 | 승자조 결승 | |
trigger | Scarlett | Astrea | |
1:2 | 3:1 | 3:1 | |
최종 결승 | |||
Astrea | |||
4:2 | |||
최종 성적 | |||
우승 | 525점 | $8,900 |
3.1.11. AfreecaTV Champions Cup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B조 | 8강 | |
Cure | GuMiho | Solar | |
2:0 | 2:0 | 3:1 | |
4강 | 결승 | ||
ByuN | Dark | ||
3:1 | 3: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180점 | $2,1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HeRoMaRinE | Clem | Elazer | |
2:0 | 1:2 | 2:0 | |
8강 | |||
Maru | |||
1:3 | |||
최종 성적 | |||
5-8위 | 75점 | $750 |
3.1.12.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
- 본선 진출: 조성주, 알렉스 선더하프트(지역 시드), 강민수(오픈 브라켓)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3라운드 B조 | 16강 | |
Kelazhur | ByuN | DRG | |
2:0 | 2:0 | 3:0 | |
8강 | 4강 | ||
Solar | herO | ||
3:2 | 2:3 | ||
최종 성적 | |||
3-4위 | 600점 | $6,5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라운드 E조 | 2라운드 A조 | |
| Dolan | Future | |
2:0 | 2:0 | 2:0 | |
2라운드 A조 | 3라운드 E조 | ||
Ryung | GuMiho | Neeb | |
2:0 | 2:1 | 2:0 | |
16강 | 8강 | ||
Creator | Maru | ||
3:0 | 2:3 | ||
최종 성적 | |||
5-8위 | 375점 | $3,6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3라운드 E조 | ||
GunGFuBanDa | Solar | GunGFuBanDa | |
2:0 | 0:2 | 2:0 | |
24강 | |||
NightMare | |||
1:3 | |||
최종 성적 | |||
17-24위 | 150점 | $1,250 |
3.1.13. 2022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 본선 진출: 조성주(시드),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 8강 | |
Classic | ByuN | ||
3:0 | 1:3 | ||
최종 성적 | |||
5-8위 | 90점 | $1,25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 8강 | 4강 |
Creator | GuMiho | ByuN | |
3:1 | 3:1 | 3:1 | |
결승 | |||
Dark | |||
4:3 | |||
최종 성적 | |||
우승 | 255점 | $10,000 |
3.1.14. HomeStory Cup XXII
- 본선 진출: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한국 1차 예선 | ||
ReBellioN | Zoun | GuMiho | |
2:0 | 2:3 | 2:1 | |
한국 1차 예선 | |||
Cure | |||
3:0 | |||
32강 B조 | |||
Serral | Cham | PappiJoe | |
1:1 | 2:0 | 2:0 | |
32강 B조 | |||
Harstem | GuMiho | NightMare | |
0:2 | 1:1 | 1:1 | |
32강 B조 | 패자조 1라운드 | 패자조 2라운드 | |
Gerald | Elazer | ShoWTimE | |
1:1 | 3:1 | 0:3 | |
최종 성적 | |||
9-12위 | 70점 | $400 |
3.2. 2023년
- 1월 1일: WTL 2022 Winter 3위로 정규시즌 마감, 플레이오프 준준결승 진출.
- 1월 31일: 레이하오청(Rex) 방출.
- 2월 1일: 김동원(Ryung) 영입.
- 2월 18일: WTL 2022 Winter 플레이오프 준준결승에서 KaiZi Gaming에게 패배, 4위로 대회 마감.
- 3월 1일: 알렉스 선더하프트(Neeb) 방출.[8]
- 7월 16일: WTL 2023 Summer 1위로 정규시즌 마감,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
- 8월 13일: WTL 2023 Summer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DKZ Gaming에게 승리, 대회 우승.
- 8월 26일: 팀명을 ONSYDE Gaming에서 ONSYDE로 변경.
- 9월 30일: 레이하오청(Rex)[S] 재영입.
- 12월 21일: WTL 2023 Winter 1위로 정규시즌 마감,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
3.2.1. IEM Katowice 2023
- 본선 진출: 조성주(24강 글로벌 시드), 김동원(36강 한국 시드), 강민수(24강 한국 시드), 알렉스 선더하프트(24강 북미 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4강 D조 | |||||
HeRoMaRinE | ByuN | Bunny | ||||
1:2 | 2:0 | 2:0 | ||||
24강 D조 | 8강 1경기 | |||||
Classic | Lambo | Solar | ||||
2:0 | 2:0 | 3:1 | ||||
4강 1경기 | 결승 | |||||
RagnaroK | Oliveira | |||||
3:0 | 1: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 | $72,2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36강 승자조 1라운드 | 36강 패자조 1라운드 | 36강 패자조 2라운드 |
soO | TeeBuL | Coffee | |
0:2 | 2:0 | 2:0 | |
36강 패자조 3라운드 | 36강 패자조 최종전 | ||
Cham | Elazer | ||
2:1 | 0:3 | ||
최종 성적 | |||
25-26위 | - | $2,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4강 C조 | ||
Elazer | herO | Serral | |
2:0 | 0:2 | 2:1 | |
24강 C조 | 12강 1경기 | ||
SpeCial | DRG | GuMiho | |
1:2 | 2:1 | 3:1 | |
8강 1경기 | |||
Maru | |||
1:3 | |||
최종 성적 | |||
5-8위 | - | $20,9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4강 A조 | ||
RagnaroK | Cure | Clem | |
1:2 | 0:2 | 1:2 | |
24강 A조 | |||
Oliveira | Dark | ||
2:1 | 2:0 | ||
최종 성적 | |||
13-16위 | - | $5,600 |
3.2.2. 2023 HOT6 GSL Season 1
- 본선 진출: 조성주, 김동원,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8강 A조 | |
NightMare | ByuN | GuMiho | |
2:0 | 2:1 | 2:0 | |
8강 A조 | 4강 2경기 | ||
Cure | Classic | Bunny | |
1:2 | 2:0 | 3:1 | |
결승 | |||
Cure | |||
4:2 | |||
최종 성적 | |||
우승 | 800점 | ₩10,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C조 | ||
GuMiho | Stats | GuMiho | |
1:2 | 2:0 | 0:2 | |
최종 성적 | |||
9-12위 | 150점 | ₩1,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B조 | ||
Cure | KeeN | herO | |
0:2 | 2:1 | 2:0 | |
8강 B조 | |||
Bunny | ByuN | ||
1:2 | 0:2 | ||
최종 성적 | |||
7-8위 | 220점 | ₩1,600,000 |
3.2.3. ESL SC2 Masters 2023 Summer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위너스 브라켓 A조 | ||
Reynor | Spirit | Bunny | |
1:2 | 2:0 | 2:0 | |
녹아웃 스테이지 4라운드 | |||
GuMiho | |||
2:3 | |||
최종 성적 | |||
9-12위 | 250점 | $2,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위너스 브라켓 A조 | 8강 | |
ByuN | Bunny | Dark | |
2:0 | 2:0 | 3:2 | |
4강 | |||
GuMiho | |||
0:3 | |||
최종 성적 | |||
3-4위 | 600점 | $5,000 |
3.2.4. AfreecaTV Champions Cup 2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C조 | ||
Lambo | MaxPax | ByuN | |
2:1 | 1:2 | 2:1 | |
8강 | |||
Dark | |||
1:2 | |||
최종 성적 | |||
5-8위 | 750점 | $75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SHIN | HeRoMaRinE | ||
0:2 | 1:2 | ||
최종 성적 | |||
13-16위 | 25점 | $450 |
3.2.5. 2023 HOT6 GSL Season 2
- 본선 진출: 조성주(시드), 김동원,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8강 A조 | |
TY | Classic | GuMiho | |
2:0 | 2:0 | 0:2 | |
8강 A조 | 4강 2경기 | ||
ByuN | Solar | Cure | |
2:0 | 2:0 | 2:3 | |
결승 | |||
Dark | |||
4:2 | |||
최종 성적 | |||
우승 | 800점 | ₩10,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D조 | ||
Solar | Cure | Solar | |
2:0 | 0:2 | 0:2 | |
최종 성적 | |||
9-12위 | 150점 | ₩1,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D조 | ||
Ryung | Astrea | Ryung | |
0:2 | 2:1 | 2:0 | |
8강 A조 | |||
ByuN | GuMiho | Maru | |
2:1 | 1:2 | 0:2 | |
최종 성적 | |||
5-6위 | 300점 | ₩1,600,000 |
3.2.6. Gamers8 2023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 ||
ShoWTimE | Cure | Solar | |
2:0 | 2:0 | 2:0 | |
8강 | |||
Clem | |||
1:3 | |||
최종 성적 | |||
5-8위 | - 점 | $16,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 ||
Oliveira | Clem | Maru | |
2:1 | 2:0 | 0:2 | |
16강 | 8강 | ||
Reynor | herO | Serral | |
1:2 | 2:1 | 3:0 | |
4강 | |||
Cure | |||
1:3 | |||
최종 성적 | |||
3-4위 | - 점 | $30,000 |
3.2.7. 2023 HOT6 GSL Season 3
- 본선 진출: 조성주(시드),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Scarlett | Solar | ||
0:2 | 1:2 | ||
최종 성적 | |||
13-16위 | 100점 | ₩1,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Creator | Maru | Scarlett | ||||
0:2 | 2:1 | 2:0 | ||||
8강 A조 | ||||||
GuMiho | DRG | Cure | ||||
1:2 | 2:1 | 2:1 | ||||
4강 2경기 | 결승 | |||||
Dark | GuMiho | |||||
3:0 | 4:1 | |||||
최종 성적 | ||||||
우승 | 800점 | ₩10,000,000 |
3.2.8. ESL SC2 Masters 2023 Winter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지역 시드), 김동원(오픈 브라켓)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위너스 브라켓 A조 | ||
Kelazhur | Cure | Classic | |
2:1 | 1:2 | 1:2 | |
녹아웃 브라켓 1라운드 | |||
herO | |||
2:3 | |||
최종 성적 | |||
17-24위 | 105점 | $1,125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위너스 브라켓 A조 | |||||
Oliveira | Dark | Reynor[10] | ||||
2:0 | 0:2 | 2:1 | ||||
녹아웃 브라켓 3라운드 | 8강 | |||||
HeRoMaRinE | Clem | |||||
3:1 | 2:3 | |||||
최종 성적 | ||||||
5-8위 | 350점 | $3,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오픈 브라켓 C조 | ||
ShaDoWn | Bunny | Vindicta | |
2:0 | 0:2 | 1:2 | |
최종 성적 | |||
33-40위 | 20점 | $250 |
3.3. 2024년
- 1월 7일: WTL 2023 Winter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Team Liquid에 승리, 최종 우승
- 1월 31일: 레이하오청(Rex) 방출.[11]
- 2월 1일: Team Vitality와 파트너쉽 체결, 연고지를 프랑스로 이전.
- 10월 1일: 강민수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 10월 11일 : 조성주와의 계약이 2026년으로 연장되었다.
3.3.1. IEM Katowice 2024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초청 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4강 D조 | |||||
Cyan | Reynor | ShoWTimE | ||||
1:2 | 2:0 | 2:0 | ||||
24강 D조 | 8강 3경기 | |||||
herO | Dark | Byun | ||||
2:1 | 2:0 | 3:2 | ||||
4강 2경기 | 결승 | |||||
Cure | Serral | |||||
3:0 | 0: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1,200점 | $72,2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24강 A조 | ||
trigger | Scarlett | HeRoMaRinE | |
2:0 | 2:1 | 2:0 | |
24강 A조 | 12강 1경기 | ||
GuMiho | Spirit | Clem | |
2:1 | 2:1 | 3:2 | |
최종 성적 | |||
9-12위 | 225점 | $12,000 |
3.3.2. 2024 GSL Season 1
- 본선 진출 : 조성주, 김동원,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
soO | SHIN | |||||
2:1 | 2:1 | |||||
8강 A조 | ||||||
Classic | herO | Classic | ||||
2:1 | 0:2 | 2:0 | ||||
4강 | 결승 | |||||
herO | Cure | |||||
3:0 | 4:1 | |||||
최종 성적 | ||||||
우승 | 800점 | ₩5,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D조 | ||
Solar | Cure | herO | |
2:0 | 0:2 | 1:2 | |
최종 성적 | |||
9-12위 | 150점 | ₩8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D조 | ||
Ryung | herO | ||
0:2 | 0:2 | ||
최종 성적 | |||
13-16위 | 100점 | ₩800,000 |
3.3.3. StarsWar 11
- 본선 진출 : 조성주(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8강 1경기 | 4강 1경기 | 결승 |
Spirit | GuMiho | herO | |
3:0 | 4:0 | 5:4 | |
최종 성적 | |||
우승 | - 점 | ¥90,000 |
3.3.4. 2024 GSL Season 2
- 본선 진출 : 조성주(시드), 강민수(예선 통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A조 | 8강 A조 | |
TY | SHIN | soO | |
2:1 | 2:0 | 2:0 | |
8강 A조 | 4강 2경기 | ||
Cure | soO | Creator | |
0:2 | 2:1 | 3:1 | |
결승 | |||
Dark | |||
2: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570점 | ₩2,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16강 D조 | ||
DRG | ByuN | ||
0:2 | 1:2 | ||
최종 성적 | |||
13-16위 | 100점 | ₩800,000 |
3.3.5. ESL SC2 Masters 2024 Spring
- 본선 진출: 조성주(지역 시드), 김동원, 강민수(오픈 브라켓)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위너스 브라켓 A조 | 8강 | |
SHIN | HeRoMaRiNE | herO | |
2:0 | 2:0 | 3:2 | |
4강 | 결승 | ||
Dark | Serral | ||
3:1 | 0:4 | ||
최종 성적 | |||
준우승 | 1,200점 | $12,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오픈 브라켓 A조 | ||
Future | GuMiho | Kelazhur | |
2:0 | 0:2 | 2:0 | |
오픈 브라켓 A조 | |||
Creator | Epic | ||
2:0 | 0:2 | ||
최종 성적 | |||
25-28위 | 65점 | $9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오픈 브라켓 B조 | ||
Rogue | MaNa | Skillous | |
0:2 | 2:1 | 2:1 | |
오픈 브라켓 B조 | |||
ShaDoWn | Rogue | ||
2:1 | 0:2 | ||
최종 성적 | |||
25-28위 | 65점 | $900 |
3.3.6. Esports World Cup 2024
- 본선 진출: 조성주, 강민수(초청 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메인 스테이지 A조 | ||
Spirit | Oliveira | Dark | |
3:0 | 3:0 | 2:3 | |
메인 스테이지 A조 | 조 2위 4강 진출전 | 녹아웃 스테이지 2라운드 | |
Olivera | Serral | Solar | |
3:2 | 1:3 | 2:0 | |
녹아웃 스테이지 준결승 | |||
Cure | |||
1:2 | |||
최종 성적 | |||
6-7위 | 0점 | $3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메인 스테이지 B조 | ||
herO | Coffee | Reynor | |
0:3 | 3:0 | 2:3 | |
녹아웃 스테이지 1라운드 | 녹아웃 스테이지 2라운드 | ||
Astrea | Maru | ||
2:0 | 0;2 | ||
최종 성적 | |||
8-11위 | 0점 | $20,000 |
3.3.7. Bellum Gens Elite Stara Zagora 2024
- 본선진출 : 강민수(초청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ㆍ접기 | 승자조 브라캣 | ||
| Clem | - | |
2:0 | 0:2 | - | |
패자조 브라캣 | |||
| Harstem | ShoWTimE | |
3:2 | 3:0 | 0:3 | |
최종 성적 | |||
5-6위 | 0점 | $471.19 |
4. 역대 팀리그 성적
연도 | 대회명 | 결과 |
2022 |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 4위 |
2023 | World Team League 2023 Summer | 우승 |
World Team League 2023 Winter | 우승 | |
2024 | World Team League 2024 Summer | 준우승 |
[1] ONSYDE[2] 2022 HOT6 GSL Season 3, 2023 HOT6 GSL Season 1, 2023 HOT6 GSL Season 2, 2024 GSL Season 1[3] 2022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2023 HOT6 GSL Season 3[4] StarsWar 11[5] 팀리그를 위한 예비명단이다.[6] World Team League 2022 Winter Code A 승자조 2라운드에서 Berserker eSports를 상대로 7:0으로 승리해 승자조 결승에 진출하면서 WTL 정규시즌 승격을 확정지었다.[7] 학업으로 인한 기권 선언[8] 계약이 만료되자마자 학업을 위해 은퇴를 선언하였다.[S] [10] 해당 경기 프로토스로 플레이[11] 2월 3일 자매팀인 OFFSYDE Esports에 입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