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0:14:33

오프닝 나이트

오프닝 나이트 (1977)
Opening Night
파일:1977 오프닝 나이트 포스터.jpg
<colbgcolor=#E0D5C1><colcolor=#6E3B2A> 장르 드라마
감독 존 카사베츠
각본
제작 알 루밴
촬영
주연 제나 로우랜즈
벤 가자라
조앤 블론델
폴 스튜어트
조라 램퍼트
존 카사베츠
편집 톰 콘웰
음악 보 하우드
미술 브라이언 리먼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Faces Distribution
파일:미국 국기.svg Castle Hill Productions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Faces Distribution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77년 12월 25일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1978년 2월 24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2시간 24분
제작비 ○○
북미 박스오피스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9. 수상 및 후보 이력10. 기타

[clearfix]

1. 개요

존 카사베츠 감독 및 각본, 제나 로우랜즈, 벤 가자라, 조앤 블론델, 폴 스튜어트, 조라 램퍼트 출연의 1977년 영화.

어느 연극 배우가 우연히 자신의 팬이 사고로 죽는 것을 목격한 이후 공연을 준비하면서 신경 쇠약을 겪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개봉 이듬해인 제2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아 주연배우 제나 로우랜즈에게 은곰상 : 여우주연상을 안겼다.

2. 예고편

▲ 예고편

3. 시놉시스

한 젊은 여성 팬이 그녀의 우상 머틀 고든을 만나려 하다 사고로 죽게 된다. 그녀의 죽음을 목격한 머틀은 책임감을 느끼게 되고 배우로서 경력에 있어 감정적인 위기를 겪게 된다.

4. 등장인물

  • 제나 로우랜즈 - 머틀 고든 역
  • 벤 가자라 - 매니 빅터 역
  • 조앤 블론델 - 사라 구드 역
  • 폴 스튜어트 - 데이비드 새뮤얼스 역
  • 조라 램퍼트 - 도로시 빅터 역
  • 존 카사베츠 - 모리스 애런스 역
  • 존 튜엘 - 구스 시먼즈 역
  • 로라 존슨 - 낸시 스타인 역
  • 레이디 로우랜즈 - 멜바 드레이크 역
  • 캐서린 카사베츠 - 비비안 역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0079672, IMDb_user=7.9,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opening_night, 로튼토마토_tomato=96, 로튼토마토_popcorn=90,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opening-night-1969, 메타크리틱_critic=69, 메타크리틱_user=6.6,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opening-night, 레터박스_user=4.3,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179, 레터박스_date=2024.11.21,
알로시네=7356, 알로시네_presse=5.0, 알로시네_spectateurs=3.9,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22059,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1292768, 도우반_user=8.4,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4DrgW, 왓챠_user=4.2,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43356, 키노라이츠_light=81.82, 키노라이츠_star=3.9,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RQE=opening-night-m100012885,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TMDB=33665-opening-night, TMDB_user=75,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die-erste-vorstellung, 무비파일럿_user=7.7,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opening-night-review,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Opening Night is as dense and difficult as one would expect from John Cassavetes, but even the director's detractors will be unable to deny the power of Gena Rowlands' performance.
<오프닝 나이트>는 관객들이 존 카사베츠 감독의 작품에게 기대하는 것 만큼 어려우면서도 감정적 농도가 짙은 영화지만, 감독의 비판자들조차도 제나 로우랜즈의 연기가 보여주는 힘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영화는 완벽한 장면이 구성될 때까지 촬영은 몇 번이고 갱신하고 반복할 수 있다. 감독은 그 모든 과정을 관할하고 세세한 부분까지 노심초사한다. 배우는 이 감독의 고뇌 전체에 관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연극에서 스태프들을 다그치고 조율하는 연출자의 역할은 무대의 막이 오르는 그 순간 끝난다. 이제 모든 성패는 배우에게 달려있다. 그런 만큼 배우에게는 연출자의 의도와 정신을 넘어, 스스로 무대를 활개치고 청중들을 웃기고 울릴 수 있는 자유와 지배력이 주어진다. 카사베츠는 배우와 감독의 위상이 사뭇 다른 두 예술 장르가 한데 어울려 경합하는 독특한 스타일을 발명했다. ‘영향권 아래 있는 영화(film under the influence of play)’. 대본에 축조된 시공간과 상연(上演) 순간의 현재는 동떨어진 영역이 아니다. 배우 자신의 인격은 그가 소화해야 하는 캐릭터의 감정으로부터 완전히 거리를 둘 수 없다. 카사베츠의 영화는 무대와 인생의 그 세심한 마찰력을 담아내고자 한다. 그래서 그의 영화에서 허용되고 변주 되는 즉흥적 언행은, 카메라가 담아내는 실시간의 현실이자 인격체로서의 배우가 체감하는 바로 그 순간이다. 허구적 캐릭터는 바로 그 순간에 발현하는 몸가짐과 정서의 양손으로 조종된다.
<오프닝 나이트>는 캐릭터의 내면과 배우의 내면이 서로 접히고 감싸 드는 과정을 탐구했던 카사베츠의 영화세계를 결산하는 작품이다. 몸과 얼굴, 목소리의 퍼포먼스에서 정감을 견인하는 형식적 스타일은, 인기절정의 중년 연극배우 머틀 (지나 롤랜즈)이 공황상태 속으로 함몰되는 추이를 따라다닌다. 연기하는 순간을 곧 생의 전부로 여기는 그녀에겐 나이가 들어가는 자신의 처지를 받아들일 여력이 없다. 그래서 그녀는 점점 망가져 가는 연극 속 인물처럼 스스로 알코올에 흠뻑 적셔져 간다. 리허설 중에 상대 배우에게 맞아 쓰러지는 그녀는 연출가의 통제로부터 풀려나 망연하게 흐느낀다. 그 순간 연극을 멀찍이 관람하듯 짜인 프레임은 갑작스레 그녀의 몸 가까이로 돌진한다. 이렇게 연극의 판타지와 현실의 절망이 근접하는 시청각적 무대에 또 다른 판타지가 등장한다. 자신을 선망하는 나머지 빗속에서 그녀를 기다리다가 단말마의 교통사고로 횡사한 18살의 소녀, 그녀는 자신이 거부하고자 했던 노년에의 두려움을 되살아 나게 한다. 그녀는 이 겹겹으로 포진한 고통에 취한 채 가장 위태롭고도 긴장감 넘치는 공연의 시간으로 비틀비틀 걸어나간다. 그 순간 가장 아름다운 연극의 막이 오른다. “내가 누군지, 내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 하는 그 연극을 주시오 (존 카사베츠)”.
출처 : 서울독립영화제 김지훈 평론가 소개

예술가 주인공을 내세워 현실과 재현, 그리고 현실과 무대의 경계에 대한 카사베츠 감독의 관심사가 가장 진하게 묻어난 작품으로 평가 받으며, 제나 로우랜즈도 이 영화를 통해 베를린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을만큼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영향 아래 있는 여자와 함께 그녀의 연기 대표작이기도 하다.

유럽권에서는 꽤 호평했지만 미국 본토에서는 첫 개봉 당시 '카사베츠는 이미 관객들이 본 적 있는 듯한 영화를 또 만들었다'는 혹평을 받거나 아예 관심조차 받지 못한채 하술하듯 흥행에는 크게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사베츠 본인은 1978년 TV 인터뷰에서 '내가 참여한 모든 영화 중에서 최고의 작품이다'는 말을 남기는 등 꽤나 애착을 가진 작품이었다. 사후에는 조금씩 재평가 받아 미국 내에서도 카사베츠의 대표작으로 올라섰다.

8.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유럽권에서의 호평과 달리 미국 내에서의 흥행 성적은 상당히 처참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미국에서 배급사와 배급 루트를 찾는 것부터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고, 고생끝에 몇번의 시사회를 거쳐 1977년 LA의 폭스 윌셔 극장에서 개봉했지만 당시가 크리스마스 시즌이었던지라 극장이 텅텅 비었다는 슬픈 일화가 전해져내려오고, 2월까지 계속 상영관들이 텅텅 비자 결국 3월에 예정되어있던 뉴욕 쪽 상영은 아예 취소되어 버렸다고 한다. 1989년 카사베츠가 사망할 때까지 12년 동안 한번도 재상영되지 않았다가 사후 2년 뒤인 1991년이 되어서야 재개봉을 했을 정도.

9. 수상 및 후보 이력

10. 기타

  • 미국의 인디 뮤지션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쳐 여러 레퍼런스로 사용되곤 했는데, 모션 시티 사운드트랙제시카 프랫은 이 영화를 보고 난 뒤 큰 인상을 받아 'Opening Night'라는 제목의 곡을 짓기도 했으며 로신 머피는 3집 Hairless Toys (2015)의 수록곡 Exploitation의 뮤직비디오에서 이 영화를 오마주했다.
  • 영화 오프닝인 야간 장면에서 피터 포크, 시모어 카셀, 피터 보그다노비치가 카메오로 출연한다. 포크와 카셀은 카사베츠 사단으로 불릴만큼 카사베츠와 자주 협업하는 배우들이기도 했고, 보그다노비치도 카사베츠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어 출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