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4:18:06

엉클 하우디

파일:언클하우디.jpg
UNCLE HOWDY

1. 프로필2. 소개3.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엉클 하우디.webp
SMACKDOWN
<colbgcolor=#fff,#191919><colcolor=#3c30fe> 링네임 Uncle Howdy
Bo Dallas
본명 Taylor Michael Rotunda
테일러 마이클 로툰다
생년월일 1990년 5월 20일 ([age(1990-05-20)]세)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플로리다 브룩스빌
신장 185cm(6ft 1in)
체중 106kg
가족관계 외할아버지 블랙잭 뮬리건
아버지 로렌스 마이클 로툰다
윈덤 로렌스 로툰다
여동생 미카 로툰다
형수 조조 오퍼먼
유형 브롤러 + 몬스터 + 쇼맨[1]
시그니처 무브 러닝 센톤[2]
바디 아발란체
우라나게
피니쉬 무브 시스터 아비게일[3]
맨더블 클로[4]
주요 커리어 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2회
FCW 플로리다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NXT 챔피언 1회
WWE RAW 태그팀 챔피언 1회
WWE 24/7 챔피언 1회
- 보 댈러스(현재)
FCW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2회
WWE 챔피언 1회
WWE 유니버설 챔피언 2회
WWE RAW 태그팀 챔피언 1회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 1회
- 브레이 와이어트(과거)
테마곡 Feared[5]
Shatter[6]
Feared

2. 소개

상징은 가면과 까마귀[7].

익스트림 룰즈 2022에서 복귀한 이후로 사용했었던 브레이 와이어트의 마지막 기믹이자, 그 뒤를 잇는 동생 보 댈러스의 새로운 기믹. 처음에는 The Fiend 기믹 시절과 유사한 브레이 혼자의 다중인격 기믹인 듯 했으나, 브레이 와이어트 외에 한 명 더 엉클 하우디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었으며,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으나 팬덤에서는 이를 브레이의 동생 보 댈러스로 보고 있었다. 결국 브레이가 심장질환으로 사망했지만, 그 후에도 엉클 하우디 프로모가 나오면서 그 동생이 기믹을 이어 나오는 것이 아니냔 설이 나왔다.

그리고 2024년 6월 17일, 결국 신생 스테이블 와이어트 식스와 함께 엉클 하우디로써 복귀하였다.[8] 이후 매주 오래된 비디오 테이프를 건네준다는 컨셉으로 프로모를 진행하고 있으며, 자신들은 사람들에게 버려지고 잊혀져 왔던 자들임을 표방하며, 제 가족의 소중함을 모르고 배신한 자들을 처단하는 것이 스테이블의 목표라 설파하고 있다.

고인이 된 브레이의 유산을 동생이 이어간다는 서사에, 보 댈러스 또한 형 못지 않게 뛰어난 프로모와 연기력을 보여주고 있어 팬들의 반응이 매우 뜨겁다. 현재 기믹이 악역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선역이라 보기에도 애매한 기믹[9]인데도 환호만 놓고 보면 웬만한 선역 저리가라일 정도.

3. 둘러보기

파일:external/orig09.deviantart.net/the_wyatt_family_logo_by_galixa-d7h8jm3.pngThe Wyatt Family
역대 멤버
브레이 와이어트 루크 하퍼 에릭 로완
브론 스트로우먼 대니얼 와이어트 랜디 오턴
파일:The Wyatt Sicks Logo.jpgThe Wyatt Sick6
멤버
엉클 하우디
(보 댈러스)
애비 더 위치
(니키 크로스)
램블린 래빗
(에릭 로완)
머시 더 버저드
(덱스터 루미스)
허스커스 더 피그 보이
(조 게이시)



[1] 파이어플라이 펀하우스 기준[2] 원래는 허스키 해리스 시절 피니쉬 무브였다. 현재는 시그니처 무브로 사용중.[3] 사별한 형 브레이 와이어트와 동일.[4] 브레이 와이어트의 The Fiend 기믹의 피니쉬 무브. 원본은 미스터 삭코를 손에 끼우고 사용하는 믹 폴리의 피니쉬 무브로, 믹 폴리를 습격하면서 각본상으로 그의 피니쉬 무브를 강탈하였다. 이 기술도 이어서 사용할지는 불명이었지만 이후 이 기술 역시 이어받았다.[5] 이전 브레이 와이어트가 생존했을 당시 그와 따로 나올 때 별개로 재생됐던 테마곡.[6] 형 브레이 와이어트의 마지막 테마곡.[7] 브레이 와이어트 시절 엉클 하우디는 뒤집힌 나방이 상징이었으나, 그의 사후 보 댈러스가 그를 계승하면서 상징을 까마귀로 바꾸었다.[8] 나머지 멤버는 에릭 로완, 덱스터 루미스, 조 게이시, 니키 크로스.[9] 목표 대상이 선역이든 악역이든 상관없이 스테이블이나 태그팀을 배신한 배신자라면 잔혹하게 응징한다는 기믹이라 트위너 성향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