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氷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氷#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氷#|]][[氷#|]]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보통 '얼음 빙'이라고 하면 이를 일컫는다.
2. 冫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冫#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冫#|]][[冫#|]]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는 氷이 한자의 일부분에 쓰일 때의 변형으로, 획수가 2획이기 때문에 '이수변(二水邊)'으로 불리곤 한다. 독립적으로는 쓰이지 않으며 凍(얼 동), 冷(찰 랭), 冬(겨울 동), 寒(찰 한) 등 얼음이나 차가움 등과 연관 있는 한자에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