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액션러닝은 문제 중심 교수 모델로 실제 조직, 경영상으로 개선이 필요한 현안에 초점을 둔다.액션러닝은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그 중 Inglis(1994)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원이 함께 모여 의견을 교환하여 실행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의 개발을 함께 도모하는 과정’ 이라고 정의하였다.[출처] Marsick과 Kulm(2005)은 액션러닝이란 '작은 그룹으로 구성된 참가자들이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 경험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구성원들을 개발하는 접근'으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액션러닝은 경험과 실천을 통한 학습 그리고 학습을 통한 변화결과를 목표로 하는 학습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도입
액션러닝은 처음 1945년 영국의 국립석탄협회 교육책임자인 Revans가 전쟁으로 인해 능력 있는 관리자 부족의 해결책을 제안하기 위해 현직 관리자들을 몇 개의 작은 그룹으로 나누고 해결책과 BP(Best Practice)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질문과 대화과정을 진행하면서 시작되었다.[2] 이후 1975년에 GE 유럽지사에서 실천학습 적용하고 높은 성과를 내게 되면서 GE에서는 본격적으로 교육과정으로 실시하게 되었다.3. 특징
① 학습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문제해결을 위해 실제로 적용 및 활용 되어야 한다.② 액션러닝은 개인의 학습과 조직의 경영상 요구 모두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③ 액션러닝은 일련의 과정을 만들며 이후 행동에 대한 성찰은 더 나은 해결책을 유도하고 업무수행을 위한 개인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④ 경영성과와 직결되는 과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개인 뿐 아니라 조직의 업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⑤ 팀 활동이기에 개인과 조직 모두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학습 참여를 통해서 가능하다.
[출처]
3.1. 차별적 특징
액션러닝은 핵심 현안 및 현장 중심 사안 중심으로 문제를 선정한다. 또 이를 해결하는 구체적 대안을 실제 행동을 통해서 제시한다. 팀 학습을 통해 함께 과제의 근본적 문제원인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안의 장기적 파급효과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액션러닝의 결과를 실제에 적용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그들의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도전적 과제는 그들의 시야를 넓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4. 액션러닝의 절차
Rothwell은 7단계 액션러닝 모형을 제안하였다.[5]단계 1. 액션 러닝을 위한 상황 파악
단계 2. 액션 러닝 팀 선정 및 조직
단계 3. 브리핑 및 제한 범위 설정
단계 4. 팀의 상호작용 촉진
단계 5. 해결방안 규명 및 검증 권한 부여
단계 6. 결과 평가
단계 7. 향후 방향 설정
단계 2. 액션 러닝 팀 선정 및 조직
단계 3. 브리핑 및 제한 범위 설정
단계 4. 팀의 상호작용 촉진
단계 5. 해결방안 규명 및 검증 권한 부여
단계 6. 결과 평가
단계 7. 향후 방향 설정
5. 액션러닝의 구성요소
Marquardt(2000)이 제안한 액션 러닝의 핵심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6]학습팀, 촉진자, 과제, 질의와 성찰, 실행 의지, 학습 의욕 |
6. 논란
액션러닝에 대해서 논란의 여지가 존재한다. 액션러닝은 액션과 러닝의 합성어이다. 실질적 문제해결을 위한 액션에 초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러닝에 초점을 둘 것인가에 따라서 액션러닝을 바라보는 관점이 결정된다. Marsick과 Kulm은 액션과 러닝의 조화를 강조하면서 실제 액션러닝의 상황에서 러닝코치의 역할에 따라서 액션과 러닝이 조화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8]7. 존 듀이의 교육이론
액션러닝과 그 맥락이 비슷한 존 듀이의 교육이론을 한 번 보고자 한다. 듀이는 교육을 성장과 사회화 이 모두가 같다고 보았으며 교육을 생물의 진화과정에서 볼 수 있는 연속적 진보관 위에 굳히고 사회와 개인과 인류의 미래를 교육을 통해 무한히 발전시킬 수 있다고 낙천적으로 생각하였다. 존 듀이의 교육이론을 다섯 가지 사항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9]① 성장으로서의 교육
성장의 조건은 미숙으로 교육을 통해 성장은 전개되며 그렇기에 교육은 삶이고 삶은 성장, 교육은 교육 이외의 목적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② 소형사회로서의 학교학교는 어느 특정의 교과를 배우는 곳이 아니고, 숲·농장·요리실 등 온 생활의 마당에서 삶의 방식과 학습의 방법을 배우는 곳이다. 학교는 하나의 가정이 되며 협동사회적 감각과 공동선의 추구 감각을 함양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학교는 사회의 모든 활동을 지니고 있는 소형사회라고 말할 수 있다.
③ 반성적 사고반성적 사고는 다섯 단계(문제확인-방향모색-정보수집과 관찰-가설설정-가설검증)으로 이루어진다.
④ 경험의 연속으로서의 교육경험은 상호관련성과 연속성의 특징을 가지며 과거에 관한 지식의 이수 자체는 교육의 목적이 될 수 없고, 현재의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는 수단이다.
⑤ 사회성 함양의 도덕교육학교의 생활이 사회의 생활과 일치되어 학교를 통해 사회성을 계발할 수 있다. 어린이 개개인이 스스로 배우고 활동하면서 도덕을 익혀 가야하며 모든 교과가 도덕교육과 관련될 것을 주장하였다.
8. 진보주의의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① 가장 기본적인 가치, 지식을 철저하게 가르쳤어야 했을 텐데 그러지 못하였다.② 가치, 지식 중에는 영원, 불변의 것도 분명히 있는데 이것을 가르치지 못했다.
③ 사회는 자신이 지니는 모순으로 급격하게 퇴보, 전락할 수도 있는데 진보주의는 점진적 발전상만을 강조했기에 오늘날처럼 급격하게 사회가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이런 점진적, 낙천적 발전관에 입각한 교육관은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10]
9. 참고 문헌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HRD Essence (시스템접근기반) 권대봉, 조대연 박영사 2013
[출처] :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 p184-185[2] 출처 : HRD Essence (시스템접근기반) 권대봉, 조대연 박영사 2013 p62-63[출처] :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 p185-186[4] 출처 :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 p186-187[5] 출처 :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 p187[6] 출처 : 교육프로그램개발론 오인경, 최정임 학지사 2005 p190[7] 출처 : HRD Essence (시스템접근기반) 권대봉, 조대연 박영사 2013 p63[8] 출처 : HRD Essence (시스템접근기반) 권대봉, 조대연 박영사 2013 p64[9] 출처 : 교육철학 김정환, 강선보, 신창호 저 박영사 2014 p120-124[10] 출처 : 교육철학 김정환, 강선보, 신창호 저 박영사 2014 p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