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운서에 대한 내용은 가애란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아일랜드의 한자 표기 愛蘭
섬 이름 아일랜드, 독립국 아일랜드 모두 愛蘭이라 한다.2. 영화 제8일의 밤의 등장인물
배우 김유정이 연기하였다.3. SBS 드라마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오른쪽에 있는 여성.
아서라, 기생 팔자에 건달까지 좋아하면 신세 망친다?[1]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배우는 조여정이다.
설향과 함께 한성권번 출신의 기생으로, 설향이 조신하고 조용한 성격인데 반해, 애란은 상당히 활달하고 수다스러우면서 붙임성도 좋은 캐릭터로 그려지고 있다. 설향이나 영철이는 '아이란'이라고 부른다. 다른 캐릭터들도 애란과 아이란을 섞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3]
첫 등장부터 이미 문영철의 애인으로 등장하기 시작했고, 쌍칼의 조직에 들어오기 전의 김두한을 처음 봤을 땐 촌놈이라고 무시하기도 했었는데, 애란이 자신의 아버지의 도박빚 때문에 일본인 사채업자에게 팔려갈 위기에 놓였고 애인인 문영철도 주변에 사정을 구하면서 어떻게든 돈을 구해주려 했을때, 김두한이 하야시의 집에 몰래 들어가 돈을 가져다 주면서[4][5] 빚을 해결해주었고, 이 때부터 애란은 김두한을 두한 오라버니라 부르기 시작한다. 이후 설향이 김두한 때문에 마음고생을 할 때도 옆에서 이런저런 조언을 해주는, 이를테면 개코, 번개와 함께 감초역할을 하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김두한이 부녀자 납치혐의로 수감되었을 땐 바로 박인애를 그 년이라 불렀으며 당시 정작 설향이 박인애를 그 여자분이라고 부르자 그 년이라고 불러도 시원찮을 상황에 그 여자분이라고 했냐며 기가 막혀하기도 했다. 거기다가 기가 막히다 못해 화난 나머지 문영철네가 화를 풀어주려고 다방으로 불렀는데, 옆에 있던 번개가 쓸데없이 입을 털면서 일본 여자를 언급해버리는 바람에 달래주기는 실패해버렸다. 그래서 애란이 화가 나 자리를 뜨자 문영철이 번개에게 너 때문에 다 틀렸다며 질타하기도 했다.
야인시대 2부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문영철과도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언급이 되지 않는다. 다만 김두한이 청년단 자금을 모으러 갑부들 터는 계획을 짤 때 문영철이 '우리 애란을 위해'라는 언급이 마지막이다.[6] 뉘앙스를 고려하면 같이 살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힘들다. 애초에 애란과 문영철은 설향과 김두한이랑 달리 평범한 연인이라 헤어지는 전개가 오히려 더욱 이상한 상황에서 1부가 종료되었다. 애란이 문영철과 함께 살아 서울에 남고 38선이 그어진 평양에 왕래가 힘들어 설향과 자연스럽게 소식이 끊겼다는 전개면 어느정도 인과관계가 맞을 수도 있다. 헤어졌다면 6.25 때가 유력하다. 설향의 제자인 애기보살이 계속 등장하는데 스승 뻘인 애란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때 문영철과 함께 살게 되면서 기생 관련 업종에서 은퇴를 했다고 추정해볼 수도 있다.
같은 작가가 집필한 소설판에서는 6.25 전쟁으로 서울 전체가 발칵 뒤집혔을 때 김두한이 문영철에게 애란은 어떻게 됐느냐고 묻고 문영철도 "우리 애란 씨는..." 등의 언급이 있는 걸 봐선 해방 이후에도 문영철과 연인 관계를 유지한 것 같다.
조여정이 등장한 기생충이 흥행하면서 합성물에서 기생충과 엮이기 시작했다. 소개팅에 나간 심영에서는 속물적인 캐릭터로 등장하는데, 처음부터 돈을 목적으로 심영에게 접근하여 심영을 닭속의 봉황이라고 추켜세우면서 그의 호감을 산 후 심영이 청혼하자 결혼자금이 없다고 눈물을 흘린다. 이에 심영이 이승만에게 받은 결혼자금을 얼마든지 가져가라고 내놓자 모조리 긁어낸 후 자신은 박사장과 결혼하겠다고 하면서 본색을 드러낸다. 심영이 돈 내놓지 않으면 경찰을 부르겠다고 저항하자 자신의 인맥으로 살해협박을 하여 마지막까지 심영을 엿 먹인다. 카카오TV ‘야인이즈백’에서는 킹두한(안재모 분)이 ‘문영철의 애인이 어쩌다 기생충이 되었느냐’는 드립을 쳤다.
[1] 12회에서 설향에게 한 말 정작 그말 해놓고 본인도 문영철과 사귀었다.[2] 13회에서 설향이 싸움구경 한 걸 물으면서 한 말이다.[3] 원래 전근대 ㅐ라는 글자는 ㅏㅣ의 이중모음이었다. 90년대까지도 ㅐ 발음의 영문 표기가 ai로 표기된 것이 그 흔적(대표적으로 Hyundai). 또한 권번 소속의 기생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애란'이라는 예명은 당시 기생권번의 주 고객층인 일본식 발음으로는 '아이란'으로 불렸을테니 오래 알고지낸 사이끼리는 그렇게 부를 수도 있다.[4] 장군의 아들에서 아버지가 팔아버린 술집여자를 구하기 위해 도둑질을 했던 김두한의 행보를 그대로 오마쥬한 것이다. 여기서는 하야시의 집을 털었지만 장군의 아들에서는 아리랑치기나 총독부 고관등 온갖 사람과 집을 털어댔다.[5] 작중에서 이 돈은 5,000원으로 나오는데 1937년 경성의 조선인 보통인부 평균 일급이 87전이었다. 한달 26일 근무 기준으로 221개월치 월급이었다.[6] 말이 애국이지 사실상 애국을 빙자한 도둑질이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의 목소리에 김두한이 갈등하자 과거 애란을 살리기 위해 김두한이 하야시 집을 털었었던 그 얘기를 하며 달래는 장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