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19:57:14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riday Night Funkin'/모드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DetailedNaiveLiterateYarn|토론]]을 통해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DetailedNaiveLiterateYarn|토론]] -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
----
'''[[https://namu.wiki/thread/TellingBetterSkillfulSpot|토론]] - 파생 모드는 이 문서 내 '파생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기'''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SmellyAmazingLazyDinner|토론]] - 모드의 주소는 공식 사이트와 한글 패치 주소 외에는 기재가 불가능하나\'''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 파일:FNF Logo bumping.gif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Friday Night Funkin': ENTITY
파일:61aa98688723e.jpg
[ 게임졸트에서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Entity Gamejolt.jpg
[ Entity 업데이트 이전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modagoti.jpg
[ Entity 업데이트 이전 게임졸트에서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AGOTI_Menu.png
제작
[ 제작자 목록 펼치기 · 접기 ]
SugarRatio[1]
Tenzubushi[2]
MORØ[3]
Grassjeak[a]
jyrocopter[a]
NetBa[a]
Cherri[a]
Mercurie[a]
Mashprotato[a]
elikapika[a]
TheInnuendo[b][12]
Saruky__[b]
Mamon[b]
MartyKrimson74[b]
Rozebud[b]
CDMusic[b]
Orenji[b]
BrightFyre[c]
srPerez[c][21]
ash237[c]
Hazelpy[c]
Taeyai[c]
hexar[c]
Sulayre[c]
AlchoholicDj[d]
Pointy[d]
Cerbera[d]
Cougar MacDowall[e]
JordoPriceVA[e]
Katastrofree[e]
분류 실행파일
출시 2021년 5월 14일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300만 회[33]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10.68만 회[34]
관련 사이트 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모드 주소
파일:Bandcamp 아이콘.svgOST[35]
1. 개요2. 상세3. 등장인물4. 스테이지5. 평가6. 역사7. 파생 모드
7.1. Entity Origins: BREAKOUT
8. 기타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V.S. A.G.O.T.I. 트레일러
Solazar 업데이트 트레일러[36]
Entity(DEMO) 업데이트 트레일러
Entity는 Friday Night Funkin'모드이다.

2. 상세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타이틀 및 메뉴 음악
[ V.S. A.G.O.T.I.의 타이틀 및 메뉴 음악 펼치기 • 접기 ]
[ 매뉴 화면, 로딩 화면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841bb><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매뉴 화면(V.S. A.G.O.T.I.) ||
파일:AGOTI_Menu.png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매뉴 화면(V.S. A.G.O.T.I.)(스토리 모드)
파일:AGOTI_Options_menu.png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로딩 화면
파일:EntityLoading.png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로딩 화면(V.S. A.G.O.T.I.)
파일:AGOTI_Loading_Menu.png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게임 오버 음악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스테이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스테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ENTITY/스테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VS A.G.O.T.I. 버전 출시 당시에는 Mic'd Up 엔진으로 만들어진 모드여서인지 퀄리티가 상당하다는 평가가 많았고 최근에는 최신 모드들과 최근 업데이트된 모드들에 비해서는 조금 묻히는 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그래도 퀄리티가 좋다는 평가가 많다.

6. 역사

Entity 업데이트 이전에는 아.고.티.(A.G.O.T.I.)라는 공허의 악마간수[37]와 대결을 하게 되는 모드였으며 모드 이름도 V.S. A.G.O.T.I.였다. Mic'd Engine을 사용했었어서 그런지 게임 인트로, 메뉴, 옵션에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 곡은 Screenplay, Parasite, A.G.O.T.I 3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엔진인 Mic'd Up 엔진만의 특수 난이도 (추가 난이도.) 중에서도 특히 원작 게임의 가장 어려운 난이도였던 Hard 난이도 보다 더 상위권 난이도로 구별되는 Expert ~ Insane은 스테이지에서 선술한 패턴들 때문에 올 퍼펙트로 곡을 클리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편이었다.

2021년 6월 25일 기준 업데이트가 되었다. 노트의 색깔과 이펙트가 추가되고[38] Guns A.G.O.T.I Remix가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다운스크롤, 키설정, 봇플레이 등의 기능 추가, 모션이 부드럽게 변경되고 이 모드의 엔진인 Mic'd Up 엔진의 있던 난이도인 Noob, Expert, Insane 난이도가 삭제되었다.[39]

그 외 V.S. A.G.O.T.I. 모드의 요소들는 Mic'd Up 엔진 참조.

한국시간 기준 2021년 12월 4일, 예정되었던 Entity 업데이트의 데모가 출시되었다. 엔진을 Psych Engine으로 바꾸고 알드릭스, 솔라자르, 니쿠사의 곡이 각각 한개 추가되었으며 아고티의 목소리가 바뀌고 리메이크된 Parasite가 아고티 위크에 생겼으며 ScreenplayA.G.O.T.I는 정식 버전에 나올 듯 하다.

하지만 모드의 인기가 커지자 제작자들의 부담으로 인해 모드 개발이 취소되었다.# 다만 솔라자르 관련 에피소드는 책임지고 끝낸다고 한다.

7. 파생 모드

7.1. Entity Origins: BREAKOUT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Entity Origins: BREAKOUT
파일:아고티 프리퀄.jpg
제작[40] Tenzubushi
TheInnuendo
BrightFyre
liquidmercury
Kullix
TentaRJ
분류 실행파일
출시 2021년 9월 3일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19.6만 회[41]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11.66만 회[42]
관련 사이트 파일:게임바나나.ico모드 주소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모드 주소
엔티티 모드의 공식 프리퀄이다.

아이콘이 움직이고[43], 다이뎀의 턴에서 화면이 흔들리는 등 원작 못지 않게 퀄리티가 상당한 모드이다.

등장인물은 솔라자르와 같은 종족으로 보이는[44] 완벽한 래퍼를 만들기 위해 실험을 하는 과학자 다이뎀(Daidem)[모습3]과 다이뎀의 6번째 실험체인것으로 보이는 실험체 06[46][모습4]이 있다.[48]

노래는 Experimental Phase, Perfection으로 총 2곡이 있다.

[ 노래 목록 펼치기 • 접기 ]
[ 게임 시작 시 대화 펼치기 • 접기 ]
>06: (You feel strange)
(뭔가 수상쩍은 게 느껴진다)
06: (You begin to feel your body, hear your surroundings)
(몸이 느껴지고 주변이 들리기 시작한다)
06: (All you can hear is computery and machinery sounds)
(들리는 건 컴퓨터와 기계 소리들이다)
06: (You try to open your eyes guided by instinct, but it is only blurry and wet)
(본능적으로 눈을 뜨려고 한다, 하지만 흐릿하고 축축하다)
06: (Your vision slowly starts to focus, fading an image into sight...)
()
06: (Tiny hands belonging to you... a tall man, his back facing you)
(작은 손이 이어져있다... 키 큰 사람이 등지고 있다)
06: (Slowly looking around to see your surroundings, something catches your attention)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다, 무언가 이끌리는 게 있다)
06: (A strange device, foreign and unknown, but familiar)
(이상한 장치다, 이질적이고 알 수 없지만, 뭔가 익숙하다)
06: (Your instincts tell you to take it)
(본능이 가져가라고 말한다)
06: (YOU NEED THE DEVICE)
(그 장치가 필요해)

(실험체 06이 장치를 잡아챈다)
(그리고 Daidem을 쳐다본다)
(Daidem이 놀란다)

Daidem: Shit.
(젠장.)
Daidem: Subject 06... is stable...
(실험체 06... 안정됨...)
Daidem: Beginning testing.
(테스트 시작.)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Experimental Phase
길이 2분 12초
BPM 150
조성 ○○○
작곡 TheInnuendo
난이도별
난이도 HARD
노트수
속도 2.2
최고점 110,300
이 곡에서는 실험체 06이 처음으로 탄생한 듯한 실험실에서 실험체 06이 태어나자 마자 마이크를 보고 바로 마이크를 잡기위해 유리창을 깨고 나온다. 그리고 다이뎀이 테스트를 한번해보자며 싸운다. 난이도는 무난한 편.

아고티의 두 번째 노래 Parasaite의 소절이 들린다.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Perfection
길이 2분
BPM 120
조성 ○○○
작곡 Tenzubushi
난이도별
난이도 HARD
노트수 ○○○
속도 2.8
최고점 122,850
이 곡에서 부터 난이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래도 계단 패턴이나 동시 패턴만 주의 하면 무난하게 클리어 할 수 있다.

여담으로 중반부에서 솔라자르의 노래 Godrays의 소절이 들린다.

[ Perfection 직후 대사 펼치기 • 접기 ]
>Daidem: Perfect! Incredible! After so long, a stable subject!
(완벽해! 믿을 수 없군! 드디어 안정적인 실험체를 만들었어!)

Narrator: The scientist had finally created the perfect rapper
(그 과학자는 마침내 완벽한 래퍼를 만들었습니다.)

Narrator: But... Maybe not all was perfect, maybe his work left open a door for some entities to come to our world?
(하지만... 모든 것이 완벽하지 않을 수도 있고, 어쩌면 그의 작품이 우리 세상으로 나올 수 있는 문을 열어놓았을지도 모릅니다.)

Narrator: Maybe playing god had its consequences?
(신처럼 행동하는 것이 그 결과를 가져왔을까요?)

Narrator: We will never know...
(우리는 절대 알 수 없겠죠..)

Narrator: Unless
(그렇게 하지 않는 한)

Narrator: ...
(...)


게임 오버시 다이뎀이 실험체 06을 실패작이라며 죽여버린다.[49][50]

8. 기타

  • 처음으로 Mic'd Up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드이며, 상술했듯이 높은 퀄리티를 가졌기 때문에 빠르게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 ENTITY 업데이트 전에는 게임의 디자인이 페르소나 5 느낌이 났으며, 현재는 페르소나 3에 가깝다.[51]
  • 모드 제작자 중 한 명의 이름이 AGOTI로 이 모드의 주인공인 A.G.O.T.I와 이름이 같으며, 이는 과거 AGOTI의 오너 캐릭터였어서 그렇다. 현재는 TheInnuendo로 이름을 변경했다.
  • Screenplay의 리듬 중 일부분이 언더테일의 곡인 Song That Might Play When You Fight Sans의 반주와 비슷하여[52] 아고티는 샌즈이다라는 밈이 만들어졌다.[53]
  • A.G.O.T.I.의 1분 28초 경 계단 패턴이 쏟아지는 하이라이트 구간에서 아고티의 목소리가 마치 총을 쏘는 소리 같아서 아고티는 총을 가지고 있다라는 밈이 생겨났다.[54][55]
  • 제작자인 SugarRatio가 솔라자르, 니쿠사 두 명의 스프라이트를 공개하면서 새로운 업데이트가 예고되었고, Funkin Forward에서 트레일러가 발표되었다.
  • 게임 도중 9를 눌러 런칭 초기 형태의 남자친구 아이콘으로 아이콘을 변경하면 업그레이드된 런칭 초기 아이콘을 볼수 있다.
  • 어버이날 기념으로 만든 4컷 만화가 있다.
    [장면1][장면2][장면3][장면4]
  • Entity 업데이트 데모를 작업하고 있다고 한다. 아고티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의 곡이 각각 1개인 스테이지를 추가하고 게임 엔진을 Mic'd Up 엔진에서 Kade Engine으로 옮긴다고 한다.[60] 제작자 Tenzubushi가 트위터에 곧 출시된다고 밝혔고 메인 제작자 SugarRatio도 그것이 진실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2021년 12월 1일에 SugarRatio의 유튜브에 Entity Demo 트레일러가 2021년 12월 4일 오전 8시 최초공개로 올라왔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출시되었다.
  • 세계관 상 스틱맨 커뮤니티인 Hyun's Dojo와 연계점이 있는데, 솔라자르와 니쿠사 설정에 언급되는 스틱맨 종족이나 Player X 등은 제작자 중 한명인 SugarRatioHyun's Dojo에서 활동할 때 부터 잡힌 설정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Player X는 스틱맨 듀얼리스트로서 여러 Hyun's Dojo 애니메이션으로 그 존재를 드러냈기도 하였다.
  • 원래 ENTITY 풀버전이 예정되어있었으나, 한국시간 기준 2022년 6월 일, TheInnuendo의 트위터에서 사실상 취소되었다는게 밝혀졌다. 정확히는 풀버전은 취소되었으나 거의 다 완성된 솔라자르의 주차를 완성한 뒤 배포하고 끝낼 예정이라고.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 파일:FNF Logo bumping.gif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1] 스프라이트 제작.[2] 아트/작곡 담당.[3] 애니메이션/아트 담당.[a] 아트 담당.[a] [a] [a] [a] [a] [a] [b] 작곡 담당.[12] 전 닉네임은 A.G.O.T.I이지만, 관련 사건 사고 이후 기존의 오너캐와 이름을 버렸다.[b] [b] [b] [b] [b] [b] [c] 프로그래밍 담당.[c] [21] 그 유명한 섀기 모드 메인 제작자이기도 하다.[c] [c] [c] [c] [c] [d] 채보 담당.[d] [d] [e] 성우[e] [e] [33] 2022년 6월 1일, 게임바나나 기준[34] 2022년 3월 27일, 게임졸트 기준[35] Buy Digital Album을 누르고 가격 입력 칸에 0이라고 입력하면 무료로 구매할 수 있다.[36] 여담이지만 트레일러 초반에 위티나 루브 등 타 유명 모드들의 캐릭터들이 보이는데, 아마 그 인물들을 알고 있는 상태이거나 같은 세계관인것으로 보인다.[37] A.G.O.T.I 클리어 이후 나오는 컷신을 보면 원래부터 공허의 간수였던 것이 아닌, 여자친구의 부모님에 의해 공허에 갇힌 것임을 알 수 있다.[38] 그중에서도 바닐라 게임에서 0.2.8 업데이트에서 나온 Sick! 판정시 나오는 불꽃 모양이 터져 나오는 것도 나왔다.[39] 정말 아쉽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40] 거의 모든 제작자가 엔티티 모드의 제작자이다.[41] 2024년 10월 20일, 게임바나나 기준[42] 2024년 10월 20일, 게임졸트 기준[43] 파일:EntityOriginsIcons.gif[44] 솔라자르와 다이뎀은 둘 다 불로 이루어졌지만, 솔라자르는 푸른색, 다이뎀은 주황색이다.[모습3] 파일:DaidemIdle.png[46] 정식 명칭은 06.[모습4] 파일:SixIdle.png
아고티와 알드릭스의 종족인 디지데빌의 샘플과 BF의 DNA를 합쳐 만들어졌다고 한다.
[48] A.G.O.T.I가 맞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다른 종족인 것 같다. 왜냐하면 아고티는 불타는 '비디오 테이프로 가득한 상자'에서 태어났지만 실험체 06은 실험으로 인해 다이뎀의 연구실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49] 파일:07AchievementIcon.jpg
게임졸트 미션으로만 볼 수 있다.
[50] 이러한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실험체 06 이전, 즉 실험체 01~05까지는 다이뎀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여 다이뎀이 전부 다 죽인 듯 하다.[51] 실제로 제작진 중 페르소나 시리즈 팬도 있어 솔라자르의 곡 Godrays는 페르소나 Q의 OST인 Laser Beam을 오마주했다.[52] 약 31초 경.[53] 하지만 추후 업데이트에서 아고티의 목소리가 바뀌며 이 부분이 사라졌다.[54] 이로 인해서인지, 전혀 총을 쏘는 것처럼 들리지 않는 남자친구의 턴에서도 예시 영상에서는 남자친구가 총을 쏜다.[55] 하지만 위의 아고티는 샌즈이다 밈처럼 아고티의 목소리가 바뀌면서 이 부분도 없어지고 말았다. 총을 압수당한 아고티[장면1] 파일:AgotiFathersDayComic1.jpg[장면2] 파일:AgotiFathersDayComic2.jpg[장면3] 파일:AgotiFathersDayComic3.jpg[장면4] 파일:AgotiFathersDayComic4.jpg[60] 하지만 데모 버전은 Psych Engine으로 제작되었다. Psych Engine이 더 편리해서인지 Kade Engine의 제작자 KadeDeveloper의 논란 때문인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