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1:33:54

안드로메다 II 왜소은하


<colcolor=#fff> PGC 4601
안드로메다Ⅱ왜소은하
<nopad> 파일:960px-Andromeda_II_color_cutout_hst_13028_06_acs_wfc_f814w_f475w_sci.jpg
관측 정보
위치 <colcolor=#fff> 적경 01h 16m 29.8s
적위 +33° 25' 09"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겉보기 등급 13.5
물리적 성질
형태 왜소구형은하
거리 222만 광년
680 킬로파섹
규모
겉보기 크기 3.6 × 2.52 (분각)
지름 6,500광년
2.0 킬로파섹
명칭
AndromedaⅡ

1. 개요2. 특징3. 관측

1. 개요

국부 은하군에 속한 왜소구형은하로 1970년대 초반, 네덜란드계 캐나다인 천문학자 시드니 반 덴 버그(Sidney Van den Bergh)가 팔로마 산 천문대의 사진 건판을 샅샅이 뒤져 안드로메다 은하 주변에서 안드로메다 I, III와 함께 발견했다.

2. 특징

안드로메다 은하(M31)의 위성 은하[1]이며 주로 늙고 금속 함량이 매우 낮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가스나 먼지들을 거의 다 소모했거나 혹은 모 은하에게 뺏겨 항성 생성이 중단됐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은하들은 짧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And II는 특이하게도 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듯한 장축 자전(prolate rot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이는 과거에 다른 작은 은하와 합병(Merger)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증거로 해석되기도 한다.

3. 관측

겉보기 등급이 매우 희미해서 맨눈으론 당연히 불가능하고 고성능 장비를 동원해야 겨우 흐릿한 모습이라도 관측할수 있다.
[1] 사실 이건 확실하지 않다. 삼각형자리 은하(M33)와도 가까워서 아직 어느 은하의 위성은하인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