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7:17:59

악몽의 신기루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지속 마법 카드.

2. 설명

파일:card10001688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악몽의 신기루,
일어판명칭=<ruby>悪夢<rp>(</rp><rt>あくむ</rt><rp>)</rp></ruby>の<ruby>蜃気楼<rp>(</rp><rt>しんきろう</rt><rp>)</rp></ruby>,
영어판명칭=Mirage of Nightmare,
효과1=①: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패가 4장이 될 때까지 드로우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드로우했을 경우\,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드로우한 매수만큼만 자신의 패를 무작위로 버린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상대 턴이 시작되면 아무 조건 없이 패를 4장까지 채워주는 카드. 단, 다음 자신의 턴이 오면 아까 뽑았던 매수 만큼 패를 무작위로 버려야 한다. 이름처럼 신기루를 방불케 하는 효과.

2.1. 성능

패가 0장인 상태에서 발동하면 다음 턴에 무려 4장이나 버려야하기 때문에, 아까 전까진 넉넉했던 패의 매수가 최소 1장으로 증발해버린다. 하필이면 랜덤으로 버리는 방식이라서 재수없게 필요한 카드가 묘지로 날라갈 위험성도 있고, 보통 버리는 효과가 발동되면 패의 매수가 더 줄어드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주어지는 어드밴티지는 그닥 많지 않다.

이렇게만 보면 드로우 보조용으로 쓰기엔 영 하자가 많은 카드로 보이지만, 애초에 금지 카드로 지정된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 이 카드의 최대 맹점은 바로 지속 마법이라는 점에 있다. 이 카드를 발동해서 4장까지 드로우한 뒤, 다음 스텐바이 페이즈가 들어오기 전에 이 카드를 필드에서 제거하면 그대로 드로우한 카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카드를 적절한 때에 치워버릴 수만 있다면 최대 4장이나 카드를 먹튀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

이런 사실이 밝혀지면서 싸이크론, 비상 식량 등과 함께 콤보 파츠로 사용되었고, 패가 0장인 상태로 만들어두면 2:4 교환이 성립되는 놀라운 밸류로 수많은 덱에 투입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후술할 애니메이션에서도 사용했을 만큼 꽤나 유서깊었던 전략.

에라타 전 왕궁의 칙명과는 최상의 궁합을 자랑했다. 악몽의 신기루 발동 > 4장 드로우 > 자신의 스텐바이 때 왕궁의 칙명을 악몽의 신기루의 효과에 체인을 해서 패를 버리는 효과를 무효 > 상대 드로우 페이즈시 왕궁의 칙명을 자괴시키면 악몽의 신기루 효과 부활로 4장 드로우 > 이후 비상 식량이나 싸이크론으로 악몽의 신기루를 처리하면 3:8 이라는 놀라운 교환비가 가능했다. 무엇보다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에 드로우를 하고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가 되기 전에 이 카드가 날아가거나 무효화되면 그냥 아무런 코스트도 없이 4장 드로우하고 끝인 미친 카드가 되어 버리므로 당대 최강의 마함 견제 카드인 해피의 깃털이나 태풍등의 사용을 망설이게 만드는 효과도 있었다.

그리고 패를 버리는 효과도 거꾸로 생각해보면 역으로 묘지 자원을 쌓는 포석이 될 수 있고, 1장씩 드로우하는 거면 크게 패 압박이 다가오지 않으니 마냥 거슬리는 기능까진 아니다. 이 카드가 현역이던 과거면 몰라도 묘지의 가치가 매우 높아진 현재는 덱의 특징에 따라서 매우 위협적인 기능으로 변모할 수도 있다.

즉, 정말정말 간단하게 정리하면 서로가 쓰는 덱과 상황을 불문하고 "쓰는 사람은 막혀도 큰 손해가 아닌데, 상대방은 이 카드를 못 막으면 대참사"라는 어긋난 디자인의 카드라는 것이다. 막말로 선턴에 그냥 대놓고 낸 후 상대에게 '자기 패를 써서 대처하거나 아니면 어드밴티지 차이가 쭉쭉 벌어지는 걸 보거나' 같은 고통의 선택을 강요할 수 있다. 또한, 상대가 해당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이 하루 우라라와 같은 드로우 효과를 무효하는 카드로 이걸 막을 경우엔 1장으로 최대 4장 드로우하는 것을 막았으니 본인이 이득을 보는 상황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의 패/필드에 덱에서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가 있을 수 있다는 걸 고려하면 그 카드의 효과를 막을 퍼미션을 케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셈이며, 심지어 파괴된 것도 아니니 이는 결과적으로는 0:1의 교환으로 본인의 디스어드밴티지가 된다. 제대로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코즈믹 싸이크론이나 유령토끼같은 효과 발동에 체인을 걸어 필드 위의 카드를 파괴/제외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나, 신의 심판같은 효과를 무효로 하고 그 카드를 파괴하는 카드를 써야 하는데 2020년 이후로는 특정 덱 카운터로 사이드 덱에나 준비하지 메인 덱에 꽉꽉 채워넣고 다닐 만큼 범용성이 있는 카드들이 아니다. 그런데 이쪽은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만인 느낌의 카드라 상대가 사이드에서 대처를 꺼낸다 싶으면 그냥 자신의 다른 카드들로 갈아치워서 닭 쫓던 개 꼴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지나친 범용성으로 인해 2003년에 제한, 2005년에 제육감과 함께 금지 카드로 지정되면서 현재까지도 풀리지 않고 있다. 현재 메타에서도 충분히 강력한 위용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데, 전개를 모두 끝마친 뒤에 이 카드를 발동하고, 다음 상대 턴에 확률적으로 패 트랩을 드로우해서 퍼미션 수단을 확보하는 전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선공 빌드를 완성해서 상대를 실컷 견제한 시점에서는 사실상 승기를 잡은 상황이므로 패가 줄든 말든 의미가 없고, 상술한대로 패를 버려서 묘지 자원을 쌓는 데 이용할 수도 있으니 결국 금지에서 해제되는 건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2.2.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KC 그랑프리 편에서는 듀얼 컴퓨터의 패에 존재하는 것으로 등장했으며, 마스크 더 로쿠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드로우 후 비상 식량의 효과로 묘지에 보내버리면서 패와 라이프를 둘 다 보충하는 콤보를 썼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도 유우키 쥬다이욕망의 버블맨 콤보와 함께 세븐 스타즈 편 내내 사용하였다. 상술한 콤보를 중요한 순간 때 우려먹어서 부족해진 라이프와 패 매수를 요긴하게 보충했다. DM에서 이미 선보인 콤보지만[1] GX에서는 다른 이도 아닌 주인공이 유난히 많이 써먹어서 인상은 이쪽이 더 강렬하게 남는 편이라 팬들에게는 일명 '악몽의 비상식'이라며 악명을 떨쳤다. 2기부터는 금지 카드가 된 관계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3. 기타

여담으로, 11기 들어서 공식 사이트가 정비되면서 재정이 변해 무금제라 하더라도 상술한 악몽의 비상식량 콤보는 불가능했었던 해프닝이 있었다.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드로우한 수만큼 버리는 효과가 발동하는 효과가 아닌, 상대 턴에 드로우할 때 딸려오는 잔존 효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스고로쿠의 AI가 사용할 땐 원작 재현을 위해서인지 처음부터 비상 식량과의 콤보를 사용할 수 있는 발동 효과로 재현되었었다. 그 후 공식 사이트와 듀얼링크스에 문의한 결과 재정이 이전의 발동 효과로 되돌아갔다고 하며, 이후 2024년 5월 7일 이뤄진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업데이트에서 일본어판 기준으로 대대적인 효과 텍스트 재편이 이뤄지며 양 효과가 따로 처리되는 효과로 분리되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2-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H-35 | Pharaonic Guardian - 王家の守護者 -
2003-04-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L5-120 | DUELIST LEGACY Volume 5
2004-12-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E2-JP233 | BEGINNER'S EDITION 2
2011-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E02-JP191 | BEGINNER'S EDITION 2 [ 2011 ]
2003-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D-036 | PHARAONIC GUARDIAN
2005-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2-EN233 | DARK BEGINNING 2
2012-10-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YW-EN155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24-12-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2-ENG09 | SPEED DUEL: BATTLE CITY FINALS
2004-1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D-KR036 | 왕가의 수호자
2006-09-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2-KR233 | 비기너즈 팩 Vol.2

[1] 사실 해당 패보충 콤보가 나온 에피소드가 국내에서는 조기종영으로 인해 방영이 불발되어서 대부분이 GX에서 처음 나온 줄로 아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