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반 목록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2e2e2e,#000><width=25%> ||<width=25%> ||<width=25%> ||낮술
{{{#!wiki style="background-color: #f2edb8; 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ont-size: 0.75em"
2024. 02. 21.어깨
{{{#!wiki style="background-color: #98802d;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ont-size: 0.75em"
2024. 05. 14.Beyon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ont-size: 0.75em"
2024. 07. 10.
김찬호 • 하운 • 이지상 |
{{{#!wiki style="margin: 5px 0 5px 0" | |
<colbgcolor=#2e2e2e><colcolor=#ffffff> 데뷔 | 2024년 2월 21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4-02-21)]일째 | [age(2024-02-21)]주년)[1] |
활동 시기 | 2024년 ~ 현재 |
소속사 | - |
멤버 | 하운(보컬, 기타) 이지상(베이스) 김찬호(드럼) |
SNS | |
1. 개요
우리의 음악으로 저 너머의 여행이 시작된다.
2024년 2월 21일 데뷔한 3인조 밴드.
아토(ATO)는 at과 to의 합성어로 정진하는 방향은 있지만, 장르의 한계를 두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토(ATO)는 at과 to의 합성어로 정진하는 방향은 있지만, 장르의 한계를 두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하던 하운의 솔로EP 세션 작업을 위해 모였다가, 음악의 장르 및 방향성을 고려하였을 때 밴드로 활동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다른 멤버들의 제안으로 결성되었다.
이전부터 하운, 지상 사이에서 밴드를 결성하자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각자의 활동 문제로 미루어졌었다. 그러나 전술한 작업을 계기로 다시 밴드를 하자고 제안하게 되었고, 후에 하운이 찬호를 만나 낮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며 최종적으로는 3인조 밴드로 데뷔하게 되었다.
이전부터 하운, 지상 사이에서 밴드를 결성하자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각자의 활동 문제로 미루어졌었다. 그러나 전술한 작업을 계기로 다시 밴드를 하자고 제안하게 되었고, 후에 하운이 찬호를 만나 낮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며 최종적으로는 3인조 밴드로 데뷔하게 되었다.
2. 멤버
<nopad> | ||
| | |
하운 | 이지상 | 김찬호 |
1991. 09. 22. ([age(1991-09-22)]세) 보컬, 기타 | 1991. 11. 29. ([age(1991-11-29)]세) 베이스 | 1993. 12. 26. ([age(1993-12-26)]세) 드럼 |
3. 음반
{{{#!wiki style="margin: 0 -10px" {{{#white,#fff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낮술 디지털 싱글 2024. 02. 21. | 어깨 디지털 싱글 2024. 05. 14. | Beyond 1st EP 2024. 07. 10. | }}} }}}}}} |
3.1. 싱글 '낮술'
데뷔 싱글 낮술 | |
2024. 02. 21. | |
| |
<rowcolor=#fff> 트랙 | 제목 |
1 | 낮술Title |
어렸을 적 춘천에서 펑크락 기반의 밴드 활동을 했던 이지상과 하운은 성인이 된 후 각자 음악 활동을 이어가다 음악의 뜻이 맞는 드러머 김찬호를 만나 그 시절 펑크락을 다시 해보고자 의기투합을 한다.
O.O.O 에서 활동을 해오던 이지상과 포크 기반의 싱어송라이터 하운 그리고 다양한 장르를 섭렵한 김찬호의 그간의 음악적 경험들은 기존에 그저 하나의 장르로서 귀결되는 "펑크록" 밴드가 아닌 얼터너티브, 팝, 브릿팝, 사이키델릭 등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이 섞여 90년대 록의 향수부터 현대의 사운드로 이어지는 개성 있는 음악을 선보일 생각이다.
이에 첫 작품으로 선보이는 [낮술]은 실제로 낮에 술을 마시고 데모 작업을 하였고 그 순간의 느낌을 직관적으로 담아낸 곡이다.
무언가와 이별한 듯 왠지 취해야만 할 것 같았던 오후,
묵직한 사운드와 취해버린 기타 리프는 낮술과 함께한 그 하루를 담아낸다.
O.O.O 에서 활동을 해오던 이지상과 포크 기반의 싱어송라이터 하운 그리고 다양한 장르를 섭렵한 김찬호의 그간의 음악적 경험들은 기존에 그저 하나의 장르로서 귀결되는 "펑크록" 밴드가 아닌 얼터너티브, 팝, 브릿팝, 사이키델릭 등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이 섞여 90년대 록의 향수부터 현대의 사운드로 이어지는 개성 있는 음악을 선보일 생각이다.
이에 첫 작품으로 선보이는 [낮술]은 실제로 낮에 술을 마시고 데모 작업을 하였고 그 순간의 느낌을 직관적으로 담아낸 곡이다.
무언가와 이별한 듯 왠지 취해야만 할 것 같았던 오후,
묵직한 사운드와 취해버린 기타 리프는 낮술과 함께한 그 하루를 담아낸다.
3.2. 싱글 '어깨'
2nd 싱글 어깨 | |
2024. 05. 14. | |
| |
<rowcolor=#fff> 트랙 | 제목 |
1 | 어깨Title |
모순과 마주하는 것, 의지대로 되지 않아도 감내하는 것처럼 우릴 힘들게 하는 많은 일들이 있었고 우린 그 안에서 다치고 울고 버티며 참 많이도 아팠다. 그런 나에게, 우리에게 어깨를 내어주며 위로해 주고 싶어 만든 곡.
3.3. EP 'Beyond'
1st EP Beyond | |
2024. 07. 10. | |
| |
트랙 | 제목 |
1 | Beyond |
2 | 문 |
3 | Go round |
4 | 낮술 |
5 | 돌멩이 |
6 | 어깨Title |
7 | Bring outTitle |
EP [beyond]는 ATO의 음악으로 듣는 이들을 ‘너머'로 데려가겠다는 팀 이름의 의미와 방향성을 함께한다. 사람은 태어나 사랑을 겪고 모순과 마주하고 눈물을 흘리고 웃는다. 그 사이사이에서 느낄 수 있었던 수많은 감정과 고민들을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고 음악으로 녹여냈다.
ATO 설명서라고도 볼 수 있는 앨범명과 같은 트랙 ‘beyond'로 ATO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우리가 열고 나가야 하지만 그전까지는 우리를 지켜주는 존재인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 세상을 마주한다. 하지만 이때까지 아름답고 정의롭다고 배웠던 세상과 두 눈으로 바라보고 느낀 세상의 괴리에 머리가 어지러워 ‘go round'해버린다. 미칠 것 같은 시간들을 제정신으로 버티기 어려워 ‘낮술'을 마시고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 하고 싶은 대로 살자며 ‘돌멩이'처럼 굳게 마음먹는다. 지치고 힘든 날들을 버텨낸 우리에게, 그리고 나에게 스스로 ‘어깨'를 내어주며 위로하고 결국 답은 내 안에 있음을 깨닫고 그것을 세상으로 ‘bring out'하며 앨범은 마무리된다.
ATO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이자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과거의 그곳, 현재의 이곳, 미래의 저곳 모두에 우리가 있고 음악이 있다. 세상으로 나와 아픔을 겪고 일어나 도망치지 않고 다시금 세상 속으로 뛰어든 ATO의 첫 포부를 [beyond]에 담아보았다.
ATO 설명서라고도 볼 수 있는 앨범명과 같은 트랙 ‘beyond'로 ATO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우리가 열고 나가야 하지만 그전까지는 우리를 지켜주는 존재인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 세상을 마주한다. 하지만 이때까지 아름답고 정의롭다고 배웠던 세상과 두 눈으로 바라보고 느낀 세상의 괴리에 머리가 어지러워 ‘go round'해버린다. 미칠 것 같은 시간들을 제정신으로 버티기 어려워 ‘낮술'을 마시고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 하고 싶은 대로 살자며 ‘돌멩이'처럼 굳게 마음먹는다. 지치고 힘든 날들을 버텨낸 우리에게, 그리고 나에게 스스로 ‘어깨'를 내어주며 위로하고 결국 답은 내 안에 있음을 깨닫고 그것을 세상으로 ‘bring out'하며 앨범은 마무리된다.
ATO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이자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과거의 그곳, 현재의 이곳, 미래의 저곳 모두에 우리가 있고 음악이 있다. 세상으로 나와 아픔을 겪고 일어나 도망치지 않고 다시금 세상 속으로 뛰어든 ATO의 첫 포부를 [beyond]에 담아보았다.
4. 공연활동
<rowcolor=#fff> 일자 | 공연명 | 장소 | 비고 | |
2024년 | ||||
240321 | Happy Thursday | 클럽 FF | 낮술 어깨 | |
240406 | April Skies | 클럽 FF | ||
240420 | UNEVEN WAVES | 클럽 벤더 | ||
240511 | Do me a Favour | 클럽 FF | ||
240606 | Hard to beat | 클럽 FF | ||
240719 | So Beautiful | 클럽 FF | ||
240823 | BLACKOUT | 클럽 FF | ||
240905 | - | 아이다호 | 첫 단독공연 | |
240915 | KICK BACK | 클럽 FF | ||
240921 | YOUNG MANS | 언플러그드 홍대 | 하운, 찬호 2인 공연 | |
240929 | 제1회 레드로드 버스커 페스티벌 | 레드로드 R1 | 레드로드 버스커 페스티벌 | |
241028 | 월간관악 | 작은따옴표 도림천점 | 하운, 찬호 2인 공연 | |
241031 | M-Brunch Consert | DMC 문화공원 | 하운, 찬호 2인 공연 | |
241115 | - | 인디제주 | ||
241129 | GWANAK INDIE WEEK | 작은따옴표 도림천점 | ||
241225 | Last Christmas | 클럽 FF | ||
2025년 | ||||
250110 | AS IT WAS | 클럽 FF | ||
250215 | Howlin' for you | 클럽 FF | ||
250302 | Night Of Victim Vol.49 | 클럽 빅팀 | ||
250314 | WHITEDAY MIRACLE | 클럽 FF | ||
250405 | - | 철산 산울림 | 단독공연 | |
250426 | Roll OUT | 클럽 스틸페이스 | ||
250504 | - | 프리버드 | ||
250523 | - | 스팀펑크락 | ||
250603 | - | SUBRIOT HBC | ||
250628 | DREAM LANTERN | 클럽 FF | ||
250711 | - | 프리버드 | ||
250719 | - | 스팀펑크락 | ||
250801 | - | 스페이스 한강 | ||
250906 | - | 스팀펑크락 | ||
250919 | - | 프리버드 | ||
250920 | Somebody told me | 클럽 FF | ||
250927 | 10주년 기념 홈파티 | 싱글핀 에일웍스 | ||
251004 | I WAS BORN TO LOVE YOU | 클럽 FF | ||
251024 | - | 프리버드 | ||
251107 | - | 프리버드 |
5. 기타
[1] 싱글 '낮술'[2] 가사 중 'mary go round and around and around'라는 가사를 따라 해달라고 유도한다.[링크] https://www.instagram.com/ato.officiallymissing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