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 등장인물 · 카드 · 배틀 토큰 · 맵 · 패널 · 몹 |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2|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3|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4|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5|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6|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7|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8|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9|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0|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1|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2|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3|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4|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5|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6|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7|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8|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19|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20|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21|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22|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2.23|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3.1|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스트랄 파티/등장인물#s-3.2|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 -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1. 개요
아스트랄 파티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 및 NPC 캐릭터에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2. 플레이어블 캐릭터
계정을 처음 생성하면 미미, 페니, 렌, 패드맨을 기본으로 지급한다.나머지 캐릭터들은 가챠로 획득한다.
2.1. 미미
간판 소녀 / 바니걸 미미 | ||
| ||
| | |
액티브 스킬 | ||
상품 보충 모든 카드를 버리고, 버린 카드 수 + 1장의 카드를 새로 뽑음 | ||
패시브 스킬 | ||
재활용 배틀 카드를 1장 버릴 때마다 1코인 획득 | ||
잠재 | ||
카드를 25장 획득할 때마다. 토큰을 획득한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코인 +10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오늘은 정말 알찬 하루였어~"
주기적인 드로우와 골드 수급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캐릭터. 패시브의 골드 획득은 액티브나 전투를 통해 자의로 버리든, 효과로 인해 타의로 버리든 언제든 발동한다.
2.2. 페니
괴짜 탐정 크레이그・페니 | ||
| ||
| | |
액티브 스킬 | ||
트러블 메이커 턴 종료후 랜덤 이벤트 발생 | ||
패시브 스킬 | ||
단서 발견! 이벤트 발생 후 3코인 획득 | ||
잠재 | ||
트러블 메이커가 무작위 이벤트 2개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10 | 1 | 2 |
Co-Op Levels | ||
Lv. 1 | ★ 코인 +10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또 또 또 다른 사건? 좋아!"
액티브의 잦은 이벤트 발동과 패시브와 연계된 골드 수급 능력을 통한 무난하게 체급과 능력 양방으로 좋은 성능을 지닌 캐릭터.
다만 PVE의 경우, 이벤트 중 파티에 해를 끼치는 페널티 카드가 많아 PVE모드에서는 기피되고, 나오는 즉시 탈주하는 유저가 있을 정도로 인식이 나쁜 캐릭터이다.
하지만 이후 잠재 능력 개방 이후 이벤트를 2중 택1로 가능한 이득을 볼수있게 되면서, 이벤트 발동시 점차 강해지는 데미지 카드를 얻는 린과 연계시 강함이 발견되어 이 둘을 함께 채용하는 경우가 생겨났다.
2번과 5번 이모지는 각각 야수선배, 퍼펙트 죠노우치의 패러디.
2.3. 렌
게임 마스터 렌 | ||
| ||
| | |
액티브 스킬 | ||
개구쟁이 8칸 내에 있는 플레이어로부터 카드를 훔침. 이펙트 카드인 경우 패시브 발동 | ||
PVE 8칸 내의 지정한 아군이 슈슈 보호막과 카드 한 장을 획득. | ||
패시브 스킬 | ||
슈슈야 구해줘! 슈슈가 렌을 보호, 다음번에 받는 데미지 -3 | ||
잠재 | ||
슈슈 보호막을 얻은 캐릭터는 반격 효과를 1회 얻습니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8 | 2 | 1 |
Co-Op Levels | ||
Lv. 1 | ★ 코인 +10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사랑에 빠지면 다칠걸? 오빠🎶"
적의 손패에 있는 카드를 자신의 손패로 빼았는다. 이때 빼앗아 온 카드가 필드에서 사용하는 이펙트 카드라면 패시브 스킬이 재생된다. 데미지 감소 쉴드가 아주 상당해 두르고 있는 동안 의문사당할 일은 적지만 단 한번 피해를 막고 효과가 비활성화 되고, 이 쉴드도 이펙트 카드를 뺏은게 아니라면 재생되지 않기에 재수없으면 짤짤이에 허무하게 벗겨지거나 게임의 반나절동안 없는 스킬인 채 플레이하게 된다.
2.4. 패드맨
회사원 삼촌 패드맨 | ||
| ||
| | |
액티브 스킬 | ||
날 열받게했어 패시브 스킬이 최대 효과로 발동됨, 1라운드 지속 | ||
패시브 스킬 | ||
노코멘트 매 턴마다 자신의 수치를 변경: ATK -2~+2 / DEF -1~+2 / Roll -2~+2 | ||
잠재 | ||
공격 주사위에서 6이 나오면 대상의 방어력을 무시합니다. 어느 주사위에서든 2 미만이 나오면 다음 공격 주사위가 6으로 고정됩니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8 | 2 | 2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미안, 미안, 웃겨서 미안해..."
패시브 스킬로 인해 패드맨의 스탯은 사실상 0~4의 난수 중에 무작위로 선정된다. 이때문에 액티브를 발동했을 때나 난수가 +로 뜨면 깡스탯으로 밀어버릴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0/0의 저열한 컨디션일때 교전에 임해야 하는 심각한 도박성 캐릭터이다. 운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스킬 때문에 사실상 PvE에서 페니 다음으로 가장 픽률이 낮다.
이후 잠재 능력이 추가되고 나서는 PvE 맵들중 Dragon Palace Amusement Park에서 조커픽으로 활용되고 있다. 맵 기믹중 하나가 모든 플레이어의 배틀 주사위 값을 6 혹은 1로 고정시키는 능력인데, 이것이 패드맨의 잠재 능력과 강한 시너지를 일으키기 때문.
2.5. 파루난
비즈니스 마스터 파루난・크리슈나 | ||
| ||
| | |
액티브 스킬 | ||
온라인 쇼핑 즉시 상점을 오픈해 카드를 구매 | ||
패시브 스킬 | ||
전설의 상인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배틀 카드 수량 +1 | ||
<rowcolor=#000> HP | ATK | DEF |
10 | 1 | 2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내가 이걸 왜 사는걸까? 잘 모르겠지만 그냥 사야지!"
자유롭고 효율적인 상점 이용에 기반한 운영형 캐릭터. 하지만 상점 이용 자체는 상점칸을 지나쳐도 이용이 가능하고, 제공되는 품목도 패시브 스킬을 고려해도 4가지 선택지 밖에 되지 않는다. 여러모로 능력이 아쉽지만 깡스탯은 상위권인게 위안.
2.6. 알라나
수줍은 수녀 알라나 | ||
| ||
| | |
액티브 스킬 | ||
아이언 메이든 전투와 함정에 대한 면역이 생김, 1턴간 지속 | ||
패시브 스킬 | ||
볼륨 업 이전 턴에서 데미지를 받지 않은 경우, ATK +3 (중첩 불가, 데미지 발생시 초기화) | ||
잠재 | ||
아이언 메이든을 사용한 뒤, 한 턴 동안 피해를 입지 않으며, 반격당하지 않습니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액티브의 전투 면역은 다음 자신의 턴이 올 때까지 유효하며, 주로 체크포인트에 깔린 다수의 트랩을 무시하고 레벨을 올리거나 원치않는 전투(피해를 받고 패시브가 꺼진다거나 KO당하는 등)를 피하기 위해 사용한다. 발동 후엔 공격 시도도 전투이므로 불가능하다. 잠재능력을 해금하기 전 까지는 이펙트 카드나 이벤트의 피해는 막아줄 수 없으니 유의.
여담으로 SD가 수줍은 수녀라는 이명에 맞게 매우 우스꽝스럽다.[1]
2.7. 코마치
섀도우 닌자 아오야마 코마치 | ||
| ||
| | |
액티브 스킬 | ||
인법 콤보 이번 턴에 이펙트 카드를 한장 더 사용할 수 있음 | ||
패시브 스킬 | ||
카피 닌자 이펙트 카드를 3장 사용할 때마다 마지막에 사용한 카드를 복사해 손에 추가 | ||
잠재 | ||
사용한 효과 카드 3장당 액티브 스킬의 쿨다운이 1씩 감소하고, 영구적으로 효과 카드의 피해량이 1 증가한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나는 그림자 속에서 죽인다. 마치.... 뭐였더라?"
2.8. 파파라
소악마 / 레드 핫 파파라 | ||
| ||
| | |
액티브 스킬 | ||
한 모금 현재 HP가 50%보다 많다면 HP -3, 입힌 피해의 50% 만큼 자신의 HP 회복, 1턴간 지속 | ||
패시브 스킬 | ||
귀여움이 정의 HP가 50% 미만일 때, ATK +3 | ||
<rowcolor=#fff> HP | ATK | DEF |
10 | 2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낮은 체력일 때 추가 공격력을 받는 버서커형 캐릭터. 자폭이나 이독치독 같은 자해성 카드를 사용해도 스킬들을 통해 회복하거나 KO를 따낼 찬스를 만들 수 있지만, 조건이 조건인 만큼 자신을 보호할 수단 또한 적절히 준비해둬야 하는게 포인트.
기본으로 지급되는 이모티콘 중 【최애의 아이】 패러디가 있다.
2.9. Z3000
분리수거 로봇 Z3000 | ||
| ||
| | |
액티브 스킬 | ||
낚아채기 7칸 내의 상대를 내 칸으로 끌어당김. 그 상대는 피해를 1 입고, 1턴동안 행동력이 -2 감소함. | ||
(PVE) 7칸 내의 상대를 내 칸으로 끌어당기고 5의 데미지를 입힘. | ||
패시브 스킬 | ||
분리수거 내가 <Expired Bento>, , <Chocolate Cake>, <Fight Fire with Fire> 카드를 사용할 때 현재 내 에 <Mystery X> 를 놓음. | ||
(PVE) 적 처치 시 액티브 스킬 쿨타임 2감소. | ||
잠재 | ||
처치한 몬스터 2마리당 공격력이 영구적으로 +1 증가. 자신의 공격력이 6 이상일 때, 액티브 스킬로 끌어온 몬스터를 공격할 수 있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10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꽤나 넓은 범위의 인원을 자기 자리로 끌어 데미지와 이동거리 감소의 디버프를 걸 수 있는, 견제에 특화된 캐릭터. 자폭이나 벽돌 카드같은 고데미지 견제기와 연계로 대상을 순식간에 억까시킬 수 있다.
2.10. 판다맨
Body Vehicle 판다맨 | ||
| ||
| | |
액티브 스킬 | ||
요술 활 <Self-Explosion> 이나 <Eye for an Eye> 카드 중 한 장을 얻음. | ||
(PVE) <Chocolate Cake> 이나 카드 중 한 장을 얻음. | ||
패시브 스킬 | ||
잡동사니 모든 체력 회복 효과를 +2 추가로 얻지만, 모든 피해를 +1 더 입음. | ||
(PVE) <Chocolate Cake>나 를 먹었을 때 주위 5칸 내의 아군이 HP 2 회복. | ||
<rowcolor=#fff> HP | ATK | DEF |
12 | 1 | 0 |
Co-Op Levels | ||
Lv. 1 | ★ 방+1 | |
Lv. 2 | ★ 최대HP+2 | |
Lv. 3 | ★★ 최대HP+1 / 이동거리+1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체력이 12로 인게임 최고 수치를 자랑하지만, 패시브의 받는 데미지 +1덕에 실제 내구도는 회복 카드나 이벤트에 상당히 좌지우지 된다.
액티브로 자폭과 눈에는 눈이라는 고변수 카드들을 꾸준히 수급할 수 있어 뒷심은 좋은 편.
2.11. 루루
슬라임 걸 루루 | ||
| ||
| | |
액티브 스킬 | ||
접착 슬라임 10칸 내의 상대에게 2턴간 행동력 -3을 부여함. | ||
(PVE) 10칸 내의 아군을 매턴마다 1 회복. (3턴간 지속) | ||
패시브 스킬 | ||
세포 분열 피해를 받으면 액티브 스킬의 대기시간이 1 감소함.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2 | 2 |
Co-Op Levels | ||
Lv. 1 | ★ 방+1 | |
Lv. 2 | ★ 최대HP+2 | |
Lv. 3 | ★★ 최대HP+1 / 이동거리+1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상대의 발을 묶는데 특화된 캐릭터. 발이 묶인 상대에게 다가가 전투를 걸든 고화력 데미지카드를 박든 위협적인 압박을 넣을 수 있으며, 반대로 쫓기는 입장이여도 발을 묶고 도망갈 수 있다. 다만 PvE에는 공격력 보너스가 전무하고 사실상 플레이어 힐링에 특화되어 있는지라 고난이도가 아닌 이상 사실상 기피된다.
2.12. 펜
드레스 걸 펜 | ||
| ||
| | |
액티브 스킬 | ||
기공 수련 HP 2 치유. 패시브가 활성화 되어 있을 시 1턴간 ATK +4 | ||
패시브 스킬 | ||
에너지 보존 내 차례동안 전투를 치르지 않으면, ATK +2, DEF +2 (다음 배틀 종료시까지) | ||
마음과 마음으로 (PVE에서만 추가 적용) 액티브 스킬을 사용할 때, 유메가 【부적 카드 - 행운】을 얻습니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10 | 1 | 0 |
Co-Op Levels | ||
Lv. 1 | ★ 방+1 | |
Lv. 2 | ★ 최대HP+2 | |
Lv. 3 | ★★ 공+1 / 이동거리+1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캐릭터 대사"
패시브와 액티브를 사용해 한 턴에 공격력을 최대 6까지 올릴 수 있는 딜러. 단 패시브의 쿨타임이 존재해 PVE에서 잡몹 담당용으로는 부적합한 편이다.
2.13. 카이세이
데스티니 걸 카이세이 | ||
| ||
| | |
액티브 스킬 | ||
페이트 에코 적을 마크하고 받는 데미지를 2턴간 +1한다. 그 턴 중 캐릭터의 체력이 0이 될 경우 카이세이는 4코인을 얻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체력 4를 회복한다. | ||
(PVE) 적을 마크하고 받는 데미지를 2턴간 +1한다. 해당 적이 처치 될 경우 카이세이는 3코인을 얻는다. | ||
패시브 스킬 | ||
행운의 번호 이동 포인트가 6일 경우 6개의 동전을 얻는다. | ||
잠재 | ||
페이트 에코 마크를 가진 몬스터가 처치되면, 처치한 아군은 운명의 인도[2] 1장을 얻는다. 자신이 액티브 스킬을 발동 할 때, 손에 있는 스마트 다이스를 운명의 인도로 교체한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10 | 1 | 1 |
Co-Op Levels | ||
Lv. 1 | ★ 코인 +10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NPC 중 최초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영미권에서는 이름 때문인지 대부분 HaiQ로 불린다(...).
2.14. 미사키
소드 마스터 미사키 | ||
| ||
| | |
액티브 스킬 | ||
벚꽃 절단 4칸 이내의 적에게 데미지 2를 가하고 '칼날 돌풍' 스택을 1개 획득한다. | ||
패시브 스킬 | ||
칼날 돌풍 적에게 듀얼로 공격하면 '칼날 돌풍' 1스택 획득. (최대 3스택). 1스택 : 공격력+1 2스택 : 공격력+1 3스택 : 공격력+3 KO당하면 모든 스택을 잃는다. | ||
잠재 | ||
액티브 스킬 사거리가 2만큼 증가합니다. 검 기운이 가득 차 있고 액티브 스킬을 사용할 때, 검 기운 2중첩을 소모하고 전설의 검: 가우 컷 1개를 얻습니다. 전설의 검: 가우 컷의 비용이 1만큼 감소합니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9 | 0 | 2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초중후반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한 딜러. 공방 밸런스가 전체적으로 좋아 무난한 딜러가 필요할 때 기용된다. PvE에는 딜러 특성상 사실상 높은 확률로 선택된다.
2.15. 나르디스
오아시스 여왕 나르디스 | ||
| ||
| | |
액티브 스킬 | ||
왕족의 권능 임시로 3장의 카드를 얻는다. 이 카드들은 턴이 끝나면 사라진다. | ||
패시브 스킬 | ||
보물 듀얼 시 상대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보다 더 많이 보유하고 있는만큼 공격력을 얻는다. (최대 3)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듀얼 시 상대와의 카드 차이에 비례해 최대 3만큼 공격력을 증가시키는 딜러. 스킬로 언제든지 패시브를 충족시킬 수 있어 초중후반 관계없이 높은 딜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때문에 미사키, 낸시 루 다음으로 딜러 포지션으로 기용된다.
2.16. 자스민
로봇 메이드 자스민 | ||
| ||
| | |
액티브 스킬 | ||
오버 드라이브 방어력-3, 이동+3 (1턴간 지속) | ||
패시브 스킬 | ||
이동 충전 13의 이동 포인트를 얻을 때마다[3] 공격력과 방어력이 번갈아가며 상승한다. (영구) | ||
<rowcolor=#fff> HP | ATK | DEF |
9 | 1 | 0 |
Co-Op Levels | ||
Lv. 1 | ★ 이동거리+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이동 거리에 비례해 스테이터스가 영구히 중첩되는 왕귀형 딜러 겸 탱커. 액티브 스킬의 유틸리티 또한 매우 효율이 좋아 모든 모드에서 활약이 가능한 0티어 캐릭터로 뽑혔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충분한 스탯이 쌓인 후반의 얘기고, 초반엔 어떠한 존재감도 없으니 최대한 초반을 무난하게 넘기며 생존하는 것이 중요했다.
다만 현재 PVE에서는 부족한 능력치를 보조할 잠재 능력과 강력한 배틀 토큰들이 여럿 출시되었고, 고난이도록 갈수록 최대 턴이 짧아져 게임 양상도 왕귀보다는 초반에 빠르게 적을 잡고 성장해 좋은 배틀 토큰을 뽑아먹고 늘어난 능력치로 보스에게 도전하는 식으로 흘러가고있다. 특히 최대 턴 제한 감소 패치가 이루어지면서, 어지간히 사기를 치지 않는 이상 영구 스탯의 성장속도가 제한적인 자스민은 다른 플레이어가 '허리허리'를 찾아 써줘야 강해지는, 아군의 등골을 빨아먹는 소위 고혈 픽 취급이 되어버렸다.
2.17. 루카
칠흑 섬광 루카 | ||
| ||
| | |
액티브 스킬 | ||
돌파 스킬 사용 시 2개의 주사위를 던지고, 주사위의 눈이 2~6으로 나오며 듀얼을 걸 수 없다. 지나치는 적들과 떨어져있던 칸 수의 절반만큼 데미지를 입힌다. | ||
(PVE) 스킬 사용 시 2개의 주사위를 던지고, 주사위의 눈이 2~6으로 나오며 듀얼을 걸 수 없다. 지나치는 적들에게 <2+공격력>의 데미지를 입힌다. | ||
패시브 스킬 | ||
충전 체크 포인트를 밟거나 지날 때마다 액티브 스킬 쿨타임 2감소. (1턴에 한 번만)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2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기동성에 중점을 둔 캐릭터. 스킬 시전 시 적과 마주치면 2+공격력의 데미지를 고정적으로 입히지만,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PvE에서 몬스터가 몰려 있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18. 낸시 루
사이버 팬텀 낸시 루 | ||
| ||
| | |
액티브 스킬 | ||
원격 침입 6칸 밖의 적에게 '듀얼' 시전 | ||
(PVE) 지정한 몹에게 '듀얼' 시전 해당 몹이 3칸 밖에 있었다면 카운터어택이 발동되지 않는다. | ||
패시브 스킬 | ||
방화벽 턴 시작 시 주변 3칸 이내에 적이 없다면 배틀카드 1장, 공+1, 방+1 획득. 적에게 '듀얼' 할 경우 해당 전투가 끝나고 모든 배틀카드를 잃는다. 액티브 스킬 제외. | ||
(PVE) 턴 시작 시 주변 3칸 이내에 몹이 없다면 배틀카드 1장, 공+2, 방+2 획득. 몹에게 '듀얼' 할 경우 해당 전투가 끝나고 배틀카드 1장(랜덤)을 잃는다. 액티브 스킬 제외.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2 / 이동거리+1 [4]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원격으로 공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선제 공격용으로 유용하다. 때문에 미사키, 나르디스 다음으로 PvE에 자주 기용된다.
2.19. 메가스
메카닉 영웅 메가스 | ||
| ||
| | |
액티브 스킬 | ||
궤도 폭격 | ||
(PVE) 모든 손패를 버린다. 버린 카드 2장마다 6칸 이내의 적에게 데미지 3을 입힌다. 버린 카드에 배틀카드가 있다면 배틀비용[5]만큼 데미지가 추가된다. 거기다가 배틀 비용이 3 증가 할 때마다 또 데미지 추가+1 | ||
패시브 스킬 | ||
재보급 | ||
(PVE) 턴 종료 시, 손패가 5미만인 경우, 카드를 새로 1장 얻는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0 | 2 |
Co-Op Levels | ||
Lv. 1 | ★ 방+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PvE에서는 카드를 희생하여 딜링을 맡는 캐릭터. 다만 스킬 시전과 동시에 무작위 카드가 희생되는 만큼 사실상 제대로된 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2.20. A.L.
Syndicate Prince A.L. | ||
| ||
| | |
액티브 스킬 | ||
Mercy of the Strong (스킬 설명) | ||
(PVE) 1~3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캐릭터에게 주고, 준 카드 수와 동일한 수의 스타 코인을 획득합니다. | ||
패시브 스킬 | ||
Money Talks (스킬 설명) | ||
(PVE) Win-Win 당신이 다른 캐릭터에게 카드를 획득하게 할 때, 양측 모두 스타라이트[6] 스택 +1을 얻습니다. 스타라이트 스택을 7개씩 쌓을 때마다 공격력 +1, 방어력 +1.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기본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스킬 시전 시 선택한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주는 대신 코인을 빼앗는다.
PVE에서는 상대에게 자기 손패의 카드를 줄 수 있는 액티브 스킬로 카드 서포터로써 기용되고 있다.
2.21. 유메
Fengshui Master / zhao 유메 | ||
| ||
| | |
액티브 스킬 | ||
바이제의 축복 초과된 체력을 스타코인으로 전환합니다. 【부적 카드 - 행운】 1장을 획득하고, 손에 있는 【부적 카드 - 불운】을 모두 【부적 카드 - 행운】으로 전환합니다. | ||
(PVE) 캐릭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대상은 한 턴 동안 초과된 체력을 공격력으로 전환합니다. 【부적 카드 - 행운】 1장을 획득하고, 손에 있는 【부적 카드 - 불운】을 모두 【부적 카드 - 행운】으로 전환합니다. | ||
패시브 스킬 | ||
행운과 불행은 이웃 주사위 결과가 1이면 【부적 카드 - 불운】 1장을 얻습니다. 주사위 결과가 6이면 【부적 카드 - 행운】 1장을 얻습니다. | ||
완벽한 보조 (PVE에서만 추가 적용) 펜에게【부적 카드 - 행운】을 사용하면 펜은 에너지 보존을 얻습니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10 | 1 | 1 |
Co-Op Levels | ||
Lv. 1 | ★ 방+1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2.22. 린
Rookie investigator 린 | ||
| ||
| | |
액티브 스킬 | ||
리빙 페이지 리빙 페이지 1장을 획득한다. 모든 효과 카드의 사거리+3 (1턴 지속). | ||
패시브 스킬 | ||
조사 발견 이벤트가 발동할 때, 리빙 페이지 1장을 획득한다. | ||
(PVE) 이벤트가 발동할 때, 리빙 페이지 1장을 획득한다. 사용할 때마다 해당 카드의 피해량이 영구적으로 +1 증가.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코인+10 | |
Lv. 2 | ★ 최대HP+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PVE의 새로운 카드 딜러, 고유 카드인 '리빙 페이지'가 사용시 그 게임 동안 영구적으로 데미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린은 가능한 고유카드를 얻을수있는대로 얻어 사용하는것을 목적으로한다. 하지만 액티브 스킬을 제외한 고유카드의 획득방법이 이벤트 발동이기 때문에 제대로 효과를 보려면 사실상 잠재를 해금한 페니와 함께 사용하는것을 강제한다.
2.23. 테루
Hierarch of mikami 테루 | ||
| ||
| | |
액티브 스킬 | ||
Divine Invocation 다른 캐릭터를 선택하여 신내림을 적용하고, 대상의 공격력과 방어력만큼 자신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증가시키며, '여우불' 스택에 따라 대상의 스타코인을 훔칩니다. | ||
(PVE) 대상 플레이어를 선택하여 신내림을 적용합니다. 대상의 공격력과 방어력의 절반만큼 테루의 공격력과 방어력이 증가합니다. 신내림을 가진 캐릭터가 적을 공격한 후 '여우불'을 소모하여 대상을 추격합니다. | ||
패시브 스킬 | ||
Fox Fire 자신 또는 신내림을 가진 플레이어가 고-비용 공격 카드를 낼 때, '여우불' 스택을 1개 얻습니다. | ||
(PVE) 자신 또는 신내림을 가진 아군이 비용 2 이상의 공격 배틀 카드를 낼 때, '여우불' 스택을 1개 얻습니다. '여우불'은 테루의 추격 공격력을 증가시킵니다.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1 | 1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기본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고유 스택인 '신내림'으로 아군 딜러의 공격을 지원하는 딜포터.
액티브 스킬 사용시 아군 한명을 지정해 '신내림' 이라는 스택을 부여하는데, '신내림'을 받은 아군이 적을 공격한 후 적이 살아있을시 테루가 나타나 추가 피해를 입히고 퇴장한다.
이 '신내림'으로 주는 피해는 (테루의 현재 공격력 + 여우불 스택)만큼 증가하고, 테루 자신은 액티브 스킬을 시전할때 버프를 부여한 아군의 공격력과 방어력 절반을 추가로 얻기에 일반적으로 잘 성장한 아군 딜러에게 액티브 스킬을 사용해 딜을 지원한다.
3. 기간 한정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이벤트에 추가된 캐릭터. 다른 캐릭터와는 달리 상시가 아니기 때문에 기간 한정 이벤트가 끝나면 복각 이벤트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얻을 수 없다.3.1. 초텐짱
최고귀염뽀짝천사 초텐짱 | ||
| ||
| | |
액티브 스킬 | ||
인터넷 엔젤 코인 1개를 얻고 <팬> 상태의 몬스터 수 만큼 추가 코인을 획득 (최대 7코인). 초텐짱과 몬스터가 <팬> 3중첩 이상일 경우 HP를 3 회복.[7] | ||
패시브 스킬 | ||
젤하 초텐짱을 공격하는 몬스터는 <팬> 상태가 된다. <팬> 상태의 적이 초텐짱을 공격할 때 몬스터의 공격력이 1 감소. | ||
(PVE) 일심동체 아메짱이 공격하거나 당하면 <팬> 상태를 부여. <팬> 상태의 적은 아메짱을 공격할 때도 공격력이 1 감소. | ||
<rowcolor=#000> HP | ATK | DEF |
9 | 0 | 1 |
Co-Op Levels | ||
Lv. 1 | ★ 코인 +10 | |
Lv. 2 | ★ 최대HP +2 | |
Lv. 3 | 시작 코인 +6 | |
Lv. 4 | ★★★ 공+1 / 방+1 / 이동거리+1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3.2. 아메짱
니디 걸 아메짱 | ||
| ||
| | |
액티브 스킬 | ||
애정의 과잉섭취 이번 턴에 모든 <사랑> 중첩을 소모하여 보유 <사랑> 중첩만큼 HP를 회복하고 그만큼 이동 거리가 늘어난다. | ||
패시브 스킬 | ||
사랑이 너무 무겁다 피해 입을 때마다 <사랑> 중첩을 획득. 최대 4중첩. 중첩마다 ATK +1, DEF -1. 이 효과는 2중첩부터 적용. | ||
(PVE) 일심동체 초텐짱이 공격 받으면 <사랑> 중첩을 부여한다. | ||
<rowcolor=#fff> HP | ATK | DEF |
9 | 1 | 4 |
Co-Op Levels | ||
Lv. 1 | ★ 공+1 | |
Lv. 2 | ★ 최대HP +2 | |
Lv. 3 | ★★ 공+2 | |
Lv. 4 | ★★★ 공+1 / 이동거리+2 | |
Lv. 5 | 배틀코인 다시 뽑기 +2 | |
Lv. 6 | ★ X 배틀코인 다시 뽑기 +1 | |
프로필 | ||
|
4. NPC
4.1. 낸시 루
낸시 루 |
|
4.2. 간호사
간호사 |
|
4.3. 嘀嘀打人
嘀嘀打人 |
|
4.4. 메가스
炮台梅加斯 |
|
4.5. 슈슈
슈슈 |
|
|
5. 괴수
괴수 |
|
프로필 |
|
|
-라운드가 경과하면 스타 코인이 가장 많은 플레이어를 집요하게 노린다. 단 2스타이더라도 30코인을 넘어야 가우의 목표가 된다.
PvE에서는 덴노지 마사오와 함께 맵의 보스 역할을 맡는다.
[1] 공격일땐 안절부절 못하다 팔을 천천히 늘려 손가락으로 찌르고, 방어일땐 비명을 지르며 수그려 앉는다.[2] 다음 이동 주사위를 1~6 사이에서 원하는 값으로 정한다. 현재 스킬의 남은 카운트 다운 -1, 이번 턴 카드 사용 횟수 +1.[3] 칸을 이동한 횟수가 아닌 굴림 주사위에서 나온 값을 선 계산한다.[4] 유일하게 혼자 3스타에서 공+2를 받는다. 덕분에 Co-Op 레벨로 공격력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는 캐릭터이다.[5] 몹과 듀얼 했을 때 카드 행동력 3으로 시작하여 캐릭터의 1스타가 올라갈 때마다 행동력이 하나씩 늘어나 3스타에는 6의 행동력을 쓸 수 있는 그 카드비용을 말하는 것이다.[6] 라운드 보상으로 얻는 코인의 수가 해당 스택만큼 증가한다.[7] 설명에는 안 적혀있으나, 스킬 시전 시 INTERNET OVERDOSE가 한 턴동안 재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