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8:25:09

아르투어 치머만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독일 제국 제17대 외무장관
아르투어 치머만
Arthur Zimmermann
파일:1000085819.png
출생 1864년 10월 5일
프로이센 왕국 동프로이센 마르그라보[1]
사망 1940년 6월 6일 (향년 75세)
나치 독일 베를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로이센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로이센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바이마르 공화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바이마르 공화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바이마르 공화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나치 독일}}}}}}]]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나치 독일}}}}}}]]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나치 독일}}}}}}]]
직업 변호사, 외교관, 정치인
재임기간 제17대 외무장관
1916년 11월 22일 ~ 1917년 8월 6일

1. 개요2. 생애

1. 개요

독일의 외교관이다. 치머만 전보로 알려져있다.

2. 생애

동프로이센 마르그라보 서민 가정에서 태어났고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경력을 시작했다. 법학학사를 취득하고 변호사를 관두고 외교관일을 시작해 1896년 청나라 독일영사관에서 일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을 목격한 적이 있다.

이후 외무부에서 근무하며 경력을 쌓고 1911년 외무차관으로 임명되어 사라예보 사건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고 1914년 아일랜드 독립운동가인 로저 케이스먼트와 접선해 병력과 무기를 지원할 것을 약속했으나 독일군 내에서 반발이 심해 무기만 공수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영국군에게 발각되어 케이스먼트는 처형되었고 무기를 운반했던 배는 격침당했다. 이후 아일랜드 독립군은 부활절 봉기를 실행했고 이 것이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치머만은 이후에도 인도의 독립세력과 접촉해 독립 운동을 지지하기도 했다.

1916년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2] 공격적인 외교를 펼치다가 1917년 주멕시코 독일대사였던 하인리히 폰 에커르트에게 암호화로 된 전문을 보냈다. 멕시코와 동맹을 맺고 미국이 협상국으로 참전 시 미국을 공격하길 바람이라는 내용이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영국이 문서를 가로채 해독해버렸고 이 사실이 밝혀지자 미국은 분노했다. 멕시코에서도 비현실적이라는 계획으로 판단해 거부했다.

독일 제국도 처음엔 부인했으나 치머만 본인이 의회 기자회견에서 인정했다. 결국 무제한 잠수함작전까지 겹치며 미국은 협상국에 참전하며 독일 제국의 패배에 일조했다. 치머만은 1917년 8월 7일 외무장관에서 사임했다. 사임 후 조용히 살다가 1940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1] 현 폴란드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주 올레스코[2] 최초의 비귀족 출신 외무장관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