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21:11:07

아나돌루 에페스 SK

아나돌루 에페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00a4d2,#00a4d2>
파일:유로리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바스켓발 로고.svg 파일:올림피아 밀라노 로고.svg 파일:ASVEL 로고.svg파일:ASVEL 로고(화이트).svg 파일:사스키 바스코니아 로고.svg
파일:올림피아코스 BC 로고.svg 파일:파나티나이코스 BC 로고.svg 파일:아나돌루 에페스 SK 로고.svg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파일:BC 잘기리스 로고.svg 파일:마카비 텔아비브 BC 로고.svg
}}}}}}}}} ||
파일:아나돌루 에페스 SK 로고.svg
아나돌루 에페스 SK
Anadolu Efes SK
<colbgcolor=#00a4d2><colcolor=#fff> 정식 명칭 Anadolu Efes Spor Kulübü(아나돌루 에페스 스포츠단)
창단 1976년([age(1976-01-01)]주년)
소속 리그 바스켓볼 쉬페르 리기(Basketbol Süper Ligi)
유로리그(Euroleague)
연고지 이스탄불(İstanbul)
홈구장 시난 에르뎀 돔(Sinan Erdem Dome, 16000명 수용 가능)
회장 툰자이 외질한(Tuncay Özilhan)
감독 에르긴 아타만(Ergin Ataman)
주장 도우쉬 발바이(Doğuş Balbay)
영구 결번 7, 페타르 나우모스키(Petar Naumoski)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파일:아나돌루 에페스 SK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유로리그
(2회)
2020-21, 2021-22
바스켓볼 쉬페르 리기
(16회 / 최다 우승)
1978-79, 1982-83, 1983-84, 1991-92, 1992-93,
1993-94, 1995-96, 1996-97,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8-09, 2018-19, 2020-21, 2022-23
튀르키예 바스켓볼 쿠파스
(12회 / 최다 우승)
1993-94, 1995-96, 1996-97, 1997-98, 2000-01,
2001-02, 2005-06, 2006-07, 2008-09, 2014-15,
2018, 2022
줌후르바스칸리기 쿠파스
(12회 / 최다 우승)
1986, 1992, 1993, 1996, 1998,
2000, 2006, 2009, 2010, 2015,
2018, 2019, 2022
FIBA 코라치 컵
(1회)
1995-96

1. 개요2. 역사3. 주요 선수4. 경기장5. 수상 기록

1. 개요

튀르키예농구단. 튀르키예의 국민 맥주라 불리는 에페스 필센(Efes Pilsen)을 생산하는 음료 기업, 아나돌루 에페스(Anadolu Efes)가 소유한 팀이다. 유로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튀르키예 슈퍼 리그(BSL)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총 16회의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지금까지 42개의 국내 트로피를 획득하며 튀르키예 농구댜 중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76년에 창단된 이 클럽은 2011년까지 에페스 필센(Efes Pilsen)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현재의 아나돌루 에페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홈 경기는 이스탄불의 시난 에르뎀 돔에서 치르며, 농구 경기 시 약 16,000석을 수용할 수 있다. 1982년부터는 바흐첼리블러 지역에 자체 연습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클럽은 유로리그 2회 우승, FIBA 코라치 컵 1회, 터키 챔피언십 16회, 터키 컵 12회, 터키 대통령 컵 14회라는 화려한 성과를 남겼다. 팀 컬러는 네이비, 화이트, 레드, 라이트 블루이며, 에페스 음료 그룹이 메인 스폰서다.

아나돌루 에페스는 튀르키예 농구의 또 다른 강호인 페네르바흐체 베코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이어오고 있으며, 두 팀은 유로 리그, 플레이오프 시리즈와 컵 결승전에서 자주 맞붙고 있다.

2. 역사

1976년에 아나돌루 에페스가 한 2부 리그 클럽을 인수해서 에페스 필센 SK라는 이름으로 창단했고, 2011년에 아나돌루 에페스 SK로 팀명을 변경하였다.

1976년에 재정적 어려움과 경영 위기로 인해 결국 운영이 중단된 튀르키예 2부 리그 소속 클럽인 카디쾨이스포르를 인수하는 과정을 거쳐 새롭게 탄생하였으며, 당시에는 ‘에페스 필센 SK’라는 이름으로 공식 창단되었다. 이 시기는 클럽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는데, 초기에는 아나돌루 그룹의 자회사로서 명맥을 유지해 온 동명의 대표적인 맥주 브랜드 ‘에페스 필센’이 주요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막대한 자금 지원과 함께 클럽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인프라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1978년 시즌, 에페스 필센 SK는 튀르키예 2부 리그 국가 챔피언십 대회에서 그야말로 무패 행진을 펼치며 당당히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이뤄냈고, 그 결과로 1부 리그인 튀르키예 최상위 리그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이로부터 클럽은 매년 최상위 리그에서 꾸준히 경쟁하는 중추적인 팀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첫 1부 리그 시즌이었던 1978-79 시즌에는 단숨에 리그 정상에 올라 튀르키예 국가 리그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당시 국내 농구계에서 가장 빠르게 부상하는 강력한 클럽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후 에페스 필센 SK는 국제 무대에서도 점차 명성을 쌓아가기 시작했는데, 1992-93 시즌에 참가한 유럽 연맹 주관의 FIBA 유러피언 컵에서 준우승이라는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유럽 농구 팬들에게 존재감을 알렸고, 1995-96 시즌에는 FIBA 코라치 컵 대회에서 마침내 우승을 차지하며 튀르키예 클럽 최초로 팀 스포츠 분야에서 유럽 전역의 중요한 타이틀을 거머쥐는 위업을 달성했다. 이 시기는 에페스가 유럽 최고 수준의 클럽 농구 대회인 유로리그에서도 점차 그 경쟁력을 키워가던 시기였으며, 2000년에는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하여 유럽 4강에 이름을 올렸고, 2001년에는 FIBA SuproLeague 파이널 포에도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어 두 차례 모두 3위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둠으로써 국제 무대에서도 강한 존재감을 과시했다.

2011년, 튀르키예 정부 기관인 TAPDK(담배 및 알코올 시장 규제 기관)가 스포츠 단체 및 대회에서 담배와 알코올 제품의 광고를 금지하는 엄격한 규제를 시행함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에페스 필센 SK’라는 명칭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클럽은 명칭을 ‘아나돌루 에페스 SK’로 변경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러한 명칭 변경은 단순한 브랜드 변경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클럽의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동시에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이었다. 이 시점부터 아나돌루 에페스는 클럽 역사상 또 다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튀르키예 내 모든 공식 대회에서 페네르바흐체 베코, 갈라타사라이 등을 제치고 가장 많이 우승한 명문 팀이다. 단 유로리그에서는 우승은 물론 결승 진출도 해본 적 없는 게 흠이었다. 반면 페네르바흐체는 2015-16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3시즌 연속 결승에 올라가고 튀르키예 팀 역사상 첫 유로리그 우승도 달성한 바 있었다.

2017-18 시즌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로리그에서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으나, 그 이후 2018-19 시즌에 이르러서는 뚜렷한 반전을 이루며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서 4번 시드를 차지하는 등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시즌에는 유로리그 플레이오프에서 강력한 경쟁자인 FC 바르셀로나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19년 만에 처음으로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고, 준결승전에서는 또 다른 라이벌인 페네르바흐체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92-73 승리를 거두면서 역사상 첫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결승 무대에서는 러시아의 명문 클럽 CSKA 모스크바와 맞붙었으나 아쉽게 패배해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같은 시즌 국내 리그인 BSL에서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챔피언 자리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특히 페네르바흐체와 벌인 결승 7차전에서는 셰인 라킨이 38점을 득점하며 맹활약을 펼쳐 89-74로 승리를 견인했고, 이 공로로 라킨은 파이널 MVP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어진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에는 아나돌루 에페스가 유럽 무대에서 그 진가를 한층 더 발휘하며 유로리그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해 명실상부한 유럽 최강 클럽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2022-23 시즌에는 성적이 다소 주춤하며 유로리그 정규 시즌을 11위로 마감했고,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는 아쉬움을 맛보았다. 이처럼 아나돌루 에페스는 튀르키예 농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국내외 무대를 넘나들며 꾸준한 경쟁력과 저력을 선보여 왔으며, 특히 유로리그에서의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 성과는 클럽의 국제적 위상을 한층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2020-21 시즌 MVP 바실리예 미치치를 앞세워 FC 바르셀로나를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1-22 시즌 유로리그에서도 바실리예 미치치와 셰인 라킨이 맹활약을 하며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1점 차로 꺾고 유로리그 2연속 우승에 성공하였다.

22-23 시즌에는 예상 외로 부진하며 17승 17패로 11위를 기록하며 8강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3. 주요 선수

아나돌루 에페스에서 활악한 스타 선수로는 셰인 라킨, 바실리에 미치치, 얼칸 오스마니, 브라이언트 던스톤, 조란 드라기치, 세디 오스만, 고르기우스 파파야니스, 미로슬라브 라둘리차 등이 있다.

4. 경기장

에페스는 수년간 12,270 석 규모의 압디 이펙치 아레나 에서 홈 경기를 치러 왔다.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에페스는 16,000석 규모의 시난 에르뎀 돔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2024년부터 그들은 새로 개장한 경기장인 농구 개발 센터를 홈 경기에 활용하고 있다.

5. 수상 기록

  • 국내 대회
    • 바스켓볼 쉬페르 리기(Basketbol Süper Ligi, BSL)
      • 우승: 16(최다)
        1978-79, 1982-83, 1983-84, 1991-92, 1992-93, 1993-94, 1995-96, 1996-97,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8-09, 2018-19, 2020-21, 2022-23
      • 준우승: 12(최다)
        1985-86,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5-06, 2006-07, 2009-10, 2011-12, 2014-15, 2015-16, 2021-22
    • 튀르키예 바스켓볼 쿠파스(Türkiye Basketbol Kupası)[1]
      • 우승: 12(최다)
        1993-94, 1995-96, 1996-97, 1997-98, 2000-01, 2001-02, 2005-06, 2006-07, 2008-09, 2014-15, 2018, 2022
      • 준우승: 5
        2003-04, 2013-14, 2017, 2019, 2024
    • 줌후르바스칸리기 쿠파스(Cumhurbaşkanlığı Kupası)[2]
      • 우승: 13(최다)
        1986, 1992, 1993, 1996, 1998, 2000, 2006, 2009, 2010, 2015, 2018, 2019, 2022
      • 준우승: 11(최다)
        1994, 1997, 1999, 2001, 2002, 2003, 2004, 2005, 2007, 2012, 2016
  • 국제 대회
    • 유로리그(EuroLeague)
      • 우승: 2
        2020-21, 2021-22
      • 준우승: 1
        2018-19
    • FIBA 사포르타 컵(FIBA Saporta Cup)[3]
      • 준우승: 1
        1992-93
    • FIBA 코라치 컵(FIBA Korać Cup)[4]
      • 우승: 1
        1995-96

[1] 국내 컵 대회.[2] '대통령 컵'이라는 뜻으로, 슈퍼컵에 해당한다.[3] 1966~2002년까지 열린 유러피언 농구 클럽 대회. 코라치 컵과 같이 통합되어 2003년부터 유로챌린지(FIBA EuroChallenge)가 되면서 이 대회는 사라졌다. 유로챌린지는 2016년부터 유로페 컵(FIBA Europe Cup)으로 변경.[4] 1971~2002년까지 치른 대회로 권위로는 유로리그, 사포르타 컵에 이어 3번째였던 유럽 클럽 대항전. 유고슬라비아 농구선수 라디보이 코라치(Radivoj Korać. 1938~1969)를 추모하고자 만든 대회였다. 참고로 튀르키예 농구단 중에서 에페스가 유일한 이 대회 우승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