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02:53:50

아가마급 강습순양함

아가마급 강습순양함
アーガマ級 | Argama-class
파일:Argama.jpg 파일:아가마 후면.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53535><colcolor=#fff> 함종 아가마급 강습용 우주순양함 (アーガマ級 強襲用宇宙巡洋艦)
첫 배치 U.C. 0087년
제조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운용 지구연방군
전고 76.5m
전장 323m
전폭 124.1m
추진계 미노프스키 크래프트
무장 주포 4문
부포 4문
메가 입자포 2문
하이퍼 메가 입자포 1문[1]
미사일 발사기 2기
대공포
캐터펄트 2기
함내 모빌슈트 탑재 수 6 - 10기[2]
알려진 함장 헨켄 베케너 (아가마)
브라이트 노아 (아가마)
이튼 F 히스로 (페가서스 III)
디드코트 (니카야)
등장 작품 기동전사 Z 건담
기동전사 건담 ZZ
기동전사 Z 건담 디파인
기동전사 건담 MSV-R 죠니 라이덴의 귀환
건담 센티넬
기동전사 건담: 건담 vs. Z건담
건담무쌍2
디자이너 나가노 마모루
}}}}}}}}} ||
1. 개요2. 특징3. 자매함

1. 개요

기동전사 Z 건담에 등장하여 다른 건담 시리즈에도 등장하는 순양함. 명칭의 유래는 불교 경전인 아함경의 어원 아가마.

초도함 아가마에우고의 주력함으로 운용할 목적으로 멜라니 휴 카바인의 출자로 스위트 워터에서 건조되었다. 설계는 1년전쟁에서 활약한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을 답습했으며 상하 2층으로 나누어진 모빌슈트 덱을 보유하고 있다.

발전형으로서 아이리시급 전함넬 아가마가 있다.

2. 특징

모빌슈트 덱은 상하 2층으로 나누어져 상부에 2기, 하부 덱에 4기를 갖추고 있으며 모빌슈트 탑재수는 기본 6기, 최대 8기이다. 하지만 엘리베이터에도 모빌슈트를 거치해두는 경우도 많았으며 함선 외부에 고정해두면 더욱 많은 숫자를 운용할 수 있었다.

순양함 클래스지만 메가 입자포를 갖추고 있으며 개장할 경우 하이퍼 메가 입자포까지 탑재할 수 있는 등, 전함에 필적하는 화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대가로 거주 블록을 함선 내부에 넣지 못해 외부에 위치하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파일:아가마 중력블록.jpg
초도함 아가마의 거주 블록은 비전투시에는 확장되어 회전해 인공중력을 만들어내는 기능이 있어 거주성이 매우 향상되었지만 일부 자매함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3. 자매함

  • 아가마
    기동전사 Z 건담에서 첫 등장하여 기동전사 건담 ZZ까지 활약한다. 초도함이자 에우고의 기함.
  • 페가서스 III
    파일:페가서스 3.jpg
    아가마급 2번함. 건담 센티넬에 등장하는 지구연방군 소속의 함정으로 함적번호는 CVW-07. 페즌에서 반란을 일으킨 뉴 다시이즈를 진압하기 위해 편성된 알파 임무 부대의 기함으로 활약했다. 당시 에우고에 페가서스급 강습상륙함 페가서스 II가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었기에 페가서스 III로 명명되었다. 외관과 성능은 초도함인 아가마와 거의 같았지만 거주 블록과 브릿지는 전투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조디악의 공격으로 함체의 절반이 파손되는 격침에 가까운 피해를 입지만 가까스로 가라앉지 않았다.
  • 니카야
    아가마급 8번함. 기동전사 건담 MSV-R 죠니 라이덴의 귀환에 등장. 지상에서 운용할 함선을 원하고 있던 카라바의 주문으로 건조되었지만 FSS(Federation Survey Service)의 사장 질 브로켄 후버가 인수하여 FSS 소속이 되었다. 키마이라 대의 플랜트함 미나렛의 행방을 쫓기 위해 급조된 함대의 기함을 맡았다. 아가마와 마찬가지로 회전식 거주 블록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하이퍼 메가 입자포를 탑재하지 않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 유롱
    '기동전사 건담 발푸르기스'에 등장하는 함선으로 함적 번호는 CVWA-10. 월면도시 암만에서 건조되었다. 기존의 아가마급에 비해 용골의 길이가 확장되는 등, 몇가지 개수를 거진 사양으로 아가마改급으로 호칭된다.

[1] 개수형 한정[2] 매체에 따라 8 - 12기